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산대학교 문창대(1954?)
1954년 이선근 문교부장관이 교지를 둘러보며 문창성이 비치는 곳이라고 하며 부산대학교가 그런 학교가 되길 바라며 세웠다는 문창대입니다.
문창대 - 이 땅에 문창성(文昌星)이 다시 빛나기를 바라며
부산대학교 건설관(401동)과 10.16 기념관(403동) 사이에 부산대학교 약학관(501동), 효원산학협동관쪽으로 갈 수 있는 샛길이 하나 있다. 그 길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비석하나가 보인다. 문창대의
mspproject2023.tistory.com
2. 부산대학교 인문관(1959)
1959년 10월에 준공된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건물((구)부산대학교 본관)입니다. 그 역사성이나 건축성으로 기념되고 있습니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가는 부산대학교 인문관과 고현철 교수 추모
1. 부산대학교 인문관 부산대학교 구 본관인문관의 연혁국가등록문화재제641호 1동/2,631㎡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1957년 9월에 착공하여 1959년 10월에 준공하였다.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
mspproject2023.tistory.com
3. 부산대학교 (구)정문(무지개문)과 (구)수위실(1953)
1957년 4월 20일, 부산대학교 개교 10주년을 맞이해 세워진 무지개문과 그 옆의 (구)수위실입니다.
웅비하여 무지개 사이를 거닐라, 부산대학교 (구)정문과 수위실, 그리고 웅비의 탑
1. 부산대학교 (구) 정문과 수위실부산대학교가 1955년 현재의 부지로 이전하면서부터 현재 무지개문이라고도 불리는 (구) 정문에 처음 정문이 1957년에 세워졌다.이후 1976년 현재의 (현)정문이 세
mspproject2023.tistory.com
4. 부산대학교 오층석탑(1966)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에 위치한 대곡사지(大谷寺址) 오층석탑을 1966년 부산대학교 박물관으로 옮겨왔는데, 이후 2024년 잔디광장으로 옮겨진 오층석탑입니다. 이 석탑은 신라 시대보다 약화되고 형식화된 고려시대 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학교 안에 석탑이 있다고? 부산대학교 박물관 오층 석탑
부산대 인문대 교수연구동, 제2공학관(구 재료관)에서 인덕관, 박물관 별관, 효원산학협동관쪽으로 갈 수 있는 좁은 도로 하나가 있다.이렇게 농협이 있는 교수회관과 화공관 입구를 지나서 계
mspproject2023.tistory.com
5. 부산대학교 웅비의탑(1972/1987)
1972년 12월 5일 처음 지어졌으나 1987년 여름 태풍 셀마(THELMA)로 인해 독수리상이 파손되어 1988년 5월 15일 다시 제작 건립한 웅비의 탑입니다.
웅비하여 무지개 사이를 거닐라, 부산대학교 (구)정문과 수위실, 그리고 웅비의 탑
1. 부산대학교 (구) 정문과 수위실부산대학교가 1955년 현재의 부지로 이전하면서부터 현재 무지개문이라고도 불리는 (구) 정문에 처음 정문이 1957년에 세워졌다.이후 1976년 현재의 (현)정문이 세
mspproject2023.tistory.com
6. 부산대학교 민주동산 10·16부마민중항쟁탑(1988)
부산대학교 민주동산에 부마민중항쟁 9주년을 맞이한 1988년 10월 16일에 세워진 기념탑입니다.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자들을 추모하는 새벽벌도서관 앞의 민주동산
1. 새벽벌도서관 앞에서 민주 항쟁을 기념하다 부산대 새벽벌도서관 앞에는 이런 작은 동산이 있다. 3개의 입구 중 나무계단으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가 봤다. 계단을 올라가면 위로 치솟는 듯한
mspproject2023.tistory.com
7. 부산대학교 민주동산 고 양영진 열사 추모시비(1992)
