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39) 썸네일형 리스트형 270여년간 조선 정치와 군사 최고 기관으로 있던 창덕궁 남쪽의 비변사 터 창덕궁 입구쪽을 지나는 서울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6에 '비변사 터 기념비'가 있습니다.'변두리(邊)의 일에 대비(備)하는 관아(司)'란 뜻의 비변사(備邊司, 1510~1864)는 삼포왜란이 일어났던 1510년 즈음 비상 시국에 대비하는 기구로 처음 설치되었습니다. 이후 1517년 정식 기구가 되었고, 1555년 을묘왜변을 지나며 정식 청사를 이곳에 설치하며 군 관련 업무를 보기 시작합니다.비변사 터조선시대 외적의 방어와 국가최고정책을 논의하던 관아터.중종 때 창설되어 흥선대원군에 의해 폐지되었음.시간이 지날수록 오늘날의 국방부격인 병조(兵曹)의 역할이 줄어들며 병조와 비변사의 대립이 지속되었으나, 임진왜란(1592~1598) 시 전쟁 수행 최고 기구로 활동하며 국가 최고의 정치 기구로 바뀌게 됩니다... 나라를 생각하는 임시수도 대통령관저, 부산임시수도기념관 관저 1. 임시수도기념관 관저 1층 원래 '나라를 생각하는 집'이란 뜻의 사빈당이란 이름으로 불렸던 (전)대통령관저인 부산 서구 부민동에 위치한 부산임시수도기념관 전시관을 찾아왔습니다. 한국 전쟁 중 임시수도가 된 부산의 발전상을 담은 부산 임시수도기념관1. 주차장부산지하철 토성역 2번 출구로 나와 한 블럭을 지나 구덕로 199번길을 따라 쭉 3블럭 올라간 뒤 북쪽으로 꺽으면 보이는 풍경입니다.주차장은 오후 6시까지 열리며, 주차는 관람객인 경mspproject2023.tistory.com사빈당(思邠堂)의 유래 '사빈당(思邠堂)'은 경남도청 창원 이전 후인 1984년 6월 25일 임시수도 기념관으로 개관한 대통령 관저의 당호(堂號, 집의 이름)이다. 개관에 즈음하여 역사학자 정중환(丁仲煥, 1914~2001).. 민영훈 거사비와 번영 조각이 있는 금정구 부곡동 공원 공수물공원 버스를 타러 가는 길에 부산 금정구 부곡동의 작은 공원 공수물공원을 잠시 들렸습니다.17세기경 공수물(公須物, 공수전에서 내는 물품)을 조달하는 공수전(公須田, 관아 및 역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지급하던 토지)이라는 밭이 있었기에 이 지역을 '공수물마을'이라 불렀는데요. 이후 대한제국 시절 금양동(錦陽洞)이라고 부르다가, 일제 강점기에 들어서며 부곡동(釜谷洞)과 기찰동(機察洞)을 합쳐 부곡리(釜谷里)라고 불리게 됩니다.이 공수물공원 가운데에는 19세기 구휼 정책을 펼친 동래부사 민영훈의 거사를 기리는 민영훈 거사비가 1993년도 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부산 금정구 노포동과 양산 사송 마을 경계에서 옮겨 세워져 있습니다.https://mspproject2023.tistory.com/942 공수물공원의 부.. 마을 화재 예방을 위해 지어진 부산 금정구 부곡동 서동 희망숲속 방재공원 동현중학교 옆에서 서동고개까지 약 5~8분, 서동고개 정류장에서 약 7~8분 정도 걸리는 곳에 희망숲속 방재공원이 있습니다. 이곳은 행정구역상 부산 금정구 부곡동이지만, 바로 옆 서동 지역과 인접해 흔히 서동이라고 여겨지는 곳입니다.서동고개 버스 정류장에 내려서 부곡4동삼차로 공영주차장 뒷길을 따라 가다 보면 '희망숲속방재공원'까지 20m 남은 지점에 다다르게 됩니다. 계단을 오르면 잘 정돈되고 화재 예방을 위해 적은 풀과 돌로 이루어진 바닥이 보이는 쉼터가 나타납니다.희망숲속방재공원고지대 마을에 화재 발생시 배치된 소방시설로 화재진압을 할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대피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평소에는 방문객들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쉼터입니다.