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러시아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7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283)
피자를 러시아어로 뭐라고 할까? (몇몇 음식에 대한 러시아어 단어) 오늘은 피자, 샐러드, 핫도그, 쌀(밥), 바나나, 와인, 차, 콜라를 러시아어로 뭐라고 하는지 정리해볼 것이다. 1. пи́цца(피자) 피자(pizza)는 러시아어로 пи́цца[삦짜]라고 한다. 이는 당연히 이 음식의 고향인 이탈리아어 pizza[삣짜]에서 유래했다. 여기서 어근은 -пицц-[-삦ㅉ-]이며, 어미는 -а[-아]로, 여성 불활동체 명사이다. (пи́цца) 단수 복수 주격 пи́цца пи́ццы 생격 пи́ццы пи́цц 여격 пи́цце пи́ццам 대격 пи́ццу (주격) 조격 пи́ццей пи́ццами 전치격 пи́цце пи́ццах 2. сала́т(샐러드) 샐러드(salad)는 러시아어로 сала́т[살랏ㅌ]라고 한다. 이 명사는 이탈리아어로 '짠(salty),..
экску́рсия는 무슨 뜻일까? 1. Таня ездила на экскурсию со своей подругой Таня ездила на экскурсию со своей подругой. 따냐는 그녀의 여사친과 무언가를 타고 갔습니다. на экскурсию. на+ 대격으로 표현되니, '~로' 해석이 된다. 장소가 목표인 경우를 말하는 거이기 때문이다. 다시 해석하면, 따냐는 ''экскурсия'로 그녀의 여사친과 무언가를 타고 갔습니다.'라고 해석된다. 그럼 여기서 экскурсия은 무슨 뜻일까? 2. экскурсия экскурсию는 экскурсия의 대격이다. 그러니 экскурсия의 뜻을 알면 자연스럽게 해석이 될 것이다. 우선 어형 분석부터 해보자. экскурсия 어근 접미사+어미 -экскурс- -ия..
[러시아어] 복수형에서 불규칙 변화를 하는 брат, друг, дерево 오늘 복수 전치격에 대해 배웠다. 명사 복수 전치격 어미는 -ах/-ях이며, 형용사 복수 전치격 어미와 소유대명사 복수 전치격 어미는 -ых/-их이며, 지시대명사의 복수 전치격 어미는 -х다. 이 중 복수형 자체가 불규칙해 복수 전치격도 이상하게 변한 듯 보이는 단어 3개를 오늘 다시 정리하려고 한다. 사실 교수님께서 시험 내신다고 하셔서 정리하는거다~ 1. брат брат 단수 복수 주격 брат бра́тья 생격 бра́та бра́тьев 여격 бра́ту бра́тьям 대격 (생격) 조격 бра́том бра́тьями 전치격 бра́те бра́тьях 호격 бра́те - брат[브랕ㅌ]는 брат 자체를 어근으로 가지는 활동체 남성 명사로 뜻은 '같은 부모에게서 나온 남자 아이들 ..
этот의 격변화를 알아보자. этот의 단수 여성형 대격은 эту일까, этую일까 헷갈려 격변화를 정리해봤다. 1. этот의 정의 э́тот[에땃ㅌ]는 этот 그 자체를 어근으로 가지는 화자나 청자에게 가까운 곳에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다. 우선 한국어의 지시사를 다시 정리해보자. 이 부분을 정확히 이해해야 э́тот에 대한 설명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어의 지시사 이 화자에게 가까운 대상 그 청자에게 가까운 대상 저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거리에 있는 대상 따라서 э́тот은 한국어로 '이(this), 그(that)'로 번역할 수 있는데, 사전에서는 주로 '이(this)'라고 번역한다. 참고로 비슷한 тот은 화자나 청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다른 대상과 비교했을 때 그보다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대상을 가..
Письмо сестры 해석(что와 чтобы) 1. Письмо сестры(여형제의 편지) - 원문 Сестра написала, что она хочет приехать в Москву. Она просила, чтобы мы написали ей, как долго будем в Москве. В письме она спрашивала, что мы будем делать летом. Мы ответили, что будем в Москве всё лето и очень хотим, чтобы она приехала. 2. что와 чтобы что чтобы + 과거시제/현재시제/미래시제 + 과거시제 물음, 진술을 도입하는 동사들 다음에 사용 소망, 충고, 요구, 명령을 나타내는 동사들 다음에 사용 спра́шивать(불완) + что : ..
Журналы стоят на нижней полке? 1. Журналы стоят на нижней полке? 문장 정리 우선 단어부터 정리하자. 어느 정도 배웠다면 대부분 아는 단어일 것이다. журна́л 비활동체 남성 명사 잡지(journal, magazine) стоя́ть 불완료상 자동사 완료상짝 : постоять 서 있다 на 불변화형 전치사 (+전치격) : ~위에(on, upon) ни́жний 상대적 형용사 아래의(하부의, lower, under-) по́лка 비활동체 여성 명사 선반(shelf) 제시된 문장에서 '잡지'를 뜻하는 журна́л[주르날]은 복수 주격인 журна́лы[주르날릐]로 쓰였다. 그래서 '잡지들'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서 있다'라는 뜻의 стоя́ть[스따야ㅉ]는 3인칭 복수 현재 시제 직설법인 стоя́т[..
Когда поют солдаты 한역 Шагает ночь к рассвету, Труба зовет в поход, Солдат Страны Советов О Родине поет. Безусые комбаты Ведут своих орлят... Когда поют солдаты - Спокойно дети спят. 밤이 새벽으로 향해 가고, 나팔은 행군 속에서 울며, 소비에트 국가들의 병사는 조국에 대해 노래한다. 젊은 대대장들은 새끼독수리들을 이끈다... 병사들이 노래 부를 때, 조용히 애들은 잔다. Подхватим песню, братцы, В поход возьмем в друзья, Нам с песней расставаться Сейчас никак нельзя. Послушны автоматы, Машины держат ..
대격(対格)은 어떤 격일까? 오늘 러시아어 대격 복수 어미에 대해서 배웠다. 그때 교수님께서 '한국어에서 이 대격이 목적격으로 쓰이지만, 실은 좀 다르다'라고 말씀하셨고, 대격과 목적격이 어떤 관계인지, 그러면 대격은 어떤 격으로 이해해야할 지 궁금해 정리해봤다.1. 대격이란?대격(対格, accusative case)은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어의 목적어임을 표시하는 격을 말한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대격을 객격(客格), 목적격(目的格)으로도 부른다고도 하나 용어의 범위 차이가 있다. 이 대격은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 언어나 셈어파 언어에서 많이 보인다. 그런데 왜 이름이 'accusative'인걸까? 이 형용사는 '고발하다, 비난하다'라는 뜻의 동사 accuse에‎ '~의, ~에 관한'이라는 뜻의 형용사화 접미사 -ative가 붙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