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일본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일본어

(88)
Christopher Tin(크리스토퍼 틴) - 창으로 보이는(窓から見える)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인 문명(Civilization)의 주제곡을 만든 작곡가 크리스토퍼 틴(Christopher Tin)의 노래를 듣던 중 우연히 듣게 된 일본곡이다. 이 곡의 가사는 일본 전통 정형시인 하이쿠들로 되어 있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다시 봄으로 돌아오는 계절의 변화를 표현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4Pw3wPSF9Q 窓から見える輝く梅一輪 [마도카라 미에루 카가야쿠 우메 이치린] 창으로 보이는 빛나는 매화 한 송이 窓 [まど/마도] : 창 輝く [かがやく/카가야쿠] : 빛나다 梅一輪 [うめいちりん/우메이치린] : 매화 한 송이 一輪ほどのその暖かさ [이치린 호도노 소노 아타타카사] 한 송이 정도의 그 따뜻함이야 一輪 [いちりん/..
일본어에서의 활용 3 - 형용사 현대일본어에서 형용사의 활용은 1종류만 존재하고, 50음행(五十音行)의 차이도 없으며, 한국어와 같이 명령형도 없다. 잠깐! イ형용사와 ナ형용사의 활용형은 다른데 왜 형용사의 활용이 1종류 밖에 없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오해를 막기 위해 일본어의 형용사에 관한 용어를 정리하고 가겠다. 여기서 말하는 형용사(形容詞)라는 것은 일본어의 イ형용사(イ形容詞)에 해당하며, ナ형용사(ナ形容詞)는 형용동사(形容動詞)라고 부른다. 형용동사에 관한 내용은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235)을 참고 바란다. 형용동사(形容動詞) [핵심정리] 1. 형용동사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ㄴ 자립어이고 활용한다. ㄴ 종지형의 형태가 「だ」로 끝난다. ㄴ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다...
일본어에서의 활용 2 - 동사의 활용 현대일본어의 동사 활용은 5단 활용, 1단 활용 혹은 2그룹 동사(상1단 활용, 하1단 활용), 변격활용(サ행 변격활용, カ행 변격활용)으로 총 5종류가 있다. 5단 활용 (그룹 1) : 그룹 1,2를 제외한 모든 동사 1단 활용 (그룹 2) : 주로 イ단+る, エ단+る 로 끝나는 동사. 음편형 없음 상 1단 활용 하 1단 활용 변격 활용 (그룹 3) : 불규칙 동사 カ행 변격활용 サ행 변격활용 1. 5단 활용 5단 활용(五段活用, ごだんかつよう)은 활용어미의 앞부분에 50음도의 각 단(段)의 소리가 나는 활용형이다. 다만, サ행에서의 활용을 제외하고, 연용형에는 음편(音便)형(イ음편, 촉음편(促音便), 발음편(撥音便))이 있다. 50음행 어간 활용어미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어간)..
일본어에서의 활용 1 - 활용의 개념과 6가지 활용형 일본어에 있어서의 활용이란 그 말로 문이 끊어지는지 뒤에 다른 말이 이어지는지에 따라, 이어지는 경우는 어떠한 말이 계속되는지에 따라 어미가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활용하는 품사는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조동사의 네 가지가 있다. 한국어에서도 이런 활용이 있기 때문에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먹다'라는 동사를 보자. 직설법 비과거 먹는다 과거 먹었다 의문형 비과거 먹느냐 과거 먹었느냐 청유형 먹자 명령형 먹어라 단정형 먹겠다 '먹다'의 직설법 현재형은 '먹는다'이다. to eat을 뜻하는 어근 '먹-'과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어미 '-는'과 종결어미 '-다'가 합쳐진 것이다. 즉 기본형 '먹다'에서 어근 '먹-'과 어미 '-다' 사이에 어미 '-는'을 집어넣는 형태이다. 이렇게 용언의..
