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궁금해서 찾아온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57)
중국의 행정구역 명칭 1 - 중국지리대구 우리나라와 일본은 포괄적인 범위에서 지역을 구분하는 단위로 지방을 사용한다. 한편, 중국은 그것을 중국지리대구(中国地理大区)라고 부른다. 이는 중국의 성급행정구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그렇기에 가장 큰 행정구역의 명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오늘은 그 지리대구(地理大区)의 대표격인 6대분구와 경제분구를 살펴보겠다. 1. 6대분구 6대 분구(六大分区)는 중국에서 가장 큰 범위 혹은 지방을 지칭하는 6개의 지명을 말한다. 지방 명칭을 지역명의 앞글자를 딴 우리나라와 지명이나 방위를 골고루 사용한 일본과 다르게, 거의 방위를 이용하여 지방을 구분한다. 먼저 방위만 있는 지명 4개는 아래와 같다. - 东北地区 [똥베이디취] : 동북지구 - 中南地区 [중난디취] : 중남지구 - 西北地区 [시베이디취] : 서북지구 ..
발해고에 기록된 발해어 속의 에는 발해 왕족과 관련된 단어들이 있다. 아래는 그 단어들의 목록이다. 可毒夫 [가독부] : 왕(王) 聖王 [성왕] : 왕(王) 基下[기하] : 왕(王) (문어체) 敎 [교] : 명령(命) 老王 [로왕/노왕] : 왕의 아버지 太妃 [태비] : 왕의 어머니 貴妃 [귀비] : 왕의 부인(처) 副王 [부왕] : 왕의 맏아들(장자) 王子 [왕자] : 왕의 여러 아들(제자 : 諸子) 迭 [질/일] : 관품(官品) 안타깝지만 이게 다다... 이제 각 단어들의 뜻과 어원을 살펴보자. 왕에 대한 호칭이 3개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 3개의 쓰임이 다 달랐는데 그에 관한 기록이 중국 사서인 구오대사(구5대사)에 실려 있다. 渤海靺鞨 ,其俗呼其王为可毒夫,对面呼圣,牋奏呼基下。 : 발해말갈(渤海靺鞨)은 그 풍속에서 그 왕..
삼국유사 속 연표 정리를 마치며 책 전체에 대한 감상문) 이번 는 지금껏 쓴 글 중에 가장 깔끔하고 빨리 정리된 시리즈였다. 중학교 때부터 완독을 하려고 마음먹었지만 대학에 들어와서야 일독을 하게 되었다. 중간중간 해석이 힘든 부분이 있었지만, 번역본을 참고하며 끝까지 읽었다. 이 책에 있던 많은 신이한 일들을 보며 '과학적으로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일어난다면 어떤 식으로 일어날까?'라는 생각했다. 그 중 몇몇 일들은 실제로 있을 법했다. 국가나 왕, 종교(혹은 신)에 대한 극진한 충성을 보며 나는 국가와 나의 개인적인 삶에 얼마나 충성하고 있는지, 또 얼마나 사람들을 존경해왔는지를 되돌아 보았고, 시간이 흐르며 변하는 땅과 사람들을 바라보며 삶의 무지를 느끼며 내가 이 땅에 태어나 살아가며 해야할 것들이 무엇인지 다시 고민하..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9 - 효선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천보 10년 신묘(경덕왕대, 750), (신라) 대상 대성이 불국사를 처음 창건했다. ​ 대력 9년 갑인(혜공왕대, 774) 12월 2일, (신라의) 대성이 죽자, 국가(=신라)가 이(=불국사)를 완성하여 끝마쳤다.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8 -피은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제10대 내해왕 즉위 17년 임진(212), 보라국, 고자국(고려의 고성). 사물국(고려의 사주) 등 8국이 힘을 합쳐 (신라의) 변경을 쳐들어왔다. (신라 내해)왕은 태자 날음과 장군 일벌 등에게 명하여, 병사를 거느리고 그들과 겨루도록..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7 - 감통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개요 원년(681), (신라) 문무왕이 장차 승하하려고 하여 (신라) 신문(왕)에게 유언을 남기기를 “경흥법사는 국사가 될 만하니 짐의 명을 잊지 말아라”라고 했다. 신문(왕)이 즉위하자 (경흥법사를) 국로로 책봉하고 삼랑사에 살게 했다. 장..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6 - 신주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선덕왕 원년(632), (신라 명랑법사가) 당에 들어갔다 정관 9년 을미(635), (신라 명랑법사가) 귀국했다. 총장 원년 무진(668), 당 장수 이적이 대병을 이끌고 신라와 합세하여 고구려를 멸망시켰는데 후에 남은 군사를 백제에 유진시키..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5 - 의해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북제 천보 연간(550~559), 나라(=북제)에서 10통을 설치하였는데, 유사가 분명한 구별이 있어야 한다고 주청하여 이에 (제) 문선제는 법상법사를 대통으로 삼고 나머지는 통통으로 삼았다. ​ 신라 진흥왕 11년 경오(550), 안장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