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우리가 배우는 한국사의 흐름은 아래와 같다.
한반도 선사시대-고조선(단군조선)-삼국시대-남북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일제강점기-현대 |
여기선 각 흐름 속에 존재했던 역대 국가들의 어원을 알아볼 것이다. 어원만 적을 것이며, 불명확한것에 대한 학설은 따로 정리하도록 하겠다.
1. 고조선(古朝鮮)
1.1. 조선(朝鮮) : 어원 불명.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을 통틀어서 원래는 '조선'이라 불러야하나, 향후 배울 여러 조선들 때문에 교과서에는 고조선으로 표기한다.
1.1.1. 고조선(古朝鮮) : <삼국유사>에서는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을 통틀어 '고조선'이라고 칭했다.
1.1.2. 단군조선(檀君朝鮮, 전조선) : '단군(들)이 다스렸던 조선'. <제왕운기>에서는 '전조선'이라고 칭했다.
1.1.3. 기자조선(箕子朝鮮. 기씨조선, 후조선) : '기자가 다스렸다는 조선'. <제왕운기>에서는 '기자조선'을 '(단군조선) 이후의 조선'이라고 불렀다.
1.1.4. (위만)조선(衛滿朝鮮. 위씨조선, 조선) : '위씨성을 가진 위만이 세운 조선' 흔히 고조선의 철기시대를 배울 때 같이 배운다. (<삼국유사>에서는 위만조선을 그냥 조선이라고 불렀다.)
1.2. 진(辰) : 한(韓)의 원형이 되는 나라이지만, 어원 불명.
2. 원삼국시대
2.1. 부여(扶餘, 扶餘, 扶余, 夫余)
- буга[부가] : 사슴 (몽골어)
- puhu[푸후] : 사슴(만주어)
- 벌(伐. 弗火, 夫里) : 벌판(평야)
2.2 고구려(高句麗, 高勾麗, 高駒麗, 高句驪, 고려, 구려) : 어원 불명
2.2.1. 하구려(下句麗) : 신나라 왕망이 고구려를 폄하하며 불렀던 명칭.
2.2.2. 구고려(句高麗) : <고려사>에서 고구려를 칭하는 명칭.
2.2.3. 무쿠리(Mug-lig, 畝俱理) : <범어잡명>에서 고구려를 칭하는 명칭
2.2.4. Bokli[배클리], Mokli[매클리] : <퀼테킨 돌궐비>에서 고구려를 칭하는 명칭
2.2.5. 高麗, 貊(狛) [고마] : 일본어로 고구려를 칭하는 명칭 중 하나
2.2.6. 고례(高禮) : <제왕운기>에서 고구려를 칭하는 명칭
-溝漊(구루) : 성 (고구려어)
- 忽(홀) : 성 (고구려어)
2.3. 옥저(沃沮)
2.3.1. 置構婁(치구루), 買溝婁(매구루). 買溝(매구) : <삼국지>에서 북옥저를 칭하는 명칭
- 置構婁(치구루) : 치성(置城) 혹은 책성(冊城) (고구려어, 추정)
2.4. (동)예 ((東)濊
2.5 두막루((豆莫婁), 대막루(大莫婁))
2.5.1. 대막로(大莫盧) : <위서>, <북사>에서 두막루를 칭하는 명칭
2.5.2. 달말루(達末婁) : <신당서>에서 두막루를 칭하는 명칭
- 多勿(다물) : 옛 땅을 회복함 (고구려어)
2.6. 삼한(三韓) : 한(韓)족의 세 국가(마한, 진한, 변한)라는 의미
- 준왕(準王)의 성씨가 한씨(韓氏)
2.7. 마한(馬韓)
2.8. 진한(辰韓)
2.9. 변한(弁韓)
2.10. 변진(弁辰) : 어원 불명. 진한의 다른 명칭이라는 의견과, 변한과 진한을 아울러 말하는 명칭이라는 의견이 존재함
3. 삼국시대
3.1. 백제(百濟)
3.1.1. 십제(十濟)
3.1.2. 백잔(百殘) : <광개토대왕릉비>에서 백제를 칭하는 멸칭
3.1.3. 남부여(南夫餘)
3.1.4. 응준(鷹準) : <제왕운기>에서 백제를 칭하는 명칭
3.1.5. 나투(羅鬪) : <제왕운기>에서 백제를 칭하는 명칭
3.1.6. 百済[구다라] : : 일본어로 백제를 칭하는 명칭 중 하나
3.2. 신라(新羅) : 德業日新 網羅四方- 덕업(德業)이 날로 새로우며, (그것은) 사방을 망라한다