1992년 11월 3일, 방위병으로 근무하던 중 군대와 미국을 비판하며 1988년 10월 10일 투신 자결한 고 양영진 열사 추모비입니다.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자들을 추모하는 새벽벌도서관 앞의 민주동산
1. 새벽벌도서관 앞에서 민주 항쟁을 기념하다 부산대 새벽벌도서관 앞에는 이런 작은 동산이 있다. 3개의 입구 중 나무계단으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가 봤다. 계단을 올라가면 위로 치솟는 듯한
mspproject2023.tistory.com
8. 부산대학교 민주동산 고 장재완 열사 추모비(1994)
1994년 10월 10일에 1983년에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입학해 전두환 신군부 독재에 저항하는 학생 운동에 참여했다가 학생운동 관련 문건을 잃어버린 것을 알아차리고 동지들을 구하기 위해 1987년 3월 27일 야산에서 자결한 장재완 열사를 기리는 추모비입니다.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자들을 추모하는 새벽벌도서관 앞의 민주동산
1. 새벽벌도서관 앞에서 민주 항쟁을 기념하다 부산대 새벽벌도서관 앞에는 이런 작은 동산이 있다. 3개의 입구 중 나무계단으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가 봤다. 계단을 올라가면 위로 치솟는 듯한
mspproject2023.tistory.com
9.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처녀 여사 흉상(1997)
1996년 7월, 장사로 벌어들인 모든 재산을 남안장학기금으로 부산대학교에 기증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997년 11월 5일에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앞에 세운 강처녀 여사 흉상입니다.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앞 2개의 동상들
이름처럼 교내 도서관의 으뜸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의 뜰에는 2개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우선 좌측에 장영실로 추정되는 옛날 인물이 서있다. 장영실이 맞다면 그가 현재의
mspproject2023.tistory.com
10. 부산대학교 부마항쟁 20주년 기념 표지석(1999)
1979년 부마항쟁 당시 (구)도서관((현)건설관) 앞에서 행진을 시작했던 일을 기념하기 위해 20주년을 맞이한 1999년 10월 16일에 건설관 앞에 세운 표지석입니다.
부산대학교 건설관((구)도서관) 앞의 부마 민주 항쟁 발원지 표지석
부마 항쟁 속 부산대학교의 물결은 지금의 건설관, 당시의 (구)도서관에서 시작되었다. 1979년 그 당시에 이미 중앙도서관이 지어졌기 때문에, 현재의 건설관이 있었던 곳은 그 때에도 (구)도서관
mspproject2023.tistory.com
11. 부산대학교 제11공학관 선박용 프로펠러(2000)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53학번 기업인 김일웅씨가 학과 설립 50주년인 2000년 4월 1일에 기증한 선박용 프로펠러입니다.
후배들이여! 바다로! 성공으로!,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설립 50주년 기념 선박 프로펠러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관 혹은 정식 명칭 부산대학교 제11공학관 입구 입니다.이 제11공학관 입구 왼편에는 기념물 하나가 세워져 있습니다.조선해양공학과 설립50주년 기념2000년 4월 1일선박
mspproject2023.tistory.com
12. 부산대학교 대학본부 경암 송금조 선생 동상(2004)
2003년 10월, 부산대학교로 기부를 위해 경암 송금조 선생 부부는 현금 100억원을 직접 전달했으며, 나머지 205억을 2009년까지 분할 출연하기로 약정한 것을 기념하여 2004년 11월 23일에 지어진 동상입니다.
