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동사 must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법동사 must

728x90
법동사(modal verb) must의 과거형이 궁금해서 정리해보았다.

법동사(modal verb)는 법조동사(modal auxiliary)라고도 하는데, 본동사(main verb)에 의해 표현되지 않는 가능성과 같은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동사를 말한다.

그럼 must는 동사인가 조동사인가?

이에 대한 대답은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영국권에서는 이를 동사(modal verb)로 보며, 미국권에서는 조동사(modal auxiliary)로 보고 있으니, 둘다 맞다고 보면 된다.


이런 법동사에 어떤 단어들이 있을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조동사들은 이 법동사에 포함된다.

can, could, may, might, must, ought, shall, should, will, would

 

이러한 법동사 중 우리가 오늘 볼 단어는 must이다. 

일단 아래 동사 변형 표를 먼저 보자.

부정사(동사 원형) -
3인칭 단수 must
현재 분사 -
과거 시제 must
과거 분사 -
동명사 -

must는 일반 동사들과는 다르게 부정사, 분사형(현재 분사, 과거 분사)와 동명사형이 없다! 한국어로는 '꼭 해야함'처럼 명사구로 표현이 가능하지만 영어에서는 그렇게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제 must의 뜻을 살펴보고 어원을 확인해보자.

must

1. used to show that it is necessary or very important that something happens in the present or future: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일이 발생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


2. used to show that something is very likely, probable, or certain to be true:
[어떤 것이 사실일 가능성이 매우 높거나, 가능성이 높거나, 확실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



- 캠브릿지 사전

즉 must는 특정 대상에 대한 확신, (수행) 필요성을 표현한다. 보통 '~해야한다'로 외우지만, 우리말의 '꼭, 진짜'로 번역하면 그 의미가 확 와닿는다.

I must get some sleep. : 나 잠 좀 자야해
We must get someone to fix that wheel : 우리는 저 바퀴를 고칠 누군가를 얻어야해
We must meet for lunch soon. : 우리 (오는) 점심 때 만나자
She must be very smart : 그녀는 진짜 똑똑할거다.

 

must는 중영어(middle English)에서 '~해야한다'라는 뜻의 moten의 과거형 moste에서 왔다.

부정사 -
  현재 시제 과거 시제
단수 1인칭 단수 mot moste, muste
2인칭 단수 most mostest, mustest
3인칭 단수 mot moste, muste
가정형 단수 mote
명령형 단수 -
복수 복수 moten, mote mosten, moste, musten, muste
명령형 복수 -
분사 -

moste는 moten의 과거이며, 2인칭 단수를 제외한 모든 단복수의 과거형에 해당한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현재 must에 대응하는 주어는 단수도 복수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단복수 모두를 주어로 가지는 과거형 동사  must는 독특하게도 현재에는 주로 미래와 현재를 표현할 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 이 단어의 가장 큰 특징이다! 간혹 과거형도 쓰이지만, 대부분은 위와 같이 사용된다.

 

 

must가 현재와 미래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must는 과거형 must에서 나왔다. 즉, 근본적으로 must는 과거형이라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