3.2.1. 걸의식국(乞衣食國) : <유양잡조>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2. 비집기(가)국 (飛集其(家)國) : <유양잡조>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3. 서야벌(徐耶伐) : <유양잡조>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4. 서라벌(徐羅伐) : <삼국유사>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5. 서벌(徐伐) : <삼국유사>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6. 사라(斯羅) : <삼국사기> 등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7. 사로(斯盧) : <삼국사기> 등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8. 시라(尸羅) : <제왕운기>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9. 신량(新良) : <고사기>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10. 계림(鷄林) : <삼국사기> 등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11. 지라기(志羅紀) : <출운국풍토지>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12. 신로(新盧) : <양서>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3.2.13. 구구탁예설라(矩矩托禮說羅) : <삼국사기>에서 천축(天竺)에서 신라를 칭하는 명칭
- 구구탁(矩矩吒) : 닭(雞) (천축어)
- 예설라(䃜說羅) : 귀하다(貴) (천축어)
3.3. 탐라국(耽羅國)
3.3.1 탐모라(耽牟羅) : <수서><백제전>에서 탐라국을 부르는 명칭
3.3.2. 모라국(牟羅國) : <수서>, <만주원류고>에서 탐라국을 부르는 명칭
3.3.3. 담라(憺羅)
3.3.4. 섭라(涉羅) : <삼국지><위서>에서 탐라국을 부르는 명칭
3.3.5. 탁라(托羅) : <삼국유사>에서 탐라국을 부르는 명칭
4. 남북국시대
4.1. 발해(渤海) : 보하이 해(渤海)
4.1.1. 진(振)
4.1.2. 진(震)
4.1.3. 진단(震旦) : <통전>에서 발해를 칭하는 명칭
4.1.3. 고려(高麗) : <속일본기>, <유취국사>에서 발해를 칭하는 명칭
4.1.4. 북국(北國)
4.1.5. 말갈(靺鞨) : <속일본기>에서 발해(숙신) 혹은 아시와세(粛慎)를 칭하는 명칭
4.1.6. 발해말갈(渤海靺鞨)
* 발해말갈을 하나로 볼지, 발해와 말갈을 분리해서 볼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4.1.7. 북적(北狄)
4.1.8. 해동성국(海東盛國) : <신당서>에서 발해를 칭하는 명칭
4.1.9. mos-i gur[모싀 구르] : (거란어)
5. 후삼국시대
5.1. 후고구려
5.1.1. 고려(高麗) : 고(구)려
5.1.2. 마진(摩震) : 마하진단(摩訶震旦) : 대동방국(大東方國)
-마하(摩訶) : 크다[大] (산스크리트어)
-진단(震旦)[cinitana] : 진인(秦人)이 거주하는 땅, 중국, 동방 (산스크리트어)
5.1.3. 태봉(泰封)
5.2. 후백제
5.2.1. 백제(百濟) : 정식 명칭
5.3. 동란국(동단국, 東丹國) : 동쪽의 거란
5.4. 후발해(後渤海)
5.4.1. 오사성발해(烏舍城渤海) : <송사>에서 후발해를 부르는 명칭
5.5. 오사국(烏舍國)
* 오사성발해(후발해)와 같은 무관한 국가로 추정
6. 통일왕조시대
6.1. 고려(高麗) : 고구려
6.2. 정안국(定安國)
6.3. 올야국(兀惹国)
6.3.1. 올야(兀惹)
6.4. 흥료국(흥요국, 興遼國)
6.5. 고욕국
