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궁금해서 찾아온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57)
я из Коре́и 이 문장은 대명사 я, 전치사 из[이즈] 와 명사 Коре́и[까례이]로 이루어져있다. 전치사 из는 '~의, ~밖에, ~로부터'라는 뜻이다. 이 전치사는 항상 생격을 가지는데, '한국'을 뜻하는 Коре́я의 생격이 Коре́и이기에, из Коре́и[이즈 까례이]라는 문장이 된 것이다. 이 문장은 '한국으로 부터, 한국 출신의'라는 뜻이다. 문장 맨앞의 대명사 я는 '나'라는 뜻이다. 즉, я из Коре́и [야 이즈 까례이]는 '나는 한국 출신이다'라는 뜻이 된다. 마지막으로 Коре́я의 어형 변화를 보고 가자. 여성형 명사 어미인 я로 끝난 Коре́я는 비활동체 여성형 명사이다. 따라서, 복수 대격은 '복수 주격'과 같다. 격 단수 복수 주 Коре́я Коре́и 생 Коре́и Ко..
[영어] 동사 sound sound의 과거형이 sound인지 sounded인지 헷갈려서 쓰는 글이다. 결론적으로 과거형은 sounded가 맞다. sound는 자동사로 쓰일 때 '소리내다', '~하게 들리다'라는 뜻이다. 타동사로 쓰일 때 '(~한) 소리를 내다, ~을 알리다'라는 뜻이다. 아래 동사 변형 표를 보자. 부정사(동사 원형) sound 3인칭 단수 sounds 과거 시제 sounded 과거 분사 동명사 sounding 결론부터말하자면, 동사 sound의 과거형은 sounded이다. 노르만인이 잉글랜드를 정복한 1066년(11세기)부터 15세기 후반까지 사용되었던 중 영어(Middle English, ME)에서는 '소리내다'라는 단어를 'sounen'으로 사용하다가 15세기에 발음의 편의를 위해 '-d'를 붙였다. 이로..
на английском (языке) 전치사 на 뒤에는 대격이나, 전치격이 붙는다. [참고 : https://mspproject2023.tistory.com/22] [러시아어] 격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전치사 대격을 지배하는 전치사 중에서 다른 격을 지배하는 전치사들이 많다! ​ 1. 대격 지배 전치사 겸 전치격 지배 전치사 ​ 1.1. в (대격/전치격) - в + 대격 : ~안으로[to] - в + 전치격 : ~에(서)[in] ​ 1 mspproject2023.tistory.com - на + 대격 : ~에(표면에)[to] - на + 전치격 : ~에(서)[in] 그럼 англи́йском이 무엇인지만 알면 해석을 할 수 있다. 이 англи́йском은 '잉글랜드의(영국의)'라는 뜻의 형용사 англи́йский의 남성/중성형 전치격..
속성 연애 러시아어(Feat. 신상터는 녀석들) https://www.youtube.com/watch?v=bbuY_9DBO1Q 1. 당신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 как тебя́ зову́т? : 너의 이름은 뭐야? 직역하면 '(그들은) 너를 어떻게 부르나요?'이다. зову́т는 '부르다'라는 뜻의 звать의 3인칭 복수 현재형 동사이기 때문에 '(그들이) 부른다'라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 как вас зову́т? :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마찬가지로 직역하면 '(그들은) 당신을 어떻게 부르나요?'이다. тебя́와 вас 둘다 2인칭을 나타내지만, 기본적으로 тебя́는 2인칭 단수, вас는 2인칭 복수를 나타낸다. 다만 вас는 2인칭 단수의 존칭형으로도 사용된다. 불완료상 동사 звать의 현재형 어형 변화 1인칭 단수 зову..
[프랑스어] ça va? ça va. 프랑스어 ça va[싸 바]는 비격식체 문장으로 영어의 'how are you?', 'it's fine'에 해당하는 문장이다. 직역하면, '그것은 간다(it goes)'가 되겠다. 어형 분석을 해보자. 먼저 대명사 ça는 대명사 cela[셀라]의 축약형이며, 뜻은 '그것(it)'이라는 뜻이다. 다음 va. 프랑스어 전공자가 아니라 아래의 시제와 관련된 용어가 약간 다를 수도 있다는 점 양해바라며, 수정이 필요할 시 알려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직설법)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3인칭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순 시제 현재 시제 vais vas va allons allez vont 반과거 시제 allais allait allions alliez allaient 단순 과거 시제 allai allas alla a..
1978~1985, 미합중국 자동차 연비 표준의 변화 예측 위의 표에 이런 문장들이 적혀있다. This line, representing 18 miles per gallon in 1978, is 0.3 inches long. Fuel Economy Standards for Autos set by congress and supplemented by the Transportation Department. in miles per gallon. This line, representing 27.5 miles per gallon in 1985, in 5.3 inches long. 해석해보면 아래와 같다. 1978년 갤런당 18마일을 나타내는 이 선은 0.3인치 길이다. 자동차 연비 표준 의회(congress)에 의해 설정되고, 교통부(Transportation Depart..
울트라 코리아(Ultra Korea) 이전에 제1회 울트라 코리아 예고편을 본적이 있었고, 어제 그 영상에 좋아요를 누른 것을 확인했고, '음악 행사' 하나 정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여 여기에 적는다. https://ultrakorea.com/ko/ Ultra Korea - 2020년 가을 Ultra Korea - 독보적인 무대 디자인과 최강의 프로덕션으로 세계 최정상 EDM DJ를 자랑하는 최고의 음악 축제 ultrakorea.com 2012년 8월 3일부터 4일, 서울 올림픽 경기장에서 한 야외 전자 음악 축제가 열렸다. 그 행사는 1998년부터 미국 플로리다주의 마이애미에서 열리던 EDM(Electronic Dance Music) 축제인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ULTRA MUSIC FESTIVAL, UMF)을 원조로 해서 만들..
코렐라인 OST - End Credits https://www.youtube.com/watch?v=XnIUVHtLC08 'End Credits'는 2009년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영화 코렐라인(Coraline)에 나오는 ost로, 영화의 엔딩 크레딧이 올라갈 때 연주된다. 실제 가사는 단순히 횡설수설(gibberish)하고 어떤 실제 언어로도 쓰여 있지 않지만, 숨겨진 메시지는 '다른 어머니(Beldam)'와 그의 이미지로 만들어내는 위험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노래는 니스 어린이 합창단(The Children's Choir Of Nice)에 의해 공연되었다. 가사는 뜻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번역 자체를 할 수가 없어 기재하지 않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