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러시아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283)
коллега와 колледж 책을 읽다가 헷갈리는 러시아어 외래어 2개가 있어 따로 정리해봤다. 1. коллега 우선 어형 변화 분석과 어형 변화부터 살펴보자. коллега 어근 어미 -коллег- -а 단수 복수 주격 колле́га колле́ги 생격 колле́ги колле́г 여격 колле́ге колле́гам 대격 колле́гу 생격 조격 колле́гой колле́гами 전치격 колле́ге колле́гах 활동체 통성(通性, common gender, 남성+여성의 성질을 모두 가짐) 명사 коллега[깔례가]는 '협력하는 근무자'라는 뜻으로 주로 쓰이는데, 사전에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коллега 1. 파트너/동료(товарищ) : 연구 파트너(연구 동료), 일 파트너(일 동료), 직업 ..
[무료 공유] 러시아어 동사 암기 표 여러 시도를 거쳐 결국 러시아어 동사 암기표를 만들었습니다. 상과 시제의 관계를 기준으로 표 양식을 만들었어요. [방법] 상단 좌측에 동사의 미정형(동사원형)을 기재한 후 불완료상인지 완료상인지 표시합니다. 그 다음 직설법에는 일반적인 동사의 기본적 변화를 과거/현재/미래 시제에 맞게 적으면 됩니다. 그 밑의 명령법에는 흔히 명령형이라고 부르는 동사 변형 형태를 적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분사 부분에는 형동사를 태(voice)에 맞추고(능동 or 수동), 시제(과거 or 현재/미래 시제 분사 X)에 맞춰 적은 뒤, 능동 형동사에서 유래한 부동사를 기재하시면 됩니다. 아래 표의 양식을 살펴보고,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불완료상-완료상짝 모두 한 장에 인쇄에 들고 다니시면서 이해하시는 겁..
пти́ца와 пти́чка. 각각 무슨 뜻일까? 1. пти́ца우선 구글링을 해봤다. пти́ца[ㅍ찌쪄]는 바로 '새(bird)'라는 뜻이다. 이 단어의 어형 구조를 바로 보자.пти́ца어근접미사어미-пт--иц (작고 귀여운 것을 가리키는 여성 명사화 접미사)-а (여성 명사화 어미)원래 이 단어는 '하늘을 나는 쪼꼬만 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자.пти́ца : 새 1. (동물학) 새(날개형의 상지(팔, верхний конечность)을 가지고 있는 깃털있는 온혈 척추 동물) 2. (집합적) 수렵, 사육, 먹이의 대상과 같은 동물들 ㄴ 동의어 : 고기(мясо), 사냥감(дичь) 3. (비유적/구어적/비격식적(친밀적)) 얼굴(лицо), 사람(особа)다른 뜻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1번 뜻의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 직접 화법과 간접 화법 1. 한국어에서의 직접 화법과 간접 화법직접 화법(direct speech)은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그 사람의 말을 그대로 직접 되풀이하는 화법을 말한다.선생님께서 "열심히 공부해라."라고 말씀하셨다. (직접 화법) 친구는 그녀에게 "밥 좀 먹고 다녀"라고 말한다. (직접 화법) 난 그에게 "간섭하지 마"라고 말했다. (직접 화법) 난 엄마에게 "그 친구랑 놀러가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직접 화법)이렇게 한국어 문법에서 직접 화법은 큰 따옴표(" ")와 그렇게 따옴표 처진 문장 바로 뒤에 인용격 조사 '-(이)라고'가 붙는 형태로 표현된다. 이에 반해 간접 화법(indirect speech)은 남의 말을 인용할 때, 현재 말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인칭이나 시제 따위를 고쳐서 말하는 화법을 말한다. 직..
조격(造格, instrumental case)은 어떤 격일까? 1. 도구격? 구격? 조격? 이 격의 이름에 대해선 아직 일치하는 논문이나 설명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을 염두해두고 보길 바란다. 우선 사전적 정의부터 살펴보자. 도구격(道具格) 문장에서, 체언이 그다음에 오는 서술어의 내용을 실현하는 도구가 되는 격 기구격(器具格) 문장에서, 체언이 그다음에 오는 용언의 내용을 실현하는 기구가 됨을 보이는 격 연장자리 조격(造格) 서술어와 용언 모두 한국어에선 동사와 형용사를 말하나 이 둘은 문장성분이냐 품사냐의 차이기 때문에 세부적으론 의미가 달라진다. 그러나 큰 범위에서 이 둘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고, 정의 또한 거의 유사하다고 봐도 무관하다. 이 정의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체언이 조격이 된다는 것, 체언이 뒤에 오는 용언 혹은 서술어의 내용을 실현한다는 것 이 두..
전치격, 러시아어에만 있는걸까? (feat. 전치사와 후치사) 1. 전치사와 후치사 전치사(前置詞, preposition)는 명사나 대명사 앞에(前, pre-) 놓여(置, position) 공간적, 시간적 관계를 표현하거나 다양한 의미적 역할을 표시하는 품사이며, 후치사(後置詞, postposition)는 명사나 대명사 뒤에(後, post-) 놓여(置, position) 공간적/시간적 관계를 표현하거나 다양한 의미적 역할을 표시하는 품사를 말한다. 그리고 전치사와 후치사를 합쳐 부치사 혹은 접치사(adposition)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글에서도 딱히 이 둘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이 둘을 부치사(접치사)라고 부르도록 하겠다. 영어로 adposition을 부르는 한국어는 부치사(附置詞)와 접치사(接置詞)가 있는데, 이 두 단어는 adposition의 특징..
분사(分詞, participle) - 영어의 분사와 러시아어의 형동사와 부동사 1. participle(분사, 分詞) '공유, 참가, 참석'이라는 뜻으로 쓰인 라틴어 중성 명사 participium[파르티키피움]에서 유래한 영어 명사 participle[파리시펄]은 많은 언어(주로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동사로부터 규칙적으로 파생된, 동사의 행동이나 상태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는 특정 조동사(auxiliaries)에 의한 형용사(adjective) 혹은 보어(complement)를 뜻하는 문법용어다. 쉽게 말해서 동작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생형 형용사라는 말이다. 이들은 영어를 기준으로 사람이나 수(number)를 명시하진 않지만, 주어, 목적어, 시제 등을 가질 수 있으며 한자문화권에서는 분사(分詞)라고 표현한다. 한자든 영어든 이 단어는 '동사 원형에서 동사 어근을 떼어내 써 원..
копи́ровать와 подели́ться 핸드폰 언어를 러시아어로 지정한 경우, 자주 볼 수 있는 동사들 중에 копи́ровать[까삐러버ㅉi]와 подели́ться[뻐딜릿짜]다. 오늘은 이 단어들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1. копи́ровать '베끼다, 복사하다'라는 뜻의 불완료상 타동사 копи́ровать[까삐러버ㅉi]의 어형 분석부터 해보자. копи́ровать 어근 삽간사 접미사 동사 어미 -коп- -ир- -ова -ть 여기선 접미사 -ова가 들어가는 것을 보아 직설법 현재형과 이를 기초로 해서 바뀌는 다른 변화형에서 -ова 부분이 -у로 바뀔 것이란 걸 예측할 수 있다. 이제 이 단어의 사전적 뜻도 정의해보자. копи́ровать : 베끼다(복사하다) 1. 복사하다(무언가의 복사(ко́пия)를 하다) 2. (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