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721)
비슈케크파크 노루즈 맞이 민족샵(этно шоп) 개최~ 키르기스어로 누루즈(нооруз) 혹은 나우릐즈(наурыз)라고 불리는 페르시아권의 새해가 키르기스스탄에서는 3월 21일에 열립니다. 한국의 음력설과 같은 위상을 가지는이 민속적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의 비슈케크파크에서는 다양한 민속 전통 물품을 판매하고 있죠.하나에 약 500솜(25.03.18. 기준, 약 8262.30원)에 파는 팔찌, 반지 등 다양한 장신구를 볼 수 있습니다. 같이 온 친구 말에 따르면 이정도 가격은 꽤 비싼 편에 속한다고 하네요.여러 키르기스스탄 민속옷과 민속모자들도 팔고 있습니다.직접 짠 듯한 양말과 목도리, 모자, 방석 등도 팔고 있죠.특히 옷을 가장 많이 전시해서 팔고 있습니다. 무늬가 아름답네요.칼팍이라는 전통모자도 팔고 있구요. 방석도 여러 부스에서..
키르기스 민족학의 대부를 기념하다, 비슈케크국립대학교의 쿠세인 카라사예프 기념상 2025년 3월 12일부터 13일까지 키르기스스탄에는 타지키스탄 대통령이 방문했습니다. 그래서 중심로에는 경찰들이 쭈욱 서있었고, 곳곳에 키르기스스탄 국기와 함께 타지키스탄 국기도 꽂혀 있었습니다. 그리고 전광판에는 타지키스탄 대통령의 키르기스스탄 방문을 환영한다는어찌되었든 이 날 저는 비슈케크 남쪽을 방문했다가 칭기스 아이트마토프 대로(Проспект Чынгыза Айтматова)를 따라 집으로 가고 있던 길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길 왼편에서 멋진 건물을 발견했는데!바로 쿠세인 카라사예프 비슈케크국립대학교(Бишкек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К. Карасаева)입니다! 1979년 러시아어 및 문학 교육 단과대학으로 시작해 2025년 기준 46년 동안 이곳..
키르기스어 알파벳을 처음 만들고 처음 교수가 된, 카심 티니스타노프 기념상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필아르모니야(필하모니아) 아래 젊은이 가로수길(Аллея Молодёжи)의 북쪽 끝부분에서 서쪽의 공간에 카심 티니스타노프 기념상(Памятник К. Тыныстанову)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식쿨 지역에서 태어난  카심 티니스타노프(Касым Тыныстанов, 1901-1938)는 키르기스어학과 현대키르기스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며, 시인, 극작가, 교육가, 공인, 언론인이면서 키르기스 최초의 교수이기도 합니다.가난한 농부였지만 교육열이 높았던 아버지에게 아랍어를 배웠으며, 학교를 다닐 땐, 일을 병행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사건이 터졌는데, 1916년 러시아 제국의 차르 정부(1721-1917)에 대한 반란(1916년 중앙아시아 반란)이 실패하여, 부모님과 함께 중화민국..
비슈케크 서부의 대표적인 전통시장, 오시 바자르(오시시장)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레닌구(Ленинский район)에 거대한 현대식 전통시장인 오시 시장(Ошский рынок) 혹은 오시 바자르(Ош базар)이 있습니다.원래 이곳은 알라아르차 콜호스 시장(Ала-Арчинский колхозный рынок, 1942-1982)이있던 곳이었다고 하죠. 스푸트니크에 따르면, 1982년에 오시 출신의 건설노동자들에 의해 시장 건설이 시작되었고, 1년이 지난 1983년 6월 4일, 시장은 5헥타르(50000제곱미터)의 크기로 프룬제((현) 비슈케크) 서부의 알라아르차 강(река Ала-Арча) 지류의 강변에 세워집니다. 그 강변에 있었던 것과 이전 콜호스 시장의 이름을 잇는다는 취지로 처음엔 '알라아르차 오쉬(Ала-Арча — Ош)'라고 불렸죠.이 시장..
키르기스어-러시아어 사전을 처음 만든, 콘스탄틴 유다힌딘 기념상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필아르모니야(필하모니아) 아래 젊은이 가로수길(Аллея Молодёжи)의 북쪽 끝부(분에서 동쪽의 공간에 콘스탄틴 유다힌 기념상(Памятник К. Юдахину)가 2002년부터 세워져 있습니다.콘스탄틴 쿠지미츠 유다힌(Константин Кузьмич Юдахин, 1890-1975)은 터키학, 키르기스학, 문헌학 연구자였으며, 우즈베키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과학아카데미(Академия наук Узбекской ССР)의 특파원이면서 키르기스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과학아카데미(Академии наук Кыргызской ССР) 회원이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업적과 직책이 있었지만 그를 나타내는 가장 유명한 호칭은 '키르기스어-러시아어 사전 편찬자'라고 볼 수 있죠!192..
낙동강구미휴게소(상주방향) 바람과 소원의 신바람 풍차 상주영천고속도로 의 상주 방향 낙동강구미휴게소 왼편에는 바람과 소원의 풍차가 있습니다.우리 민족을 하나로 만드는 에너지가 바로 신바람인데요. 이 풍차는 바람과 소원을 일구는 신바람 풍차입니다. 소원을 빌어보세요~ 또 풍차 뒤에 둥근 달이 뜰 깨위 오메가 야경은 운치를 더할 것입니다!!낙동강구미휴게소에도 이런 아름다운 조형물이 있네요~ 이런 고속도로의 조형물을 지나가며 보고 사진 찍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될 겁니다!
키르기스를 사랑으로 감쌌던, 샤브단 바티르 기념상 1980년,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필아르모니야(필하모니아) 아래 젊은이 가로수길(Аллея Молодёжи) 중간에 베이(대공) 아타케 바티르(Атаке-батыр)의 후손이자 잔타이 카라베코프(Джантай Карабеков)의 아들의 동상, 샤브단 바티르 기념상(Памятник Шабдану Баатыру)이 세워졌죠.씨족 사리바기쉬(Сарыбагыш)의 후예로 1839년 이식쿨 북쪽변에서 태어난 샤브단 바티르(Шабдан Баатыр, 1839-1912)는 민족에 대한 충성심, 근면, 명예, 군사적 용기, 자연에 대한 존중과 같은 유목민의 정신 속에서 성장합니다.1862년, 러시아제국(1721-1917)이 악수 요새(крепость Ак-Суу)와 메르케 요새(крепость  Мерке)를 점령하..
민족 학문의 효시가 되길 바라며, 키르기스스탄 국립대학교 민족시인 주숩 발라사근 기념상 주숩 발라사근 키르기스스탄 국립대학교(КЫРГЫЗ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ЖУСУПА БАЛАСАГЫНА)의 본관 앞에는 주숩 발라사근 기념상(Памятник Ж. Баласагыну)이 세워져 있습니다. 천문학, 수학, 의학 분야에 폭 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던 위대한 사상가, 시인, 과학자, 철학자, 공인이었던 그의 이름을 따 이 국립대학이 명명되었죠.주숩 발라사근은 카라한 칸국의 카시가르(Кашгар, 현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 카슈가르시)와 발라사군(Баласагун, 현 키르기스스탄 추이주 발라사군)에 살았던 11세기 튀르크 시인이자 사상가입니다.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발라사군에서 초등교육을 받은 그는 페르시아 제국의 철학자이자 의학자였던 아비첸나(Авиц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