'언어/러시아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31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283)
부사 сначала 공부를 하다가 우연히 이 단어를 봤는데, '여성형 과거'인가 싶어찾아봤더니 동사가 아니었다..... сначала[스나찰라]는 '처음에', '처음으로'(at first) 라는 뜻의 부사이다. 부사 снача́ла [스너찰러]는 영어의 recent와 어원이 같다. 이 부사는 사실 '처음부터'란 부사구 с нача́ла [스 너찰러]에서 유래했으며, 여기서 нача́ла [너찰러]는 '시작'이란 뜻의 불활동체 중성명사 нача́ло [너찰로]의 단수 생격형이다. снача́ла (부사) 접두사 어근 어근접미사(suffix) с-на- -ча- -л-а '-ла'로 끝나는 동사 과거 여성형도 있지만 '-а'로 끝나는 부사도 종종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겠다.
ещё와 уже ещё와 уже가 헷갈려서 쓰며 정리한 글이다. ещё 1. 아직 2. 옛적에(벌써, 이미 오래전에) 3. 조금 더 - ещё не : 아직 아닌(아직 아니야) - что ещё? : (그밖에) 또 뭐가 있어? [직역) 조금 더 무엇이(있는가)?] - он ещё там : 그는 아직 거기에 있어 - Я был ещё директор, a Я уже не директор. : 전 이전에 사장이었습니다만 이제 더 이상 사장이 아닙니다. уже 1. 이미(already) 2. (부정적인 문장에서) 더이상 ~아닌 - 동의어 : уж(1~2번 의미) - 반의어 : ещё не (1번 의미), ещё (2번 의미) - 하의어 : отныне(: 지금 이후 부터, from now on) (2번 의미) - Уже п..
구문 у кого есть와 동사 есть у кого есть라는 구문이 있다. 뜻은 '~가 (~을) 가지고 있다' 그럼 각 단어의 뜻을 봅시다. - у + 생격 : ~에[at], ~가까이에, 옆에[close to, by]/~의 (소유하)에 - кого (кто́의 대격/생격) - есть : 먹다/존재하다 명심할 부분이 있어요! 전치사 у 뒤에는 항상 생격이 옵니다! 그래서 이 у кого есть라는 구문에서 "кого"에 소유자의 생격이 들어가게 됩니다. у 소유자의 생격 есть меня тебя него неё нас вас них 이 구문 뿐 아니라 어떤 위치에서든, есть는 수 변화(단/복수에 따라 변화)를 하지 않습니다. есть가 '존재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 영어의 동사 be에 해당하는 러시아어 동사 бы́ть의 현재형으..
러시아어 - 문장의 간단한 특징과 대답의 형태 지금까지 써온 문법 글들이 너무 방대하고, 내용이 많아 잠시 쉬어가는 시간을 가지려고 이 글을 쓴다. ​ 1. 어순(Порядок слов) ​ 1-1. 러시아 어순은 기본적으로 자유롭다. ​ 영어의 어순부터 살펴보자. '고양이가 쥐를 잡았다'라는 문장을 영어 어순에 따라 배열해보자. A cat caught a mouse : 한 고양이가 한 쥐를 잡았다. A mouse caught a cat : 한 쥐가 한 고양이를 잡았다. Caught, a cat, a mouse : 잡아라, 고양이여, 생쥐여 영어는 단어 배열만으로 뜻이 완전히 달라진다! ​ 우리나라 어순의 편리성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되는 짤방이 있다. 영어는 단어가 변하지 않는 고립어라서 이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한국어는 단어에 접사가 붙어 문장..
бабушка와 Баба-Яга '할머니'를 뜻하는 ба́бушка [바부쉬까]는 여성형 활동체 명사이다. 이 단어의 어형변화에 큰 특징은 복수 생격과 대격에서 출몰모음 е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단어의 어형 변화는 아래와 같다. 단수 복수 주격 ба́бушка ба́бушки 생격 ба́бушки ба́бушек 여격 ба́бушке ба́бушкам 대격 ба́бушку ба́бушек 조격 ба́бушкой ба́бушкою ба́бушками 전치격 ба́бушке ба́бушках 위와 같은 어형 변화를 하는 ба́бушка는 할머니(grandma)를 뜻하는 ба́ба [바바]와 여성형 접미사‎ -ушка [-우쉬까]의 합성어이다. 어근 접미사 어미 -баб- -ушк -а 여기서 ба́ба라는 단어가 할머니를 뜻하는 단어임..
Файтин (файтинг) Файтин [퐈이띤] 혹은 файтинг [퐈이띤ㄲ]. 어디서 들어본 단어이지 않은가?이 단어는 바로 한국어 '화이팅(파이팅)'이 러시아에 들어가며 만들어진 명사이다! 보통 행운을 빌 때 사용하는데, 상대를 응원하거나, 상대의 업무나 일에 활력, 기운을 불어줄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 이 단어는 크게 두 가지 변형 형태가 존재한다. 1. Хваитинг [ㅎ바이띵ㅋ] / файтин [파이띤]- 화이팅 2. Паитинг [빠이띵ㅋ] - 파이팅 한국어에서는 물론 '화이팅'과 '파이팅' 모두 사용하지만, 보통 '화이팅'을 많이 사용한다. 남성형 비활동체 명사 файтинг이라는 단어는 위에서 말한 뜻 말고도 다른 뜻으로도 쓰인다. 고전 게임 등 다양한 게임 중에서 '대전 격투 게임' 장르와 그에 해당하는 ..
여성형 명사인 나라들 명사 어형 변화를 다 살펴볼 수는 없으니, 먼저 여성형 명사의 어형 변화 어미에 대해서 살펴보자. (거의 여성명사/ 일부 남성명사) 단수 복수 주격 -а -я -ы(혹 -и) -и 생격 -ы(혹 -и) -и -# 여격 -е -ам -ям 대격 활동체 -у -ю 생격 비활동체 주격 조격 -ой -е(ё)й -ами -ями 전치격 -е -ах -ях 그럼 이제 여성형 명사인 '국가'들을 알아보자. 유형 1) Коре́я : 한국 격 단수 복수 주 Коре́я Коре́и 생 Коре́и Коре́й 여 Коре́е Коре́ям 대 Коре́ю 주 조 Коре́ей Коре́ями 전치 Коре́е Коре́ях 일반적인 여성형 연자음 명사의 변화형을 보인다. 이러한 형태의 국가들로는 아래와 같은 나라들이..
я из Коре́и 이 문장은 대명사 я, 전치사 из[이즈] 와 명사 Коре́и[까례이]로 이루어져있다. 전치사 из는 '~의, ~밖에, ~로부터'라는 뜻이다. 이 전치사는 항상 생격을 가지는데, '한국'을 뜻하는 Коре́я의 생격이 Коре́и이기에, из Коре́и[이즈 까례이]라는 문장이 된 것이다. 이 문장은 '한국으로 부터, 한국 출신의'라는 뜻이다. 문장 맨앞의 대명사 я는 '나'라는 뜻이다. 즉, я из Коре́и [야 이즈 까례이]는 '나는 한국 출신이다'라는 뜻이 된다. 마지막으로 Коре́я의 어형 변화를 보고 가자. 여성형 명사 어미인 я로 끝난 Коре́я는 비활동체 여성형 명사이다. 따라서, 복수 대격은 '복수 주격'과 같다. 격 단수 복수 주 Коре́я Коре́и 생 Коре́и Ко..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