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궁금해서 찾아온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57)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4 - 탑상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춘추시대) 획린(-477), (천지)개벽한 후 이 때까지 2,760,000세다. (찬고도) 전한 원제 건소 2년(-37), 동명성제가 고구려의 왕위에 올랐다. 성제 홍가 (2년) 임인(-19), 동명성제가 세상을 떠났다. 동한 건무 24..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3 - 흥법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 정시 연간(240~249), 조위 사람 아굴마가(고)구려에 사신으로 왔다가 고도녕과 정을 통하고 돌아갔다. 이 일로 인해 (그녀는) 임신을 했고, 그렇게 태어난 아이가 고(구)려인 아도이다. (아도본비) ​ 미추왕 즉위 2년 (계미, ..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2 - 기이 2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전한 홍가 3년 계묘(-18), (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가) 졸본부여에서 위례성에 이르러서는 수도를 정하고 왕이라 칭했다. (고전기) ​ (온조왕) 14년 병진(-5), (온조왕이) 한산으로 수도를 옮겨 389년을 지냈다. (고전기) ​..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1 - 기이 1-2(혁거세왕부터 장춘랑과 파랑까지)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 사서를 참고함 전한 지절 원년 임자(-69년) 3월 초하루(=삭), 6부의 조상들은 자제를 거느리고 알천의 언덕 위에 모여 의논했다. "우리들은 위로 백성들을 다스릴 임금이 없어 백성들이 모두 방자하고 안일하여 제멋대로 하고 있소. 그러니 어찌 덕 있..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1 - 기이1-1(서문부터 혁거세 이전까지)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 사서를 참고함 원봉 2년(-109년), 한 사신 섭하가 (조선의) 우거왕을 설득했으나 우거는 끝까지 명령을 받들지 않았다. 섭하는 귀국길에 국경의 패수에서 마부를 시켜 조선 비왕 장을 찔러 죽이고 강을 건너 요새로 돌아가 천자에게 보고했다. 한 천자는..
한국사 속 국명 정리 보통 우리가 배우는 한국사의 흐름은 아래와 같다. 한반도 선사시대-고조선(단군조선)-삼국시대-남북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일제강점기-현대 여기선 각 흐름 속에 존재했던 역대 국가들의 어원을 알아볼 것이다. 어원만 적을 것이며, 불명확한것에 대한 학설은 따로 정리하도록 하겠다. 1. 고조선(古朝鮮) 1.1. 조선(朝鮮) : 어원 불명.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을 통틀어서 원래는 '조선'이라 불러야하나, 향후 배울 여러 조선들 때문에 교과서에는 고조선으로 표기한다. 1.1.1. 고조선(古朝鮮) : 에서는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을 통틀어 '고조선'이라고 칭했다. 1.1.2. 단군조선(檀君朝鮮, 전조선) : '단군(들)이 다스렸던 조선'. 에서는 '전조선'이라고 칭했다. 1.1.3. 기자조선(箕子朝鮮. 기씨조..
현재 중앙아시아의 국가들의 공식명칭에 대한 어원 일단 뒤에 붙은 '-스탄'은 페르시아어로 '~의 땅'이라는 뜻이다. - ـستان [-이스탄] : ~의 땅 (고전 페르시아어, 다리어, 타지크어) - ـستان [-에스탄] : ~의 땅 (서페르시아어) 1. 카자흐스탄 공화국(Қазақ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카자크스탄 레스푸블리카스]) - Казахстан[카자크스탄] : 카자흐스탄 (카자흐어, 러시아어) -- казах [카자크] : 카자흐인(Kazakhs) (카자흐어, 러시아어) --- qaz[콰즈] : 돌아다니다(배회하다) (고(古) 터키어(돌궐어)) -- казак [카자크] : 카자크(Cossacks,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일대에 있었던 슬라브계 군사집단) - Республикасы [레스푸블리카스] : 공화국 (카자흐어) 2. 키르기스..
현재 남아시아 국가들의 공식명칭에 대한 어원 남아시아는 인도 아대륙(Indian subcontinent) 전체와 히말라야, 힌두쿠시, 술라이만산맥들 남쪽의 지역을 포함한다. 1.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جمهوریت [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라미 좀호리야트], جمهوری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 [좀후리예 에슬라미예 아프가네스탄]) 1.1.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جمهوریت [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라미 좀호리야트] (파스토어) - د [다] : ~의 (파스토어) - افغانستان [아프가니스탄] : 아프가니스탄 (파스토어, 페르시아어) --- افغان‎ [아프간] : 아프간(인), 파슈툰인(Pashtun) (파스토어, 페르시아어) --- ـستان [이스탄] : ~의 땅 (페르시아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