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일본어 (88)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본에서 유행 중인 한본어-피진과 말씨 바꾸기 1. 일본에서도 한본어가 유행한다고? 2020년경 일본에서 사랑의 불시착, 이태원 클라스과 같은 TV 드라마나 넷플릭스 방영작 사이코지만 괜찮아 등이 유행하면서 한류를 좋아하는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를 섞은 말이 유행 중이다. 이러한 말을 한본어 혹은 일한 믹스어(日韓ミックス語)라고 하는데 이는 피진 혹은 코드 스위칭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이 한본어 중 알기 쉬운 6가지를 소개한다. アラッソです [아랏소데스] = 이해했습니다 キヨい [키요이] = 귀엽다(かわいい) まじコマウォ [마지코마워] = 정말 고마워 チェゴかよ [체고카요] = 최고에요 チンチャそれな [친챠소레나] =진짜 그래 テバい [테바이] = 대박이다 アラッソです[아랏소데스]는 한국어 '알았어'에 문장의 끝을 나타내는 경칭 .. 하츠네 미쿠-운상의 사가(雲上のサーガ) (参ろうや ソラのホコラへと 参ろうや) ([마이로우야 소라노 호코라에토 마이로우야]) (들라 하늘의 사당에로 들라) 参る [まいる/마이루] : 들다(가다, 오다의 겸양어), 상대방에게 우위를 빼앗기다 [ラ행 5(4)단 변화 자동사] ㄴ '뵙다'라는 뜻의 상1단 활용 동사 まいる에 '들다'라는 뜻의 入る [いる]가 붙은 参入る [まいいる]의 음변화형. 원래まいいる는 '찾아뵙다(알현하다)'라는 뜻이었다. ㄴ 参ろう [まいろう/마이로우] : 들자(오자, 가자) (의향형(意向形, Volitional)) ㄴ 参ろうや [まいろうや/마이로우야] : 들거라(오너라, 가거라) 祠 [ほこら/호코라] : 사당 ㄴ 신고(신보(神寶)를 넣는 곳집)를 뜻하는 神庫 [ほくら/호쿠라]의 음변화. ほこら, ほくら의 ほ는 빼어나다(秀)라.. IA-사계각가(四季刻歌) 何時か見た影法師 [이츠카 미타 카케보우시] 언젠가 봤던 사람그림자 影法師 [かげぼうし/카게보우시] : 사람 그림자(그림자법사) (명사) 遠い遠い日の思い出は [토오이 토오이 히노 오미이데와] 멀고 먼 날의 추억은 遠い [とおい/토오이] : 멀다 (형용사) 思い出[おもいで/오모이데] : 추억 記念 [きねん/키넨] : 기념 (명사, スル) 春が過ぎ夏が来る [하루가 스기 나츠가 쿠루] 봄이 가고 여름이 와 刻は止まることなく [토키와 토마루 코토 나쿠] 시간은 멈추지 않네 時 [とき/토키] : 시간, 때 分かってた、はずだったのに [와캇테타, 하즈닷타노니] 알고있었어, 당연히 (알고 있었을)텐데 分かる [わかる] : 알다 (ラ행 5(4)단 활용 자동사) ㄴ 分かった : (막) 알았다, 알겠다 (分かる의 완료형) ㄴ.. 내가 공부하려고 적는 일본어 단어장 작년부터 여행을 위해 일본어 공부를 하고 있다. 그래선가 종종 일본 뉴스를 자주 보고 있다. 일본 뉴스, 신문 등을 보며 모르는 단어들을 정리하며 복습하려고 글을 적는다. 보충 설명은 글자 바로 아래에 적으며, 빨간색은 문법과 관련된 보충설명이며, 파란색은 그 외 나머지 부가 설명들이다. 또, 청음-탁음-반탁음 순으로 표기한다. 순 한자음으로 읽은 단어는 이곳(https://mspproject2023.tistory.com/436)에 따로 정리했으니 참고바란다. 相 [あい] : 맞메질, 한패 [명사] 相- [あい-] : 함께, 서로(더불어) [접두사] ㄴ 접두사로 쓰일 때는 명사, 동사에 붙는다. 愛 [あい] : 사랑 相容れない [あいいれない] : 서로 용납하지 않다(양립하지 않다) [연어] 会う [あう].. 