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궁금해서 찾아온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57)
일곱 개의 빛나는 별들, 칠요(七曜) 그리고 요일 그 외에 민속, 신화, 종교에 관한 개념은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376)을 참고해주세요~ 칠요(七曜)라는 별들의 무리가 있다. 해와 달, 그리고 오성(五星, 토성, 목성, 화성, 금성, 수성)을 합쳐 일컫는 말이다. 7가지의 각 별마다 정해진 법칙이나 위치가 있다고 해서 칠정(七政), 칠위(七緯)라고도 부른다. 이들의 순서와 명칭은 조금씩 변해 지금은 달력에 쓰이고 있다. 칠요의 원래 순서는 천구상에서 움직임이 느린 순서대로 토성, 목성, 화성, 태양, 금성, 수성, 달이었지만 옛이름 진성 (鎮星) 세성 (歲星) 형혹성 (熒惑星) 태양성 (太陽星) 태백성 (太白星) 신성 (辰星) 태음성 (太陰星) 현재 이름 토성 목성 화성 태양 금성 수성 달 시간이 지나며..
별을 쫓는 아이를 보고 군대 들어와서 쉬는 시간에 뭐 할말한 게 있을까? 다들 보통 폰보기 바쁘더라. 선임한 분이 일본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데 나보고 '별을 쫓는 아이'와 '초속5센티미터'라는 영화를 추천해주셨다. 이번 글에서는 '별을 쫓는 아이'에 나온 용어들을 정리해보고 감상을 쓰도록 하겠다. 1. 제목 해석 원제는 星を追う子ども [ほしをおうこども]이다. - 星 [호시] : 별 - を [오] : ~을 - 追う [오우] : 뒤따르다. 뒤쫓다. 추구하다. (追う의 종지형, 연체형) - 子ども [코도모] : 아이, 자식 2. 별을 쫒는 아이에 나오는 개념들 1. クラヴィス [쿠라뷔스] : 클라비스(clavis). 아가르타(アガルタ)의 문을 여는 열쇠 광석. 라틴어로 clavis는 '열쇠'라는 뜻이다. 2. アガルタ [아가르타] ..
파이팅! 頑張って! '힘내!' 혹은 '파이팅!'의 뜻인 간바떼! 이 단어에 대해 알아보자! 頑張る [がんばる]의 접속형(接続型)인 頑張って [がんばって]. 동사의 접속형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겠다. 그럼 頑張る의 어형 분석부터 해보자. 1. 곤란한 일에 굴하지 않고 참고 끝까지 해내다. [一致団結してがんばる : 일치단결해서 노력한다.] 2. 자신의 생각, 의지를 끝까지 관철하려 하다. 아집을 세우다. [がんばって自説を譲らない : 애써 자기 의견을 양보하지 않겠다.] 3. 한 장소를 차지하고 움직이지 않고있다. [入り口に警備員ががんばっているので入れない : 입구에 경비원이 (가만히) 있어서 들어갈 수 없다.] - goo 사전 즉, 頑張る는 자신의 의견을 끝까지 지켜 일을 완수한다는 뜻이다. '관철한다'라는 뜻의 頑張る는 '아..
5대 환국 한자사전을 읽어보면 환국이라는 단어가 2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번째, '(자기)나라로 돌아오다'라는 뜻의 환국(還國). 귀국(歸國)과 같은 뜻이다. 두번째, '시국(판국)이 바뀌다'라는 뜻의 환국(換局). 우리가 살펴볼 환국은 2번째 換局이다. 역사학에서 환국(換局)이란 17~18세기 조선시대에 집권세력이 급변하면서 정권을 잡고 있던 붕당이 바뀌는 정치적 변동을 말한다. 왕 연도 환국 명칭 세력 변화 숙종(1674~1720) 1680 경신환국 남인->서인 1689 기사환국 서인->남인 1694 갑술환국 남인->서인 영조(1724~1776) 1725 을사환국 서인(소론->노론) 1727 정미환국 서인(소론->노론) 1. 경신환국(1680) 1674년 2월 갑인예송 9월 숙종 즉위 1676년 1..