大丈夫 대장부? 다이죠부? 중국에서나 한국에서나 大丈夫라는 한자를 보고 '씩씩한 큰 남자'를 뜻하는데, 일본에서는 발음에 따라 그 의미가 조금 다르다. 大丈夫를 [だいじょうふ/다이죠-후]라고 읽는다면 우리나라의 대장부와 같은 뜻이지만 이 단어를 [だいじょうぶ/다이죠-부]라고 읽으며 형용동사로 사용하고 있다면, '괜찮아'라는 뜻이 된다. (명사) 1. 대장부 (형용동사) 1. (위험하지 않고 안심할 수 있는 상태. 강하고 견고한 상태) 괜찮은(끄떡없는) 2. (틀림없이 확실한 상태) 괜찮은 (부사) 1. 틀림없는, 확실한, 괜찮은 丈 [じょう]는 길이의 단위로 1장(丈=10척(尺))은 근대 일본에서 3.03m이다. 중국 주나라때부터 사용되던 단위인 주척(周尺)에서 1장은 약 1.7m로, 성인 남성의 신장과 맞먹는다. 夫를 훈독으로 ..
잇쇼니(一緒に), 토모니(共に) 잇세이니(一斉に)의 차이 一緒に [いっしょに, 잇쇼니]. 共に [ともに, 토모니]. 一斉に [いっせいに, 잇세-니]. 이 단어 모두 '함께'라는 뜻을 가진 부사들이다. 그럼 이 단어들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각각의 단어 뜻을 자세히 알아보고 그 차이를 설명하겠다. 一緒 [いっしょ] (한 곳, 같은 곳을 뜻하는 一所 [いっ‐しょ]에서 유래) 1. 하나로 묶는 것(일괄화함) ex) 荷物を一緒にする : 화물을 함께 다루다 2. 구별이 없는 것(동일함) ex) 意見が一緒になる : 의견이 하나되다 [직역 : 의견이 함께(or 하나로) 되다] 3. 함께 같은 것을 하는 것 ex) 一緒に遊ぶ : 함께 놀다 4. (보통 御一緒する(동행하다)의 뜻으로 쓰여) 동행하는 상대를 공경하는 말 : 동행함 ex) そこまで御一緒させてください : 거기까지 ..
별을 쫓는 아이를 보고 군대 들어와서 쉬는 시간에 뭐 할말한 게 있을까? 다들 보통 폰보기 바쁘더라. 선임한 분이 일본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데 나보고 '별을 쫓는 아이'와 '초속5센티미터'라는 영화를 추천해주셨다. 이번 글에서는 '별을 쫓는 아이'에 나온 용어들을 정리해보고 감상을 쓰도록 하겠다. 1. 제목 해석 원제는 星を追う子ども [ほしをおうこども]이다. - 星 [호시] : 별 - を [오] : ~을 - 追う [오우] : 뒤따르다. 뒤쫓다. 추구하다. (追う의 종지형, 연체형) - 子ども [코도모] : 아이, 자식 2. 별을 쫒는 아이에 나오는 개념들 1. クラヴィス [쿠라뷔스] : 클라비스(clavis). 아가르타(アガルタ)의 문을 여는 열쇠 광석. 라틴어로 clavis는 '열쇠'라는 뜻이다. 2. アガルタ [아가르타] ..
파이팅! 頑張って! '힘내!' 혹은 '파이팅!'의 뜻인 간바떼! 이 단어에 대해 알아보자! 頑張る [がんばる]의 접속형(接続型)인 頑張って [がんばって]. 동사의 접속형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겠다. 그럼 頑張る의 어형 분석부터 해보자. 1. 곤란한 일에 굴하지 않고 참고 끝까지 해내다. [一致団結してがんばる : 일치단결해서 노력한다.] 2. 자신의 생각, 의지를 끝까지 관철하려 하다. 아집을 세우다. [がんばって自説を譲らない : 애써 자기 의견을 양보하지 않겠다.] 3. 한 장소를 차지하고 움직이지 않고있다. [入り口に警備員ががんばっているので入れない : 입구에 경비원이 (가만히) 있어서 들어갈 수 없다.] - goo 사전 즉, 頑張る는 자신의 의견을 끝까지 지켜 일을 완수한다는 뜻이다. '관철한다'라는 뜻의 頑張る는 '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