부산대 대학본부 앞의 경암 송금조 선생 동상
1. 경암 송금조 선생 동상 경암(耕岩), 숭고한 사표(師表) 경암(耕岩) 송금조(宋金祚) 선생(1924~2020)은 1924년 경남 양산군 철마면 송정리에서 태어났다. 역사의 격동기에 신산(辛酸)한 청소년기를
mspproject2023.tistory.com
13. 부산대학교 민주동산 고 정행구 열사 추모비(2004)
2004년 11월 25일, 사망한 지 10주년이 되는 2004년 11월 25일에 세워진 고 정행구 열사 추모비입니다. 92학번이었던 그는 부산대학교 섬유공학과 선전부장과 중앙통일선봉대 활동을 했다가, 1994년에는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강화를 위해 활동하다가 투신합니다.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자들을 추모하는 새벽벌도서관 앞의 민주동산
1. 새벽벌도서관 앞에서 민주 항쟁을 기념하다 부산대 새벽벌도서관 앞에는 이런 작은 동산이 있다. 3개의 입구 중 나무계단으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가 봤다. 계단을 올라가면 위로 치솟는 듯한
mspproject2023.tistory.com
14. 부산대학교 민주동산 이종률 교수 기림비(2005)
1905년 6월 6일에 태어나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6·10만세운동, 신간회 활동을 광복 후에는 조선학술원 조직 활동, 민족건양회 등의 활동을 하였으며, 민족일보를 창간하고 민주민족청년동맹 결성을 지도하면서 인민혁명론을 완성했던 이종률 교수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2005년 6월 6일에 세워진 이종률 교수 기림비입니다.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자들을 추모하는 새벽벌도서관 앞의 민주동산
1. 새벽벌도서관 앞에서 민주 항쟁을 기념하다 부산대 새벽벌도서관 앞에는 이런 작은 동산이 있다. 3개의 입구 중 나무계단으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가 봤다. 계단을 올라가면 위로 치솟는 듯한
mspproject2023.tistory.com
15. 부산대학교 인문관 새벽벌의 소요유(2006)
2006년 2월 14일에 세워진 부산대 인문인을 상징하는 '새벽벌의 소요유'라는 동상입니다.
부산대 인문대학 앞의 동상, 새벽벌의 소요유
부산대학교 장전캠퍼스 인문대학입니다. 처음에 세워질 땐 '문리학부'로 불렸다가, 이후 '문리과대학'이 되었고, 1981년부터는 '인문대학'으로 불리게 됩니다. 이 인문대학의 건물 인문관에 대한
mspproject2023.tistory.com
16. 부산대학교 개교 60주년 기념비 및 기념 계단(2006)
2006년 5월, 부산대학교 60주년을 기념하는 개교 60주년 기념비와 기념 계단입니다.
문창대 - 이 땅에 문창성(文昌星)이 다시 빛나기를 바라며
부산대학교 건설관(401동)과 10.16 기념관(403동) 사이에 부산대학교 약학관(501동), 효원산학협동관쪽으로 갈 수 있는 샛길이 하나 있다. 그 길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비석하나가 보인다. 문창대의
mspproject2023.tistory.com
17. 부산대학교 생물관 조각공원(2006)
사회복지학과 77학번 이상조씨의 기부로 만들어져 2006년 6월 20일에 준공식을 거쳐 열린 약 8점의 조각이 있는 생물관 입구의 조각공원입니다.
봄에 사진찍기 좋은, 생물관 앞 부산대학교 조각공원
부산대학교에서 인문관에서 북문으로 자주 걷는데, 그 때 생물관이 있는 길을 자주 걷곤 합니다.이 길을 가다보면 생물관 앞으로 작은 공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부산대학교 조각
mspproject2023.tistory.com
18. 부산대학교 민주동산 고 신용길 선생 추모비(2008)
2008년 3월 22일,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다가 부마민주항쟁에 참여했던 신용길(1957~1991)을 기리는 추모비입니다.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자들을 추모하는 새벽벌도서관 앞의 민주동산
1. 새벽벌도서관 앞에서 민주 항쟁을 기념하다 부산대 새벽벌도서관 앞에는 이런 작은 동산이 있다. 3개의 입구 중 나무계단으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가 봤다. 계단을 올라가면 위로 치솟는 듯한
mspproject2023.tistory.com
19. 부산대학교 사회관 죽암 박희영 선생 기념비(2009)
2008년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 10억원을 기부한 기업인 죽암 박희영 선생을 기념해 2008년 9월에 세워진 죽암 박희영 선생 기념비입니다.
부산대학교 사회관 앞의 문창솔, 그리고 예원정
부산대학교 사회관 정문쪽 입구를 보면 큰 소나무 하나가 있다. 문창솔 문창(文昌)은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입니다. 효원인의 학문과 기상이 이 푸른 소나무와 함께 창성하기를 기원하는 뜻
mspproject2023.tistory.com
20. 부산대학교 사회관 문창솔(2009)
2009년 2월 21일, 사회관 앞 사잔은 사람다움의 근본인 예가 자리잡길 바라는 예원정으로 이름을 바꾸며 재탄생합니다.
