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39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38)
5대 환국 한자사전을 읽어보면 환국이라는 단어가 2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번째, '(자기)나라로 돌아오다'라는 뜻의 환국(還國). 귀국(歸國)과 같은 뜻이다. 두번째, '시국(판국)이 바뀌다'라는 뜻의 환국(換局). 우리가 살펴볼 환국은 2번째 換局이다. 역사학에서 환국(換局)이란 17~18세기 조선시대에 집권세력이 급변하면서 정권을 잡고 있던 붕당이 바뀌는 정치적 변동을 말한다. 왕 연도 환국 명칭 세력 변화 숙종(1674~1720) 1680 경신환국 남인->서인 1689 기사환국 서인->남인 1694 갑술환국 남인->서인 영조(1724~1776) 1725 을사환국 서인(소론->노론) 1727 정미환국 서인(소론->노론) 1. 경신환국(1680) 1674년 2월 갑인예송 9월 숙종 즉위 1676년 1..
갑인예송, 환국 정치의 시작..? 1674년(현종 15) 2월 효종의 왕비 인선왕후의 국상이 일어났고, 그 때 시어머니였던 자의대비(慈懿大妃)가 입을 상복을 두고 예송 논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이 '2차 예송'인 갑인예송이다. 삼가 듣건대, 대신이 차자를 올려 논하며 해조에 문의토록 했다 합니다. 모후(母后)의 상에 기년복(朞年服)을 입는 제도에 대해서 신들도 처음에는 의심했습니다만 예경을 상고해 보고 나서 비로소 의심이 풀렸습니다. 《의례(儀禮)》 상복(喪服) 부장기장(不杖期章)을 보면 ‘임금의 어미와 처를 위해 입는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임금을 위해 종복하는 것뿐으로서 본래 방상(方喪)의 의리가 없기 때문에 기년복 정도로 그치는 것입니다. 또 《오례의(五禮儀)》 소주(小註)를 보건대 ‘내상(內喪)에는 자최로 기년복을 입는다.’..
국제법에 따라 정정당당 전쟁할 것을 맹세합니다! (Feat.냥뇽녕냥) 내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나에게 한 틱톡 영상을 추천해주었다. 나는 이를 일본어를 좀 더 확실히 익히라는 의미로 받아들였고 열심히 번역했다! 아래에 내가 이 글을 쓰게된 계기가 된 영상을 소개하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Qb2rGnY43O0 냥뇽녕낭님의 tiktok 영상 国際法にのっとり [코쿠사이호우니놋토리] 국제법에 따라 国際法 [こくさいほう] : 국제법 のっとり - 따ㄹ-(のっとる의 연용형) のっとる (則る, 法る) : 규준, 규범으로서 따르다. ㄴ のっとる 는 '본보기로 하다'라는 인 のりとる (則る, 法る)의 음변화형이다. 正々堂々戦争する事を誓います! [세-세-도-도-센소스루코토오치카이마스] 정정당당 전쟁할 것을 맹세합니다! 正々堂々 : 정정당당 戦争する [せん..
중국 근현대사 연표 역덕인 나는 고등학교 때 동아시아사와 세계사 과목을 공부했었다. 그 유명한 쌍사! 그로 인해 많이 까먹었지만 중국사의 흐름과 대략적인 사건들을 아직도 알고 있었는데, 그러던 중 교수님께서 현대 중국을 알기 위해 연표를 알아야한다며 '연표 특강'을 해주셨다. 거기서 배운 연표들과 바이두 등 실제 중국측 기록을 위주로 검색해 다시 정리해본다. 주의)참고로 학교 내신 시험, 수능, 대학 시험같은 시험들에서 알려주는 연표와 조금씩 차이가 날 수도 있으니 읽으실 때 연도 하나하나에 신경쓰기보다는 중국사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시기 바란다. 그리고 여러분이 치룰 시험에서만큼은 여러분이 배우는 교과서나 참고서가 더 정확하다!!!!! 1577~1999.12.19, 포르투갈령 마카오 1616~1636, 후금 ->청..
너의 돈의 단위는 뭐니? [한국은행 설립 전까지의 한국의 중앙 은행과 화폐 단위의 역사] 화폐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기 앞서 한국의 중앙은행의 역사를 알아보자. 1878.06~1896.09.25 제일국립은행 부산지점(第一国立銀行 釜山支店) 1896.09.26~1909.07 제일은행 부산지점(第一銀行 釜山支店) 1909.07~1911.03 한국은행(韓國銀行) 1911.03~1950.06.11 조선은행(朝鮮銀行) 흔히 현재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의 역사를 설명할 때, 조선은행에 대해서만 주로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은행의 전신은 일제 수탈의 한 도구였던 조선은행이었다. - 나무위키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로서, 실제로 중앙은행으로서의 역할이 확립되고 확산된 것은 조선은행 때부터가 맞지만, 근본적인 시작은 일본의 제일은행(第一銀行, 1873~1971)이라는 것이다. 제일은행(1873~1971..
법동사 must 법동사(modal verb) must의 과거형이 궁금해서 정리해보았다. 법동사(modal verb)는 법조동사(modal auxiliary)라고도 하는데, 본동사(main verb)에 의해 표현되지 않는 가능성과 같은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동사를 말한다. 그럼 must는 동사인가 조동사인가? 이에 대한 대답은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영국권에서는 이를 동사(modal verb)로 보며, 미국권에서는 조동사(modal auxiliary)로 보고 있으니, 둘다 맞다고 보면 된다. 이런 법동사에 어떤 단어들이 있을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조동사들은 이 법동사에 포함된다. can, could, may, might, must, ought, shall, should, will, would..
잣나무떡 카시와모치(柏餅) 우리나라에서는 백(柏)은 측백나무와 잣나무를 뜻하며, 병(餅)은 떡을 뜻한다. 한자 그대로의 뜻만 보면 카시와모치는 '측백나무떡'이지만, 일본에서는 柏의 의미가 조금 다르다. 柏을 [하쿠(뱌쿠)]로 읽으면 '측백나무'라는 뜻이나 [카시와(가시와)]라고 읽으면 잣나무가 된다. 柏 [음독] ハク (한음) ヒャク (오음) [훈독] かしわ [ハク] 나무 이름. (특히) 측백나무(コノテガシワ) ex) 송백(松柏), 측백(側柏), 편백(扁柏) [かしわ(がしわ)] 나무 이름 (특히) 잣나무 ex) 잣나무(柏木), 잣나무떡(柏餅), 예덕나무(赤芽柏) 어쨌든 측백나무든 잣나무든 이 떡은 나무로 만든 떡인걸까? 한자의 뜻만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떡은 사실 떡갈나무 잎으로 싼 떡일 뿐이다. 실제로 이 떡은 쌀(..
넷플릭스 이용가능 지역 지도 넷플릭스는 190개국 이상에서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넷플릭스의 TV 쇼와 영화 목록은 국가에 따라 다르며 때때로 바뀔 것이다. ​ 첨언 : 넷플릭스는 중국, 크림반도, 북한, 시리아에서는 아직 이용할 수 없다. -넷플릭스 콘텐츠 서비스 기업인 넷플릭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국가들을 지도에 표시한 것이다. 넷플릭스의 위대함이 한층 크게 나에게 다가왔던 충격적인 지도였다. ​ 아 넷플릭스 시작해야하나..ㅋㅋㅋ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