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33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48)
가을의 계어(秋の季語) 1. 시후(時候) 秋 [あき/아키] : 가을 秋風月 [あきかぜづき/아키카제즈키] : 가을바람달(음력 8월) 秋口 [あきぐち/아키구치] : 가을입(초가을, 첫가을) 秋さぶ [あきさぶ/아키사부] : (눈에 띄게) 가을다워지다 (バ행 상2단 활용 동사) ㄴ -びる[비루] : ~의 상태를 띠다, ~인 것처럼 보이다 [접미사] ㄴ 명사나 형용사의 어간 등에 붙어 상1단 활용 동사를 만듬. 문어형에서는 상2단 활용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ぶ [부]가 있음 秋寒 [あきさむ/아키사무] : 가을의 추위 秋され [あきされ/아키사레] : 가을이 됨, 가을이 깊어짐 ㄴ あきざれ [아키자레]라고도 한다. 秋末 [あきずえ/아키즈에] : 가을끝(만추, 늦가을) 秋立つ [あきたつ/아키타츠] : 가을이 서다(달력상으로 가을의 계절이 ..
여름의 계어(夏の季語) 1. 시후(時候) 青水無月 [あおみなづき/아오미나즈키] : 음력 6월 ㄴ 푸른(あお) 물(み)의(な) 달(づき)이라는 뜻이다. 朝涼 [あさすず/아사스즈] : 아침의 시원함 暑さ [あつさ/아츠사] : 더위(기온이 높음), 더운 계절 ㄴ형용사, 형용동사 등의 어간에 붙어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さ가 붙었다. 卯月 [うづき/우즈키] : 음력 4월. 묘(卯)의 달 ㄴ 병꽃나무 꽃(うのはな)이 피는 달(つき), 벼의 씨를 심는(植, うえる) 달(月, つき)이라는 뜻이다. 卯の花月 [うのはなづき/우노하나즈키] : 음력 4월 ㄴ 병꽃나무 꽃(うのはな)이 피는 달(つき)이라는 뜻이다. 炎夏 [えんか/엔카] : 염화(더운 여름, 한여름) 炎暑 [えんしょ/엔쇼] : 염서(혹서) 炎帝 [えんてい/엔테이] : 염제(신농씨), ..
봄의 계어(春の季語) 1. 시후(時候)暖か [あたたか/아타타카] : 따뜻함(따스함) 麗らか [うららか/우라라카] : 화창함 陽炎 [かげろう/카게로우] : 아지랑이 木の芽時 [このめどき/코노메도키] : 나무싹이 자랄 무렵 春暁 [しゅんぎょう/슌교-] : 춘효(봄새벽) 春昼 [しゅんちゅう/슌츄-] : 춘주(봄 낮) 遅日 [ちじつ/치지츠] : 지일(늦는 날) ㄴ 실제로는 하지가 해가 저무는 것이 가장 늦지만, 겨울에 해가 지는 것이 빠르고, 이런 겨울과 비교해서 봄에 해가 지는 것이 느려보인다. 長閑 [のどか/노도카] : 화창함 ㄴ 봄에 해가 길어지고(長) 한가한(閑) 느낌이 든다. 春 [はる/하루] : 봄 春先 [はるさき/하루사키] : 봄앞(초봄) 春寒 [はるさむ] : 봄추위(입춘을 지나도 거듭되는 추위) 春立つ [はるたつ/하루..
'~에서'를 뜻하는 において(니오이테) 일본어 사전을 찾아보면 'においては[니오이테와]'라는 말을 자주 볼 수 있다. 이 말을 확실히 이해하고 복습하기 위해 정리해보았다. 1. 於라는 글자에 대하여 於는 한국어에서 '~에서'를 뜻하는 어조사로 사용된다. 於의 초서체는 일본어 히라가나 お[오]가 되었고, 같은 글자 초서체의 변(邊)은 가타카나 オ[오]가 되었다. 이 한자를 음독하면 オ[오]가 되며, 훈독하게 되면 於いて[오이테], 於ける[오케루]가 된다. 여기서 於いて와 於ける의 뜻을 먼저 알아보자. 2. 於いて와 於ける 우선, 於いて [오이떼]는 ~에(서), ~에 관해(서)라는 뜻이다. 於いて [おいて] (おいて는 おく의 て형) (おきて의 음변화) (において(직역 : ~에 두어서)의 형태로 사용되어) 1. 장소를 나타냄 : ~에(서)(で, に..