부산대학교 사회관 앞의 문창솔, 그리고 예원정
부산대학교 사회관 정문쪽 입구를 보면 큰 소나무 하나가 있다. 문창솔 문창(文昌)은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입니다. 효원인의 학문과 기상이 이 푸른 소나무와 함께 창성하기를 기원하는 뜻
mspproject2023.tistory.com
21. 부산대학교 사회관 문창솔(2009)
2009년 2월 21일, 예원정으로 이름을 바꾼 사잔에 효원인의 학문과 기상이 이 푸른 소나무와 함께 창성하기를 빌면서 예원정 앞으로 옮겨 심어진 문창솔입니다.
부산대학교 사회관 앞의 문창솔, 그리고 예원정
부산대학교 사회관 정문쪽 입구를 보면 큰 소나무 하나가 있다. 문창솔 문창(文昌)은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입니다. 효원인의 학문과 기상이 이 푸른 소나무와 함께 창성하기를 기원하는 뜻
mspproject2023.tistory.com
22. 부산대학교 지구관 지질박물관(2013)
2013년 4월 4일 부산대학교 지구관 1층에 개관한 지질박물관입니다. 지질시대의 주요 화석, 인류 두개골, 화산 분출물, 여러 종류의 암석, 운석, 형광 광물 등 500점 이상의 전시되어 있습니다.
23. 부산대학교 제2공학관(재료관) 에너지(2013)
2013년 11월, 재료관(제2공학관) 앞에 세워진 김문규 작가의 '에너지' 조각입니다. 공과대학의 사람들이 멋진 미래를 가지고, 선순환을 일으키길 바라며 지어진 조각상입니다.
24. 부산대학교 물리관 반데그라프 가속기(2013)
2013년 11월 29일, 부산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지금은 돌아가신 한 교수님의 연구실에 있던 반데그라프 가속기를 전시하며 그 업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부산대 물리관 앞에 있는 부산대학교 반데그라프 가속기
부산대 물리관 앞의 넓은 쉼터엔 '부산대학교 반데그라프 가속기'라는 기계가 놓여져 있습니다. 부산대학교 반데그라프 가속기(Van de Graaff Accelerator) 부산대학교 반데그라프 가속기(A-LC-400, High Vo
mspproject2023.tistory.com
25.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4층 바다거북(2014)
2014년 12월 제13대 부산대학교 총장 화정 서주실 박사가 기부한 박제 바다거북입니다.
서주실 전 부산대 총장이 기부한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바다거북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4층 과학기술자료관으로 올라와 안내데스크가 있는 신관쪽으로 틀어 안내데스크가 있는 왼쪽 벽을 따라 앞으로 가면 왼편에 박제되어 기증된 바다거북이 유리창에 담겨
mspproject2023.tistory.com
26. 부산대학교 인문관 고현철 교수 추모 조각상 '부활'(2016)
2015년 8월 17일에 대학민주화와 사회민주화를 위해 대학본관 4층의 국기게양대에서 투신했던 고현철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추모하기 위해 2016년 8월 17일에 지어진 추모조각상 '부활'입니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가는 부산대학교 인문관과 고현철 교수 추모
1. 부산대학교 인문관 부산대학교 구 본관인문관의 연혁국가등록문화재제641호 1동/2,631㎡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1957년 9월에 착공하여 1959년 10월에 준공하였다.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
mspproject2023.tistory.com
27. 부산대학교 학술림(부산치유의숲)(2017)
2017년 11월에 개장한 부산치유의숲 중 힐링로드 구간입니다.
40분 정도 시원하게 걸을 수 있는 부산 기장 철마 부산치유의숲 힐링로드
부산 기장군 철마면 철마천로 101에 부산치유의숲(부산대학교 제1학술림)이 있습니다.이곳으로 마을버스 기장2-3가 정차하는데, 시간표는 이 글을 참고해주세요~주차장도 넓고 무료이기 때문에
mspproject2023.tistory.com
28. 부산대학교 대학본부 김경헌 회장 흉상(2019)
2019년 7월 24일, 부산대학교 평생교육원 경헌실버아카데미와 경헌장학금 등을 만든 김경헌 회장 흉상입니다.
