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러시아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6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283)
готовить의 직설법 현재형, 명령법 변화 정리 1. гото́вить의 뜻 우선 설명에 앞서 어형분석부터 해보자. гото́вить 어근 접미사 동사 어미 -готов- -и -ть гото́вить[가또비ㅉi]는 -готов-를 어근으로 가지는 -ить 동사라고 할 수 있다. 이 단어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준비된, 준비한 (ready)'이란 뜻의 형용사 готовъ[가따버]에서 유래한 동사로 같은 어근을 가진 '준비된, 준비한'이란 뜻의 형용사 гото́вый[가또븨-]와 유래가 같다. 그럼 이 гото́вить 또한 '준비'나 그와 비슷한 뜻을 표현한 동사일 것이다. гото́вить : 준비하다(to ready) 1. 무언가를 사용 또는 활용하기에 적합한 무언가를 가져오다. 2. 무언가를 실행,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를 하다. 3. 무..
'말하다'라는 뜻의 говорить와 сказать 1. говори́ть와 сказа́ть говори́ть와 сказа́ть 모두 '말하다'라는 뜻이다. 사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говорить와 сказать를 하나의 불완료-완료 동사쌍으로 본다. 그런데 이들을 하나의 동사쌍으로 본다면 접두사를 붙여 불완료상/완료상으로 만드는 형태가 아닌 특수한 동사쌍이라고 봐야한다. 이 두 동사가 어원한적으로 같은 동사쌍인지 확인해보고 각 동사의 문법적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2. 불완료상 동사 говори́ть (говори́ть) 과거 현재 미래 명령법 남성 여성 중성 단수 1인칭 я говори́л говори́ла - говорю́ бу́ду говори́ть 2인칭 ты говори́л говори́ла - говори́шь бу́дешь гов..
100, 200, 300.. 100 단위를 러시아어로 뭐라고 할까? 어떤 언어든 숫자는 특히 중요하다. 이미 1~10까지를 러시아어로 말할 수 있다면, 100~1000까지의 100단위 숫자들도 쉽게 익힐 수 있어 정리해봤다. 이 글을 봤다면 러시아어 10 단위 숫자(https://mspproject2023.tistory.com/1039)도 참고하자. 1. 0~10까지의 러시아어 기수 복습 숫자 기수 0 ноль[놀] нуль[눌] 1 оди́н[아진] 2 два[드바] 3 три[뜨리] 4 четы́ре[치띄리] 5 пять[뺘ㅉi] 6 шесть[쉐스ㅉi] 7 семь[솀] 8 во́семь[보심] 9 де́вять[뎨비ㅉ] 10 де́сять[뎨시ㅉ] 2. 100~1000까지의 100단위 러시아어 기수 정리 우선 100과 관련된 어근은 -ст-다. 그러니 숫자에서 -..
러시아어 독특한 명사와 형용사의 복수 여격, 복수 조격, 복수 전치격 정리 1. 명사의 복수 복수 여격, 복수 조격, 전치격 1-1. оте́ц의 복수 여격, 복수 조격, 복수 전치격 (оте́ц) 복수 주격 отцы́ 생격 여격 отца́м 대격 조격 отца́ми 전치격 (об) отца́х '아버지'를 뜻하는 활동체 남성명사 оте́ц[아쪠ㅉ]는 단수 주격을 제외하곤 모음 е́[예]가 사라진다. 이를 문법학적으로 단순히 출몰모음(о[오], е[예], ё[요])이 사라졌다라고만 하는데, 사실 이 출몰모음은 후부 예르(ъ)와 전부 예르(ь)가 모음으로 바뀌거나 사라지게 되는 하블리크 법칙으로 인해 발음이 바뀐 것이다. 예르 강도에 따른 예르 분류 현대 표기 후부 예르(ъ) (발음 : 짧은 [u(ㅜ)]) 강한 후부 예르(강한 ъ) о (모음) 약한 후부 예르(약한 ъ) (사라짐..
러시아어 여격, 인칭대명사의 여격과 여격을 쓰는 표현 2개 1. 러시아어의 여격 여격(與格, dative case)은 한자어로 '주는(與) 대상에 관한 격(格)'을 뜻하며, 영어로는 '주어진/받은(given), 제공된/만들어진'이라는 뜻의 라틴어 분사 datus[다투스]에서 유래했다. 즉, 무언가를 받는 대상에 대한 격이라는 뜻이다. 러시아어에서 이 여격은 기본적으로 행동에 대한 간접목적어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즉, '~에게/~께'라는 뜻이다. 그러나 가끔 한국어로 '~을/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자. писать подруге. : 여사친에게 편지쓰다. позвонить отцу. : 아버지에게 전화하다. дарить друзьям : 친구들에게 선물하다. отправлять партнёру. : 파트너에게 보내다. [한국어와 다르게 여격을 쓰는 ..
'우리 점심으로 뭐 먹지?'를 러시아어로 뭐라고 할까? 1. '우리 뭐 먹지?'를 러시아어로 표현해보자 친구들, 회사 동료들, 가족끼리, 다양한 상황에서 같이 무언가를 먹고 싶을 때 우린 '우리 뭐 먹을까?', '우리 뭐 먹지?'라고 말한다. 그럼 이 말은 러시아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Что мы будем есть?[쉬또 믜 부뎀 예스쯔] 직역하면 '무엇을(Что) 우린(мы) 먹으(есть)ㄹ거야(будем)?'가 된다. Что мы будем есть 특징 의문대명사 인칭대명사 불완료상 자동사 быть의 1인칭 복수 미래 직설법 불완료상 타동사 완료상 : пое́сть 뜻 무엇? 우리(we) 우리는 ~ㄹ 것이다 ~을 먹다 2. '우리 점심으로 뭐 먹지?'를 러시아어로 표현해보자 2-1. '점심으로(for lunch)'를 러시아어로 표현해보자. 우선 이 ..
육고기, 과일, 채소, 음료, 기타로 구분한 몇몇 25개 러시아어 음식 단어의 유래 вода, яйцо, молоко, хлеб, сыр, оливковое масло, колбаса, баклажан, помидор, огурец, капуста, сок, морковь, картофель, перец, гриб, лук, чеснок, яблоко, апельсин, виноград, торт, мясо, курица, рыба. 이 25개의 음식과 관련된 단어를 육고기, 과일, 채소, 음료, 기타로 구분해 정리하겠다.1. 각 단어의 뜻과 유래에 대해1-1. вода́(물)вода́어근어미-вод--а'물'이라는 뜻의 러시아어 여성 불활동체 명사 вода́[바다]는 '이끌다, 움직이다'라는 뜻의  불완료상 동사 води́ть[바지ㅉi]에서 유래했다. 즉, '이끄는 것, 움직이는 것'..
독특하게 격변화하는 불완료상 동사 есть와 пить의 변화형 정리 불규칙 변화는 시험에 나올 가능이 높다. 한편, 실전에서 쓸 때 헷갈리거나 잘못 들을 가능성도 높아서 есть와 пить의 격변화를 정리해봤다.1. есть이전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137)에서 '있다(현재형)'이라는 뜻의 есть와 '먹다'라는 뜻의 есть의 현재형 격변화를 정리한 적이 있다. 이번엔 '먹다'라는 뜻의 불완료상 есть의 전체 격변화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단어 구성부터 살펴보자. [러시아어] 구문 у кого есть와 동사 естьу кого есть라는 구문이 있다. 뜻은 '~가 (~을) 가지고 있다' 그럼 각 단어의 뜻을 보자. - у + 생격 : ~에[at], ~가까이에, 옆에[close to, by]/~의 (소유하)에 - ко..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