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격, 러시아어에만 있는걸까? (feat. 전치사와 후치사)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전치격, 러시아어에만 있는걸까? (feat. 전치사와 후치사)

728x90

1. 전치사와 후치사

전치사(前置詞, preposition)명사나 대명사 앞에(前, pre-) 놓여(置, position) 공간적, 시간적 관계를 표현하거나 다양한 의미적 역할을 표시하는 품사이며, 후치사(後置詞, postposition)는 명사나 대명사 뒤에(, post-) 놓여(置, position) 공간적/시간적 관계를 표현하거나 다양한 의미적 역할을 표시하는 품사를 말한다. 그리고 전치사와 후치사를 합쳐 부치사 혹은 접치사(adposition)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글에서도 딱히 이 둘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이 둘을 부치사(접치사)라고 부르도록 하겠다.

 

영어로 adposition을 부르는 한국어는 부치사(附置詞)와 접치사(接置詞)가 있는데, 이 두 단어는 adposition의 특징을 단순하게 표현한 것이다. '명사나 대명사 앞 혹은 뒤에 이어져(接) 두어(置) 지기 때문에' 접치(接置)라고 표현하며, 혹은  '명사나 대명사 앞 혹은 뒤에 붙어(附) 두어(置) 지기 때문에' 부치(附置)라고 표현한다. 결국 글자만 다르고 같은 표현을 다르게 적은 것이란 걸 알 수 있다.

 

공간적/시간적 관계를 표현하는 영어 부치사(접치사) 다양한 의미론적 역할을 표시하는 영어 부치사(접치사)
in, under, towards, before of, for

부치사(접치사)는 일반적으로 보어 혹은 가끔 목적어라고 불리는 명사구와 결합한다.

영어는 후치사보다 전치사를 더 많이 쓰는 편이다.

영어의 전치사구 영어의 후치사구
in the room
at an amusement park
under the table
within an hour
notwithstanding personal preferences, ~
ten years ago
we are going to demolish the building notwithstanding

이 개념은 영어에만 있진 않다. 영어와 다른 어순을 사용하는 일부 언어에선 후치사를 대신 사용하는 경우, 혹은 전치사와 후치사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도 찾을 수 있었다. 그래서 부치사가 그 꾸며지는 보어(혹은 가끔 목적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부치사구(adpositional phrase)라고 하는데, 여기엔 당연히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와 후치사구(postpositional phrase)가 포함된다. 이러한 부치사구는 보통 문장에서 부사적인 역할을 한다.

 

앞서 말했듯 부치사는 기본적으로는 앞에서 꾸며주는 전치사와 뒤에서 꾸며주는 후치사로 나뉜다.

(부치사의 종류) 전치사 사용 전치사 미사용
후치사 사용 - 후치사(後置詞, postposition)
후치사 미사용 전치사(前置詞, preposition) -

그런데 이 전치사와 후치사가 한 번에 몇 번 사용되었는가에 따라 또 새로운 분류 기준이 생긴다. 그러나 이 분류 기준은 부치사의 종류가 아닌 부치사의 표현방법에 따른 분류라고 봐야 한다. 여기선 협치사, 유치사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협치사(挾置詞, circumposition)분리된 2개의 항으로 명사나 대명사의 앞 뒤에 붙어 부사구를 만드는 부치사 형식을 말하며, 유치사(遊置詞, ambiposition)명사나 대명사에 전치하거나 후치해 부사구를 만드는 부치사 형식을 말한다. 즉 '전치사+명사/대명사+후치사' 형식을 협치사라고 하며, '전치사+명사/대명사'나 '명사/대명사+후치사' 형식을 유치사라고 한다는 말이다.

(부치사의 표현 방법) 전치사 사용 전치사 미사용
후치사 사용 협치사(挾置詞, circumposition) 유치사(遊置詞, ambiposition)
후치사 미사용 유치사(遊置詞, ambiposition) -

이제 전치사와 후치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봤으니, 이제 전치격과 후치격에 대해 알아보자.

 

2. 전치격과 후치격(전치격 위주)

문법에서 전치격(前置格, prepositional case)전치사의 목적어(object)를 표시하는 문법적 격을 말하며, 후치격(後置格, postpositional case)이란 후치사의 목적어(object)를 표시하는 문법적 격을 말한다. 이 용어들은 명사가 특정 전치사와 결합해 배타적으로 나타나는 어형 변화를 갖는 언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언어에서 전치격(prepositional case)이라는 용어는 부적절하게 보인다.

러시아어와 달리 영어에서 전치사는 목적격 혹은 (가끔) 대격을 지배하는데, 동사도 목적격과 대격을 지배한다.

또 독일어에서는 전치사는 속격, 여격, 대격을 지배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격(속격, 여격, 대격) 중 어느 것도 전치사와 배타적으로 연관되지 않는다. 이렇게 전치사에 의해 선택된 명사의 형태가 비전치사적 문맥에서도 나타나기 때문에 전치격(prepositional case)이라는 용어는 러시아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에서 부적절하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분명 '전치격'에 대한 표현은 존재하는데, 이를 다른 언어에서는 '1형 굴절(파슈토어)', '처격(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이라고 표현한다. 아일랜드어나 스코틀랜드어에서도 전치격과 같은 표현은 존재하지만 문법학적으로 '여격'의 특수한 형태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전치격'이라고 정의하고 표현하는 격은 러시아어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2-1. 러시아어에서의 전치격

사실 문법학적으로 '전치격' 혹은 '후치격'으로 표현되는 격은 부치사의 목적어가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처격(處格, locative case, местный падеж)'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인도유럽조어(PIE)의 '처격'에서 슬라브어의 '처격(-у(-ю)로 끝남)'과 '전치격(-е로 끝남)'이 등장했다. 그리고 러시아어에 발견되는 -и로 끝나는 근현대 러시아에서 만들어지고 주로 여성 명사의 전치격 어미를 가진 2차적 처격 또한 같은 기원을 가진다. 즉, 처격에서 유래한 러시아어 전치격은 단순히 -е라는 어미만 가지며, 나머지 불규칙형이라고 배우는 -у(-ю)나 -и는 러시아어 처격 어미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러시아어에서 전치격은 в(во), на, о, об(обо), по, при와 같은 전치사 뒤에 붙는 명사의 격 형태들을 말하며, 이들은 누구/무엇에 대해(о ком?, о чём?), 누구/무엇(안)에(В ком? В чём?), 누구/무엇(상)에(На ком? На чём?), 누구/무엇과 함께(При ком?, При чём?)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표현할 때 쓰인다. 마지막으로 현대 문법에서 알려주는 러시아어 전치사 어미를 정리하며 글을 마치겠다.

(러시아어 전치격 어미) 단수 복수
남성 -ах(-ях)
여성 -е, -и
중성 -е, -и

(예외, -мен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