지적인 노인이 되길! 부산대 김경헌 회장 흉상
이곳은 부산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한 부산대학교 대학본부입니다.대학본부 1층 입구로 들어가 경비실 방향 왼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김경헌(金慶憲, 1927~2017) 회장 흉상'이 있습니다~주변에 여러
mspproject2023.tistory.com
29. 부산대학교 부마항쟁 40주년 기념 표석(2019)
2019년 10월 16일, 부마항쟁 40주년을 맞아 (재)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에서 학생들이 유인물을 배포하며 구호를 외치기 시작한 (구)자연과학관((구)상학관) 옆에 이 표석을 세웠습니다. 이 표석은 현재 잔디광장으로 옮겨졌습니다.
부산대학교 내의 부마항쟁 40주년 기념 표석
부산대학교 자연과학관 정문 바로 왼편 교차로 직전에 자그마한 기념 표석이 세워져 있다.기념 표석의 앞면엔 QR코드가 있는데 이를 스캔하면 유튜브의 최태성의 부마로드 부산편 영상(https://www
mspproject2023.tistory.com
30. 부산대학교 민주동산 최종철 열사 추모비(2021)
2021년 10월 9일에 세워진 1977년 부산대학교 기계공학계열로 입학했다가 1979년 부마항쟁과 1980년 5·18 민주항쟁에서 활동했다가 1981년에 사망한 최종철 열사를 기리는 최종철 열사 추모비입니다.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자들을 추모하는 새벽벌도서관 앞의 민주동산
1. 새벽벌도서관 앞에서 민주 항쟁을 기념하다 부산대 새벽벌도서관 앞에는 이런 작은 동산이 있다. 3개의 입구 중 나무계단으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가 봤다. 계단을 올라가면 위로 치솟는 듯한
mspproject2023.tistory.com
31. 부산대학교 새벽뜰(2024)
2024년 4월 25일 자연과학관을 허문 자리부터 물리관 옆까지의 구간에 꽃밭 새벽뜰이 세워집니다.
속보! 부산대학교 새벽뜰 정원과 잔디광장의 잔잔한 아름다움이 드러나다!
부산대학교 제1물리관과 제2물리관 왼편부터 자연과학관 부지박물관 입구까지의 공간은 한때는 주차장이었고, 또 한때는 흡연장이었던 곳이었고, 또 한때는 나무만 있던 휴식공간이었습니다.
mspproject2023.tistory.com
32. 부산대학교 가온나래(2024)
2024년 5월 28일 개관한 부산대학교 박물관 내 복합문화공간 가온나래입니다.
진리를 향해 날아오르다! 부산대학교 복합문화공간 가온나래
이곳은 부산대학교 박물관입니다. 2024년 5월 28일 개관식 이후부터 지금까지 열려 있는 복합문화공간이에요~위치부산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박물관 A동시간월~금 10~17시 (토, 일, 공휴일 휴관
mspproject2023.tistory.com
33. 리뉴얼된 부산대학교 박물관(2024)
2024년 10월 28일에 총 2층(1층 : 특별전시, 2층 : 상설전시)으로 리뉴얼된 부산대학교 박물관입니다.
리뉴얼! 선사부터 삼국까지, 부산대학교박물관 상설전시(2층)
1. 부산대학교박물관 상설전시관을 보러가다2024년 10월 28일 월요일 부산대학교박물관이 새롭게 재개막했습니다!1층에는 기획전인 부산대학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산시지정유형문화유산
mspproject2023.tistory.com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비 부산과 브라운핸즈 백제점이 들어선 구 백제병원 (2) | 2025.01.03 |
---|---|
금정구청 앞에 세워진 열녀비 - 김해김씨 열녀비 (2) | 2025.01.03 |
한양 도성의 남문, 숭례문 (1) | 2024.12.31 |
서울의 철도 관문으로 이름 높았던 (구)서울역 (1) | 2024.12.31 |
옛 절이 있던 곳에서 3·1운동의 발화지까지, 탑골공원 (3)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