言う는 [イウ/이우]라고 할까, [ユー/유-]라고 할까? 1. 言은 어떻게 발음할까? 言라는 한자를 음독하면 겐(ゲン), 곤(ゴン)으로 읽으면, 훈독하면 이우(言う, いう), 코토(言, こと)라고 읽는다. 음독 ゲン (한음) : 언 ゴン (오음) : 언 훈독 言う [いう] : 말하다 言 [こと] : 말 여기서 논란이 되는 부분은 '말하다'라는 뜻의 ワ행 5단 동사 言う(いう)다. 어느샌가 일본에서는 言う를 기존의 [いう/이우]라는 발음과 새롭게 나타난 [ゆう/유-]라는 발음이 같이 쓰이고 있다. 2. いう일까? ゆう일까? 이에 대해 goo사전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言う [ゆう/유-] : 말하다 言う [いう]의 종지형이자 연체형인 いう[이우]를 [ユー/유-]라고 발음하는 것에서 유래했으며, ゆ가 어간이라고 의식되어 생긴 어형. 종지형, 연체형 이외에서는 .. 겨울의 계어(冬の季語) 1. 시후(時候) 一月 [いちがつ/이치가츠] : 1월 一陽来復 [いちようらいふく/이치요-라이후쿠/일양래복] : 일양내복(동지가 끝나고 양의 기운이 강한 봄이 온다) ㄴ 직역하면 '첫번째 양(一陽)이 돌아(復)오다(来)'라는 뜻이며 역경(易經)에서 유래했다. 凍て [いて/이테] : 얼어붙음(한기로 인해 얼어붙는 것) ㄴ '얼다'라는 뜻의 タ행 하1단 활용 자동사 'いてる[이테루]에서 유래했다. 凍て空 [いてぞら/이테조라] : 얼어붙을 정도로 추운 겨울 하늘 いてる[이테루] : 얼다 (タ행 하1단 활용 자동사) 梅初月 [うめはつづき/우메하츠즈키] : 매화첫달(음력 12월) ㄴ 매화가 피기 시작하는 달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大節季 [おおせっき/오오셋키] : 큰절계(연말, 섣달, 큰그믐(おおみそか)) 大晦日 .. 가을의 계어(秋の季語) 1. 시후(時候) 秋 [あき/아키] : 가을 秋風月 [あきかぜづき/아키카제즈키] : 가을바람달(음력 8월) 秋口 [あきぐち/아키구치] : 가을입(초가을, 첫가을) 秋さぶ [あきさぶ/아키사부] : (눈에 띄게) 가을다워지다 (バ행 상2단 활용 동사) ㄴ -びる[비루] : ~의 상태를 띠다, ~인 것처럼 보이다 [접미사] ㄴ 명사나 형용사의 어간 등에 붙어 상1단 활용 동사를 만듬. 문어형에서는 상2단 활용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ぶ [부]가 있음 秋寒 [あきさむ/아키사무] : 가을의 추위 秋され [あきされ/아키사레] : 가을이 됨, 가을이 깊어짐 ㄴ あきざれ [아키자레]라고도 한다. 秋末 [あきずえ/아키즈에] : 가을끝(만추, 늦가을) 秋立つ [あきたつ/아키타츠] : 가을이 서다(달력상으로 가을의 계절이 .. 여름의 계어(夏の季語) 1. 시후(時候) 青水無月 [あおみなづき/아오미나즈키] : 음력 6월 ㄴ 푸른(あお) 물(み)의(な) 달(づき)이라는 뜻이다. 朝涼 [あさすず/아사스즈] : 아침의 시원함 暑さ [あつさ/아츠사] : 더위(기온이 높음), 더운 계절 ㄴ형용사, 형용동사 등의 어간에 붙어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さ가 붙었다. 卯月 [うづき/우즈키] : 음력 4월. 묘(卯)의 달 ㄴ 병꽃나무 꽃(うのはな)이 피는 달(つき), 벼의 씨를 심는(植, うえる) 달(月, つき)이라는 뜻이다. 卯の花月 [うのはなづき/우노하나즈키] : 음력 4월 ㄴ 병꽃나무 꽃(うのはな)이 피는 달(つき)이라는 뜻이다. 炎夏 [えんか/엔카] : 염화(더운 여름, 한여름) 炎暑 [えんしょ/엔쇼] : 염서(혹서) 炎帝 [えんてい/엔테이] : 염제(신농씨), ..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