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러시아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18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283)
대격을 쓰지만 목적격처럼 해석되지 않는 러시아어 동사 2개 стро́ить/постро́ить зда́ние(건물을 짓다), брать/взять кни́гу(책을 취하다)처럼 대격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목적격'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목적격은 '동작의 목적이 대는 대상'을 표현하는 격이고, 대격은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표현하는 격이다. 그래서 대격이 목적격보다 좀 더 큰 범위에 있는데, 한국인은 한국어로 말할 때 이 대격의 넓은 범위까지 신경쓰지 않고, 보통은 '동작의 목적'만 생각하며 '을/를'이란 목적격 조사를 붙여 표현한다. 그렇기에 러시아어 대격과 한국어의 목적격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조금 응? 할만한 동사들이 몇 있는데, 이 중 3개를 소개하겠다. 1. благодари́ть/поблагодари́ть кого́ за что благода..
러시아어 표현 정리 17 1. на ры́нке на ры́нке [나 릔꼐]는 '시장에서'라는 뜻이다. 단수 전치격 ры́нке [릔꼐]는 '시장(marketplace, market)'이란 뜻의 불활동체 남성명사 ры́нок [릐낰]에서 유래했다. 어근 -рынок- 이 단어에서 -о- 또한 출몰모음으로, 단수 주격, 단수 대격, 단수 조격을 제외하고는 이 -о-가 사라진다. 이 말만 보고 복수 생격에 -о-가 있지 않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복수 생격은 그 어미 자체가 -ов이기에 출몰모음 설명과는 무관하다. '시장'을 뜻하는 러시아어 ры́нок은 같은 뜻의 폴란드어 rynek [릐넼]에서 유래했고, 이는 고대 고지 독일어(OHG, Old High German)로 '반지(ring, 원 모양으로 둘러진 것)'라는 뜻의..
러시아어 표현 정리 16 1. в로 끝나는 단어에서 в는 [Ф] 발음 Это о́фис директоро́в. [에따 오피스 지릭따로프] 이것은 관리자들의 사무실이다. Это рабо́та для журнали́стов. [에따 라보따 들랴 주르날리스따프] 이것은 언론인들을 위한 일이다. Это магази́н пода́рков. [에따 마가진 빠다르까프] 이것은 선물가게다. Это сала́т из бана́нов. [에따 살라트 이즈 바나너프] 이것은 바나나 샐러드다. 2. сухо́й/жи́рный сухо́й [수호이]는 '마른(dry, land)'라는 뜻이고, жи́рный [즤르늬-]는 '지방이 많은, 기름진'이란 뜻이다. 참고로 жи́рный에서 불활동체 남성명사 жир[즤르]는 '지방, 기름'이란 뜻이다. 3. 손..
-ец, -е́ц로 끝나는 남성명사의 독특한 격변화 1. продаве́ц의 격변화 продаве́ц : 판매자 어근 접미사(suffix) -прода- -в-ец продаве́ц [쁘러다볘치]의 복수형이 뭘까? продаве́цы [쁘러다볘츼]라고 답했다면 이 글을 참고하는 편이 좋다. '판매인(판매자, 상인)'이라는 뜻의 활동체 남성명사 продаве́ц의 격변화를 아래와 같다. 단수 복수 주격 продаве́ц продавцы́ 생격 продавца́ продавцо́в 여격 продавцу́ продавца́м 대격(활동체) (생격) (생격) 조격 продавцо́м продавца́ми 전치격 продавце́ продавца́х продаве́ц는 주격을 제외하고 -е́-가 사라진다! 2. 접미사 -ец, -е́ц와 그 격변화 접미사 -ец와..
왜 러시아인들은 수에 따라 час, часа, часов으로 다르게 말할까? 오늘은 재밌는 기사 하나를 발견해서 공유해보려고 한다. 직접 하나하나 번역했으니 참고바란다. (해당 기사 링크 : https://metodika-rki.livejournal.com/70455.html) 현대 러시아어에서 복수성(plurality, мно́жественность)[더 정확히 전체(100%)가 아닌 그의 부분만 받아들이는 "부분성(partitivity, партити́вность)"]에 대한 관념은 '생격'으로 나타낸다. 영어에서 이 원칙에의 관념은 전치사의 도움으로 나타낼 수 있다(비교, cup of tea, the 15th of December). 이러한 방식에 러시아어는 더욱 멀리 갈 뿐이다. 우리 러시아인은 'cup of tea를 чашка чая로', '15th of December..
일상 러시아어 - VK 앱 업데이트 알림 досту́пна но́вая ве́рсия приложе́ния [더스뚜쁘너 노바야 볘르시야 쁘리러졔니야] не сейча́с [니 시차] обнови́ть [아브나비찌] 앱의 새 버전 접근가능 지금 아님(나중에) 갱신하기(업데이트 하기) 1. 단어미형 досту́пна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주격 досту́пный досту́пное досту́пная досту́пные 생격 досту́пного досту́пной досту́пных 여격 досту́пному досту́пной досту́пным 대격 활동체 (생격) - досту́пную (생격) 불활동체 (주격) (주격) 조격 досту́пным досту́пной досту́пною досту́пными 전치격 досту́пном дост..
완료상이 없는 принадлежа́ть принадлежа́ть (~의 근처의 위에 누워 있다->~에 소속되다) 어근 접미사(suffix) 동사 어미 -принадлеж- (근처 위에 눕-) -а -ть 직역하면 '~의 곁(при)의 위쪽에(над) 눕다(лежа́ть)'라는 뜻의 불완료상 принадлежа́ть [쁘리너드리좌찌]는 '~에 속하다, ~에 소속하다'라는 뜻이다.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자. 1. ~에 속하다(무언가의 소유로 존재하다(있다)) 2. ~에 소속하다(무언가에 특유(特有)하다) 3. ~에 속하다(무언가의 산물(작품)이 되다) 4. ~에 소속하다(무언가의 성분으로 들어가다, 어떤 집합이나 급에 속하다) 독특한건 이 동사의 완료상이 없다는 것! 사실 이것 하나로 이 글을 쓰려고 결심했었다. 하지만 여기서 끝내긴 그러니, 이 ..
러시아어 술어부사에서의 경험자는 여격을 쓴다. (feat. 의무, 가능, 금지) 1. 술어부사 술어부사(predicative adverb)는 종종 여격 경험자와 함께 결합해 사건의 종류나 사실에 대한 태도(attitude)를 나타내는 부사를 말한다. 쉽게 말해 '술어 역할을 하는 부사'라는 말이다. 부정사구(infP, infinitival phrase) 주어의 경우, 여격 경험자는 주어를 의미적으로 통제하기도 한다. 보통의 부사는 역할 상 다른 부사나 명사를 수식하는 데에 그치는 반면, 문장 자체에서 큰 영향력을 주기에 '부사'가 아닌 별도의 품사로 여기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술어 부사는 인간의 상태나 감정, 사물과 주변 세계의 상태를 묘사하는데 주로 쓰이며, 특히 주어가 없는 문장인 무인칭문(impersonal sentence)에서 간단히 술어(predicative)라고도 부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