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및 대한제국 일본 공사관에 있었던 일본인 외교관 목록
1876, 강화도조약 1880, 조선 한성부, 일본 공사관 설치 1880~1897.10.11, 재조선 일본 공사관 1882, 임오군란 1884, 갑신정변 1897.10.11~1906.01.31, 재대한제국 일본 공사관 1905, 1906~1910, 한국 통감부 1910~1945, 조선 총독부 표를 보기전에 각각의 직급을 알 필요가 있다. 먼저 공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공사(公使)란 국가를 대표하여 파견되는 외교 사절의 하나로, 외교부 장관의 감독과 훈령을 받아 조약국에 상주하는 외교 사절이고, 대사에 버금가는 계급이다. 대사 공사 특명전권공사 전권공사 변리공사 대리공사 일본공사관(1880~1906)에서 근무했던 일본인 외교관들의 목록이다. 이들의 직책은 아래와 같이 변천을 겪었다. 재조선국대리공사->재..
베네치아와 소금
한국어 : 소금, 식염 한국 한자 : 鹽[염], 鹵[로], 塷[로] 鹺[차], 鹷[령], 䴝[최], 䴛[소], 䴜[회,외] 중국어 : 盐[야안/염],食盐[쉬이야안/식염], 鹺[초어/차] 일본어 : 塩[엥/시오/염], 食塩[쇼쿠엔/식염] 영어 : salt 러시아어 : соль [쏠] 소금은 염화 나트륨(NaCl)을 주성분으로 하는 짠맛을 내는 (과학적으로는 무색인) 광물 혹은 물질이다. 보통 흰색을 띄지만, 빨간색, 검정색, 핑크색, 갈색, 주황색 등등 다양한 색깔을 띈다. 인체 내 혈액의 염분과 세포의 염분의 농도는 0.9%이며, 그 0.9%의 소금이 혈액의 산성화를 막아주고 신진대사를 주도한다고 한다. 2019년 7월에 발표된 신문에서는 우리나라 인구가 매일 평균 9.8g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으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