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궁금해서 찾아온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57)
현재 동남아시아 국가 및 행정구역들의 공식명칭에 대한 어원 중국의 남쪽, 인도의 동쪽에 있는 지역들을 통틀어서 동남아시아라고 한다. 보통 인도차이나반도와 그 동쪽에 있는 섬들을 포함한 지역을 말한다. 참고로 뉴기니 섬은 동남아시아로 보기도 하고, 오세아니아로 보기도 하며, 국경을 기준으로 나눈뒤, 서쪽은 동남아시아, 동쪽은 오세아니아로 본다. 추가로 행정구역상 동북아시아에 속해있는 중국의 하이난 성과 남아시아에 속해있는 인도의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는 지리적 위치만 보았을 때 동남아시아로 보기도 한다. 대체적으로 국명의 고유 명칭에 대한 어원이 불명확한 편이다.(브루나이, ) 1. 평화의 땅 브루나이국(نڬارا بروني دارالسلام‎, Negara Brunei Darussalam[느가라 브루네이 다루살람]) - negara [느가라] : 나라(countr..
현재 동북아시아 국가 및 자치체들의 공식명칭에 대한 어원 1. 대한민국 - 대한 : 대한제국에 근원을 두고 있으며, 그 제국은 삼한(三韓)의 한(韓)에서 따왔다. - 민국 : republic의 번역어이며, 공화국이라는 뜻이다. 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 : 이성계가 세웠던 조선왕조에서 따왔다. - 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 마르크스-레닌 주의(Marxism–Leninism)에서 인민민주주의(민중민주주의, People's democracy) 단계에 속하는 공화국 * 인민민주주의(민중민주주의) : 노동자 외의 집단도 인민으로 보거나, 그들에게도 자유를 일부 주는 형태의 사회주의 정치사상 3. 일본국(日本国), 일본(日本) 3.1. 日の本[히노모토] : 해가 뜨는 곳 (일본어) 3.1.1. ひのもと : 日本 (화훈(和訓)) - 헤이안 시..
조선 및 대한제국 일본 공사관에 있었던 일본인 외교관 목록 1876, 강화도조약 1880, 조선 한성부, 일본 공사관 설치 1880~1897.10.11, 재조선 일본 공사관 1882, 임오군란 1884, 갑신정변 1897.10.11~1906.01.31, 재대한제국 일본 공사관 1905, 1906~1910, 한국 통감부 1910~1945, 조선 총독부 표를 보기전에 각각의 직급을 알 필요가 있다. 먼저 공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공사(公使)란 국가를 대표하여 파견되는 외교 사절의 하나로, 외교부 장관의 감독과 훈령을 받아 조약국에 상주하는 외교 사절이고, 대사에 버금가는 계급이다. 대사 공사 특명전권공사 전권공사 변리공사 대리공사 일본공사관(1880~1906)에서 근무했던 일본인 외교관들의 목록이다. 이들의 직책은 아래와 같이 변천을 겪었다. 재조선국대리공사->재..
베네치아와 소금 한국어 : 소금, 식염 한국 한자 : 鹽[염], 鹵[로], 塷[로] 鹺[차], 鹷[령], 䴝[최], 䴛[소], 䴜[회,외] 중국어 : 盐[야안/염],食盐[쉬이야안/식염], 鹺[초어/차] 일본어 : 塩[엥/시오/염], 食塩[쇼쿠엔/식염] 영어 : salt 러시아어 : соль [쏠] 소금은 염화 나트륨(NaCl)을 주성분으로 하는 짠맛을 내는 (과학적으로는 무색인) 광물 혹은 물질이다. 보통 흰색을 띄지만, 빨간색, 검정색, 핑크색, 갈색, 주황색 등등 다양한 색깔을 띈다. 인체 내 혈액의 염분과 세포의 염분의 농도는 0.9%이며, 그 0.9%의 소금이 혈액의 산성화를 막아주고 신진대사를 주도한다고 한다. 2019년 7월에 발표된 신문에서는 우리나라 인구가 매일 평균 9.8g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으며, 이..
