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러시아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0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283)
добива́ться와 доби́ться의 격변화 1. добива́ться 불완료상 재귀 자동사 добива́ться[다비밧쨔]는 '무언가를 성취하거나 얻기 위해 노력하다'라는 뜻으로, '도달해 가다, 이뤄가다(달성해 가다)'라는 뜻이다. 이 동사의 어형 분석을 한 뒤, 그 동사의 격변화를 살펴보자. добива́ться [완전히 쳐지다->완전히 쳐서 이겨버리다] 어근 접미사(suffix) 동사 어미 접미사(postfix) -доби- [완전히 치-(to beat perfectly)] -ва -ть -ся '완전히 치다'라는 의미의 어근 доби[도비]를 가진 이 동사는 '완전히 쳐버리다->패배시키다'라는 뜻의 добива́ть[다비바찌]에서 유래했으며, 이 동사에 재귀 접미사 -ся가 붙어 '행위자가 완전히 상대를 패배시켜 이겨버린다'는 의미를 가지..
러시아어 표현 정리 13 1. како́е число́ сего́дня? 에 대한 대답 како́е число́ сего́дня? [까꼬예 치슬로 시보드냐]는 '오늘이 며칠인가요?'라는 의문문이다. 이때 한국어로 '~월 ~일'입니다.'라고 말을 할 텐데, 러시아어로 일(day)은 주격으로, 월(month)은 생격으로 쓴다. како́е число́ сего́дня? [까꼬예 치슬로 시보드냐] 오늘이 며칠인가요? [직역 : 오늘이 (날짜상) 어떤 수인가요?] сего́дня два́дцать пя́ть апре́ля [시보드냐 드바짜찌 뺘찌 어쁘롈랴] 오늘은 4월 25일입니다. [직역 : 오늘 4월의 25입니다.] (참고= число́ когда́ 로 물어본 경우엔 일(day) 또한 생격으로 표현) 2. иска́ть와 найти..
러시아어 표현 정리 12 1. я жела́ю вам сча́стья. (желать + 여격 + 생격) жела́ть[즬라찌]는 '~이 ~을 바라다(to wish)'라는 뜻을 가진다. 그런데 여기서 '바라는 대상'은 '여격'을, '바라는 내용'은 '대격이 아닌 생격'을 쓴다. желать кого́ чего́[즬라찌 까무 취보] : ~이 ~을 바라다. 'желать는 바라는 대상(간접목적어)을 여격으로 바라는 내용(직접목적어)을 생격으로 표현'한다는 것을 잘 기억해두자. Я жела́ю вам сча́стья. [야 즬라유 밤 샤스찌야] : 전 당신이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Он жела́ет мне сча́стья. [온 즬라잇 므녜 샤스찌야] : 그는 내가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жела́ть тебе́ добра́. [즬라찌..
명사 род에 대해 알아보자! род[로트]는 아~~주 오래전부터 쓰여왔던 역사깊은 명사 중 하나로, 그래서 그 뜻은 정말 다양하고, 뜻에 따라 격변화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 기회에 명사 род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1. род의 근본적인 의미와 의미 확대 재구성한 단어의 기원에서 예측할 수 있듯이 род[로트]는 '낳은 것'이라는 근본적인 의미를 가진다. 2. род의 사전적 정의와 성수격변화 2-1. род의 사전적 정의 1. 씨족, 종족(원시사회나 가부장적 사회에서 사람들의 조직) 2. 일족,일문, 세대, 종족(한 조상으로부터 생긴 모든 인간 세대의 총체) 3. (생물계에서) 속(genus, 과(family, семе́йство),족(tribe, триба)보다 낮고 종(species, род)보다 높은 분류 체계..
전치사 за에 대해 알아보자. 1. 전치사 за 전치사 за[자]는 -за-를 어근으로 하며 대격 혹은 조격에서 대상(object)과 결합해 쓰이는 불변화사 전치사로, 쉽게 말하면 대격 혹은 조격 지배 전치사라는 말이다. 우선 이 за는 기본적으로 '~뒤로, ~뒤에'라는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 '밖, (시간적) 동안, ~에 대한 대가(호의, 목적), ~의 원인(for)'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제 각각의 격에 따라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자. 1-1. за + 대격 1. 무언가 혹은 누군가의 뒤에 있는 장소쪽의 방향을 지칭 Она тотчас нырнула за дерево. (그녀는 즉시 나무 뒤로 뛰어들었다.) 2. 기능적인 목적의 물건과 인접한 장소쪽의 방향을 지칭 Генерал сел за стол. (육군장관은 책..
러시아어 표현 정리 11 1. 묵음 Д(нема́я Д) пра́здник[쁘라즈니크] 혹은 그와 어원을 같이 하는 단어들에선 д[ㄷ]가 묵음이 된다. 단어 단어 의미 표기법상 발음 실제 발음 пра́здник [쁘라즈드니크] [쁘라즈니크] 축일(기념일, 명절), 휴일 с пра́здником! [스 쁘라즈드니깜] [스 쁘라즈니깜] 축일(기념일, 휴일) 축하해요! пра́здновать [쁘라즈드나바찌] [쁘라즈나바찌] 경축하다(축일을 축하하다) пра́здничный костю́м [쁘라즈드니츠늬 까스쯈] [쁘라즈니츠늬 까스쯈] 축제복(명절복, 잔치에서 입는 옷) пра́здничный день [쁘라즈드니츠늬 졘] [쁘라즈니츠늬 졘] 잔칫날 пра́здничный стол [쁘라즈드니츠늬 스똘] [쁘라즈니츠늬 스똘] 잔칫상 ..
пчела́의 복수 생격 1. 러시아어 여성 명사의 생격(표) (여성명사가 무엇으로 끝나는가?) 단수 생격 복수 생격 -а -ы -# -[자음]я -и -[자음]ь -[모음]я -[모음]й -ь -ей 참고 - 여성 어미 앞에서 [자음][자음]처럼 자음이 연속해서 오는 경우, 복수 생격에서 о[오]나 е[예]처럼 출몰모음이 나타난다. 2. пчела́와 이 명사의 격변화 '벌(bee)'을 뜻하는 활동체 여성명사 пчела́[쁘칠라]는 위 표에 따르면 생격에서 이렇게 격변화할 것이다. 단수 복수 주격 пчела́ 생격 пчелы́ пчел 그런데 실제로는 이렇게 변한다. 단수 복수 주격 пчела́ 생격 пчелы́ пчёл 이렇게 된 이유는 이 명사가 복수 주격으로 바뀔 때, 강세가 앞의 모음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단수 복수 ..
러시아어 표현 정리 10 1. каса́ться/косну́ться каса́ться 어근 접미사(suffix) 동사 어미 접미사(postfix) -кас- -а -ть -ся 불완료상 재귀 자동사 каса́ться[까삿쨔]는 이런 뜻을 가지고 있다. 1. 손대다, 접촉하다(무언가에 닿다, 무언가를 만지다.) 2. 닿다(무언가로부터 직접적으로 가까이에 자신의 부분적으로 있다.) 3. (비유) 언급하다, 건드리다(어떤 주제를 언급하거나 건드리다.) 4. (비유) 관련하다(어떤 것에 (대한) 관계를 소유하다.) 5. (수학) (선, 면 등에 대해) 접하다(다른 유사한 대상에 접촉하다.) 이 동사는 '스스로 맞닿아 있게 하다'라는 의미를 가져 한국어로 번역하면 '손대다, 닿다'라는 기본적인 뜻을 가진다. 구글에 검색해 봐도 이렇게 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