갑인예송, 환국 정치의 시작..? 1674년(현종 15) 2월 효종의 왕비 인선왕후의 국상이 일어났고, 그 때 시어머니였던 자의대비(慈懿大妃)가 입을 상복을 두고 예송 논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이 '2차 예송'인 갑인예송이다. 삼가 듣건대, 대신이 차자를 올려 논하며 해조에 문의토록 했다 합니다. 모후(母后)의 상에 기년복(朞年服)을 입는 제도에 대해서 신들도 처음에는 의심했습니다만 예경을 상고해 보고 나서 비로소 의심이 풀렸습니다. 《의례(儀禮)》 상복(喪服) 부장기장(不杖期章)을 보면 ‘임금의 어미와 처를 위해 입는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임금을 위해 종복하는 것뿐으로서 본래 방상(方喪)의 의리가 없기 때문에 기년복 정도로 그치는 것입니다. 또 《오례의(五禮儀)》 소주(小註)를 보건대 ‘내상(內喪)에는 자최로 기년복을 입는다.’..
국제법에 따라 정정당당 전쟁할 것을 맹세합니다! (Feat.냥뇽녕냥) 내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나에게 한 틱톡 영상을 추천해주었다. 나는 이를 일본어를 좀 더 확실히 익히라는 의미로 받아들였고 열심히 번역했다! 아래에 내가 이 글을 쓰게된 계기가 된 영상을 소개하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Qb2rGnY43O0 냥뇽녕낭님의 tiktok 영상 国際法にのっとり [코쿠사이호우니놋토리] 국제법에 따라 国際法 [こくさいほう] : 국제법 のっとり - 따ㄹ-(のっとる의 연용형) のっとる (則る, 法る) : 규준, 규범으로서 따르다. ㄴ のっとる 는 '본보기로 하다'라는 인 のりとる (則る, 法る)의 음변화형이다. 正々堂々戦争する事を誓います! [세-세-도-도-센소스루코토오치카이마스] 정정당당 전쟁할 것을 맹세합니다! 正々堂々 : 정정당당 戦争する [せん..
중국 근현대사 연표 역덕인 나는 고등학교 때 동아시아사와 세계사 과목을 공부했었다. 그 유명한 쌍사! 그로 인해 많이 까먹었지만 중국사의 흐름과 대략적인 사건들을 아직도 알고 있었는데, 그러던 중 교수님께서 현대 중국을 알기 위해 연표를 알아야한다며 '연표 특강'을 해주셨다. 거기서 배운 연표들과 바이두 등 실제 중국측 기록을 위주로 검색해 다시 정리해본다. 주의)참고로 학교 내신 시험, 수능, 대학 시험같은 시험들에서 알려주는 연표와 조금씩 차이가 날 수도 있으니 읽으실 때 연도 하나하나에 신경쓰기보다는 중국사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시기 바란다. 그리고 여러분이 치룰 시험에서만큼은 여러분이 배우는 교과서나 참고서가 더 정확하다!!!!! 1577~1999.12.19, 포르투갈령 마카오 1616~1636, 후금 ->청..
너의 돈의 단위는 뭐니? [한국은행 설립 전까지의 한국의 중앙 은행과 화폐 단위의 역사] 화폐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기 앞서 한국의 중앙은행의 역사를 알아보자. 1878.06~1896.09.25 제일국립은행 부산지점(第一国立銀行 釜山支店) 1896.09.26~1909.07 제일은행 부산지점(第一銀行 釜山支店) 1909.07~1911.03 한국은행(韓國銀行) 1911.03~1950.06.11 조선은행(朝鮮銀行) 흔히 현재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의 역사를 설명할 때, 조선은행에 대해서만 주로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은행의 전신은 일제 수탈의 한 도구였던 조선은행이었다. - 나무위키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로서, 실제로 중앙은행으로서의 역할이 확립되고 확산된 것은 조선은행 때부터가 맞지만, 근본적인 시작은 일본의 제일은행(第一銀行, 1873~1971)이라는 것이다. 제일은행(1873~197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