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les!농사 지으러 가야지?
오늘은 이름(정확히는 인명)에 관한 주제를 들고 왔다. 찰스, 샤를, 카를로스. 언뜻 듣기엔 비슷한 이름이지만 사실 이 들은 같은 단어를 사용하면서 발음이 다르거나, 변용한 것이다. 그럼 민지 미자 민주도? 제발 잡소리 그만.. 위키백과에 따르면 Charles는 덴마크, 영국, 핀란드, 프랑스, 그린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웨일스에서 주로 남자에게 사용하는 이름(Given name)이다. 이렇게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는 만큼 그에 따른 변형 형태 또한 많다. 이 단어는 고고(古高) 게르만어 Karl[카를], karal[카랄]에서 파생되었으며, 그 이전엔 게르만조어(PGmc)에서 '자유인(free man)'라는 뜻을 가진 *karlaz[*카르라즈]나 '자유인, 노인'을 뜻하는 *karilaz[*카릴라즈..
전주 이씨 왕족 및 황족 부계도
전주 이씨 왕족 및 황족 부계도 (양자 표시는 하였지만 실질적인 계보를 기록) 붉은색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사람들은 조선왕조의 왕들 중 실질적 정치를 한 왕들이며, 하늘색 사각형 안의 사람들은 대한제국에서 인정한 황제 중 실제로 정치를 한 왕들이며, 초록색 화살표로 연결된 두 인물은 양자관계이다. () 안의 인물은 실제 재위하거나 통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적게 끼친 인물들이거나 추존된 인뮬들이다. 14C, 태조 14~15C, 정종 15C,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15~16C, 연산군 16C, 중종, 인종, 명종 16~17C, 선조 17C,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17~18C, 숙종 18C, 경종, 영조 18~19C, 정조 19C, 순조, 헌종, 철종, 고종 19~20C, 태..
삼국유사 기이2에 기록된 가락국왕 계보도
에 가락국에 대한 기록이 존재한다. 이 가락국기편에는 11세기 고려 금관 지주사의 문인이 쓴 뿐 아니라, 신라 법민왕(문무왕)이 용삭 원년(661년) 신유 3월에 내린 조서, 순화 2년(991년) 고려 김해부 양전사 중대부 조문선의 보고서, , , 등의 내용도 같이 기록해놓았다. 따라서 글의 제목을 '가락국기에 기록된 가락국왕 계보도'가 아닌 '삼국유사 기이2에 기록된 가락국왕 계보도'라고 적었다. 생몰년 : 34/37~193, 허황옥(아유타국->가락국) 재위 : 42~199, 가락국, 1대 수로왕 재위 : 199~253, 가락국, 2대 거등왕 재위 : 253~291, 가락국, 3대 마품왕 재위 : 291~346, 가락국, 4대 거질미왕 재위 : 346~407, 가락국, 5대 이시품왕 재위 : 4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