6.6. 대발해국(大渤海國)
6.6.1. 대발해(大渤海)
6.6.2. 대원국(大元国)
6.6.3. 대원(大元)
6.7. 위(爲)
6.7.1. 대위국(大爲國)
6.8. 조선(朝鮮)
6.8.1. 대조선국(大朝鮮國) : 공식 명칭
6.8.2. 조선국(朝鮮國) : 공식 명칭
6.8.3. 조선 왕조(朝鮮王朝)
6.8.4. 이씨 조선(李氏朝鮮)
6.8.5. 이왕조(李王朝)
6.8.6. 이조(李朝)
6.8.7. 조선봉건왕조(朝鮮封建王朝) : 북한에서 부르는 명칭
6.8.8. 리조조선(李朝朝鮮) : 북한에서 부르는 명칭
6.9. 대한제국(大韓帝國) : 삼한
6.9.1. 대한국(大韓國)
6.9.2. 대한(大韓)
6.9.3. 구한(舊韓)
6.9.4. 구한국(舊韓國)
6.9.5. 한국(韓國)
6.9.6. Empire of Dai Han : 대한제국에서 국명을 영어로 쓸 때 사용할 것으로 부탁한 명칭
6.9.7. Korean Empire : 외국이 공식적으로 사용했던 명칭
6.9.8. Empire of Korea : 외국이 공식적으로 사용했던 명칭
7. 일제 강점기
7.1. 일제 강점기(日帝強占期)
7.1.1. 일제시대(日帝時代)
7.1.2. 대일항쟁기 : 2007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지정한 공식 명칭
7.1.3. 일제조선반도식민지파쑈통치(日帝朝鮮半島植民地fascio統治) : 북한에서 칭하는 명칭
7.1.4. 일본통치시대(의) 조선(日本統治時代の朝鮮)
7.1.5. 대일본제국 조선 (大日本帝国(朝鮮) )
7.1.6. Japanese Korea(일본령 한국)
7.1.7. Korea under Japanese rule(일본 통치 아래의 한국)
7.1.8. 조선일거시기(朝鮮日據時期)
- 據[jù. 주(이)] : 증거/의거하다, 의지하다, 점거하다, 가로채다 (중국어)
7.1.9. 조선일치시기(朝鮮日治時期)
7.1.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 : 대한제국
7.2.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 : 상하이(上海)
7.3. 한성정부(漢城政府) : 한성부(漢城府)
7.3.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제국
7.3.1. 상해림시정부 : 문화어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부르는 명칭. 북한에선 상해 임시정부를 기반으로 했다고 보아 그 정부의 명칭을 그대로 가져다 썼으며 김일성이 이끈 영웅적항일무장투쟁을 방해한 단체로 본다.
8. 현대
8.1. 조선인민공화국(朝鮮人民共和國) : 조선
8.2.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 조선
8.3. 소비에트 민정청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ве́т[소베트] : 조언, 위원회 (러시아어)
8.4. 북조선인민위원회 : 조선
8.5. 대한민국 : 대한제국
8.5.1. 신한국(新韓國) : 구한국(대한제국)과 대비되는 명칭
8.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1 - 기이 1-2(혁거세왕부터 장춘랑과 파랑까지) (0) | 2021.02.14 |
---|---|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1 - 기이1-1(서문부터 혁거세 이전까지) (0) | 2021.02.14 |
조선 및 대한제국 일본 공사관에 있었던 일본인 외교관 목록 (0) | 2021.02.13 |
삼국사기 지리지에 기록된 신라의 강역 (0) | 2020.11.14 |
신찬성씨록에 기록된 임나 출신 일본인의 성씨 (0) | 2020.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