일본어 조사 정리 1. 격조사(格助詞) : 주로 체언에 붙어서 글 속에서의 의미관계(격)를 나타내는 조사 종류 발음 의미 특징 が [が] ~이/가 ~을/를 1. 명사나 명사에 준하는 말에 붙음 2.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 표현 3. 요구나 소망의 대상 표현 の [の] ~의 1. 체언, 용언, 조동사(う, よう, まい 제외)의 연체형에 붙음 2. 연용수식어의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 표현. 3. 속격(연체격)의 역할 を [を] ~을/를 1. 명사 혹은 명사에 준하는 말에 붙음 2. 반드시 동사와 함께 사용 3. 동작의 직접적인 대상 표현 4. 지각 및 사고 활동의 대상 표현 5. 이동의 기점이나 경유점 표현 に [に] ~에 ~으로 1. 체언, 준체언(용언 및 조동사의 연체형), 동사의 연용형에 붙음 2. 동작·작용이 행해져 나타..
일반 기계 및 기술 관련 용어 정리 광단국장치(光端局裝置, optical terminal equipment) : 광전송장치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상대국 광단국 장치로 송수신하는 장치 공칭전압(公稱電壓, nominal voltage) : 전력 계통에서, 주어진 전압 계통을 부르기 위한 호칭 전압값. 실제의 선로 전압은 측정 장소나 부하 조건 때문에 변하므로 일치하지 않는다. 표준 전압의 하나이다. 교통감응신호(交通感應信號) : 주변 지역의 교통 상황을 감지하여 적절하게 주기가 조절되는 교통 신호. 주로 컴퓨터에 의하여 원격으로 조정되며, 교통량이 많이 감지되는 방향은 녹색 신호를 연장하여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글로나스(ГЛОНАСС, Глобальная навигационная спутниковая с..
뉴스를 보다가 알게된 사회 용어 정리 공비(共匪) : 공산당(共産黨) 비적(匪賊). 공산당의 유격대. 중국 국민 정부 시대에 공산당의 지도 아래 활동하던 게릴라를 비적(匪賊)이라고 욕하며 부르던 데서 유래한다. 노사(勞使) : 노동자와 사용자 데마(デマ) : (선전, 선동 등을 포함한) 흑색선전. '데마고기, 데마고그(demagogue)'라고도 한다. ㄴ デマゴギー[데마고기-, demagogy]에서 유래했으며, demagogy는 '선동정치가'라는 뜻의 demagogue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로 사람을 뜻하는 'δῆμος[데모스]'와 '이끄는'이라는 뜻의 ᾰ̓γωγός[아고고스]의 파생어이자 '대중에게 인기있는 지도자'라는 뜻의 δημᾰγωγός[데마고고스]에서 유래했다. 레임덕(lame duck, 절름발이 오리) : 임기 ..
형용동사(形容動詞) [핵심정리] 1. 형용동사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ㄴ 자립어이고 활용한다. ㄴ 종지형의 형태가 「だ」로 끝난다. ㄴ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다. 2. 형용동사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ㄴ 술어(「どんなだ」문절(文節))가 된다. ㄴ 수식어(연체수식어, 연용수식어)가 된다. ㄴ 주어가 된다. (「のが」,「のは」,「のも」 등이 붙는다.) ㄴ 접속어가 된다. (접속조사가 붙는다.) 1. 형용동사(形容動詞)의 성질 형용동사는 형용사와 같이 사물의 성질,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를 말한다. 아래 붉은 글자로 적은 단어를 형용동사라고 한다. 月が きれいだ 。 彼は 正直だ 。 日差しが あたたかだ 。 이렇게 형용동사는 '어떠하다(どんなだ)'라는 성질, 상태를 나타낸다. 마지막 예시 문장에서 'あたたかだ'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