계어(季語), 계절을 담다 일본 온천 여행을 가고 싶다는 작은 바램에 시간날 때마다 일본어를 공부중이다. 이제서야 책 N5를 다때었고, 지금은 일본 노래들을 들으면서 조금씩 일본어 능력을 키워가고 있다.올해 초 일본어로 간단한 인사정도밖에 몰랐던 나는 지금은 간단한 자기소개, 물품 구입과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일본 사전을 읽으며 그 내용의 절반은 번역기 없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최근 들은 일본 노래들의 가사를 정리하며 어휘를 늘려가던 중 계어(季語, きご)에 대해 푹 빠지게 되었다.계어가 무엇인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1. 계어란 무엇인가?계어(季語)하이쿠(俳句)에서 계절과 결부되어 그 계절을 나타낸다고 정해져있는 말.렌가(連歌)와 하이카이(俳諧)에서는 계절말(季詞, きことば) 혹은 계절의 말(季..
가지, 茄子, ナス의 유래 가지의 어원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고 글을 쓴다. 1. 한국어 가지와 중국어 茄子[치에쯔]의 유래 가지 [茄子] (茄子에서 유래) 1. 가지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60~100cm이며, 온몸에 털이 나 있고, 잎은 어긋난다. 줄기와 잎은 검은 자주색이고 6~9월에 흰색이나 엷은 자주색 따위의 통꽃이 핀다. 열매는 식용한다. (논란 중이지만) 인도가 원산지로 세계 각지에 150여 종이 분포한다. 2. 1의 열매. 흔히 검은 자줏빛으로 긴 원통 모양이며, 익혀서 반찬으로 쓴다. - 네이버 국어사전 암탉의 알을 닮았다고 해서 eggplant라고 불리는 가지. 사실 이 단어는 가자(茄子)라는 중국 한자어에서 유래했다. 茄 [가]라는 글자는 풀을 뜻하는 艹[초]에 加[가]라는 음이 합쳐진 뜻이기에 '가'라..
몇몇 러시아어 이름(애칭)의 유래 [참고] 내가 공부하려고 적은 러시아어 고유명사(https://mspproject2023.tistory.com/412) Боря [볼랴] Борис [보리스]에 지소격 접미사 -я[-야]가 붙은 형태다. 흔히 불가리아의 보리스 1세(Борис I, ~907)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 그의 이름은 사어가 된 오구르 투르크어 인명이며 현재는 뜻이 전해지지 않는다. Валера [발례라] Валерий [발례리]에 지소격 접미사 -а [-아]가 붙은 형태다. 파르티아 로마 씨족(gens) 중 하나인 Valerius [발레리우스]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나는) 강하다'라는 뜻의 valeō[발레오]에서 유래했다. 라틴어 동사 valeō는 '가치'라는 뜻의 영어 value의 어원이기도 하다. Валя..
옛 사람들의 이름은 왜 이렇게 다양한가? - 자와 명의 차이 1. '공자'가 이름이 아니라고? 어떤 한 인물에 대해 검색해보면 거진 첫 줄에는 그 사람의 이름, 살던 시대, 직업에 대해서 적혀 있다. 다만 현대 한자문화권 지역에서는 사전에 직접적으로 해당 인물의 씨, 성, 명, 자 등에 대한 세부적인 구분을 하지 않고 있다. 아래는 2021년 7월 8일 현재 동북아시아 3개국 지도자에 대한 간략한 정보이다. 문재인(文在寅, 1953년 1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 시진핑(习近平, 1953년 6월 15일~)은 조적(祖籍, 원적)은 허난성 덩저우시이고, 적관(籍贯, 본적)은 산시성 푸핑현이며, 베이징에서 태어난 중국공산당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아베 신조(安倍 晋三, 1954년 9월 21일~) : 일본의 정치가. 자유민주당 소속의 중의원 의원 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