* 공원 사용시 꼭 지켜주세요.- 식물과 공공시설물을 아끼고 사적사용.. 400년간 이 땅을 지킨 당산신을 모시는 부산 금정구 부곡2동 당산제 지금 부곡2동을 중심으로 아주 오래전엔 공수물마을이라 불렀다가 1896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금양리(錦陽里)라고 불렀습니다. 그렇게 한동안 금양마을, 금양리라고 불리다가, 1914년, 부곡리(釜谷里)로 불리며 지금의 지명이 되었습니다.한 때 금양마을이라 불렸던 이곳은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약 380년이 된 푸조나무가 당산나무이자 당산신으로 모셔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이곳에선 정월대보름에 제사를 지내고 있죠.보호수이 나무의 나이는??수종푸조나무수령380년수고10m나무둘레3.6m 380년 고유번호2-11-1지정일자1980.12.8.소재지금정구 부곡2동 265-10관리자금정구청 공원녹지과더뉴스코리아(https://www.newskorea21.com/1540404)의 기사에 따르면, 부곡2동 봉디미 발전.. 낙동강변 신선이 놀다 올라간 곳, 상강선대와 하강선대 1. 상강선대(할배당산)1-1. 상강선대(할배당산)덕포역 1번 출구로 올라와 3번 출구 방향으로 조금 가다 보면 전통적인 느낌의 건물 하나가 보입니다.이곳이 바로 상강선대와 상강선대 당산제가 있는 곳이죠!한 기록에 따르면, 상강선대와 하강선대는 주민들의 신앙의 상징으로서 이곳의 고목을 당산나무로 하여 1700년(숙종 26)경 언덕 위에 당집을 세워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빌어 왔다고 하네요.상강선대(上降仙臺)소재지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 상리부락본 장소를 상강선대(上降仙臺)라고 부르고, 덕포1동쪽에 있는 것을 하강선대(下降仙臺)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러한 이름은 이곳이 경관이 빼어나 매년 음력 12월 1일*이면 신선이 하강(下降)하여 목욕을 하고 쉬어 갔다고 하는 전설에서 유래하였다 한다.강선대(降仙.. 사상구 능인사 건너편 황택용 효자비는 한빛아파트쪽에 있음 카카오맵에서 부산 사상구 괘법동 능인사 건너편 도로쪽에 '황택용효자비'가 있다고 해서 찾아가봤습니다.그런데 이곳엔 원래 없었던 것 같아요...부산역사문화대전을 보니 황택룡정려비(황택용효자비)는 능인사 오른쪽으로 올라가야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냥 주소인 '산28-6번지'만 보고 찾아갔는데, 지도가 가르킨 곳과 가깝지만 다른 곳에 있었네요ㅠ 아쉽지만, 다음부턴 목표 방문 지점이 생기면 사전 조사를 좀 더 해야할 듯 합니다~다음엔 괘법동 답사 계획을 짜고 글을 또 올리겠습니다! 일상 러시아어 - 2gis 3D 네비게이션 기능 업데이트 알림 1. 원문 2ГИСРеа́льная любо́вь [리알-너여 류보ㅍ] Сотру́дники 2ГИС расска́зывают о само́м люби́мом. В э́тот раз - о реалисти́чных доро́гах в навига́торе. [써ㄸ루ㄷ니끼 드바기ㅅ 러ㅅㅅ까즤버윹 어 싸몸 류비멈. 브 에떹 라ㅅ - 어 리얼리ㅅ찌ㅊ늬ㅎ 더로거ㅎ 브 너비가떠리.] 2. 단어2-1. сотрудник : 협력자, 근무자 단수복수주격 сотру́дник сотру́дники 생격 сотру́дника сотру́дников 여격 сотру́днику сотру́дникам대격활동체сотру́дникасотру́дников조격 сотру́дником сотру́дниками 전치격 сотру́дни..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