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

(457)
錨(닻 묘)는 어떤 글자에서 쓰일까? 1. 한자 錨(닻 묘)'쇠(광물, 금속, 낱붙이)'를 뜻하는 金(쇠 금)과 '모, 모종'을 뜻하는 苗(모 묘)가 합쳐진 글자 錨(닻 묘)는 '닻'을 뜻합니다.이 한자는 어떤 글자들에 쓰일까요? 한국어에서 이 한자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한 닻'과 같이 형용하는 단어의 뒤에 붙어서 쓰이거나 '닻으로 ~하다, 닻을 ~하다'와 같이 형용하는 단어의 앞에 붙어 쓰입니다. 2. 錨이 들어간 두글자 단어단어직역의미대묘(大錨)큰 닻큰 닻묘박(錨泊)닻으로 머무름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름묘삭(錨索)닻의 노닻줄발묘(拔錨)닻을 뽑음‘내렸던 닻을 거두어 올린다.’는 뜻으로, 배가 떠남을 이르는 말.소묘(小錨)작은 닻선박에 미리 마련하여 두는 작은 닻양묘(揚錨)닻을 날림(닻을 올림)닻을 감아올림중묘(中錨)가운데의 닻배의 고..
construction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함께 쌓아 올린 것) 세계화와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이제는 한국에서도 영어로 된 안내판이 흔하게 보입니다. 그렇게 길을 가다 또 한국어와 영어로 된 안내판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딱 처음 이 단어를 봤을 때 '건축'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생각을 해보니, '공사'라는 의미로도 쓰일 수 있을 것 같아, 사고력 확장을 위해 이 단어의 유래를 찾아봤습니다.construction [컨스트뤀션]명사1. 건설(건축), 건축술(건설 활동 혹은 건설 기술)2. 공사, 건축 양식(사물이 건설 혹은 구성되는 방식)3. 건설물(건축물)(건설되거나 구성된 것)    (동의어 : structure)4. 건설업(건축업)(짓는 것과 관련된 업무 또는 산업)5. (문법) 구조, 구성    a. (2개 이상의 형태를 하나의 문법 단위로 배열하는 것)   ..
음식점 문 앞에 붙은 на себя와 от себя는 무슨 뜻일까?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에서 현지시간으로 2월 3일 늦은 저녁에 교수님과의 만남을 이 '카라반-사라이(Caravan-Saray)'에서 했는데요. 이곳 문에는 한국처럼 스티커가 붙어져 있었습니다. 이 표현이 어떤 표현인지 정리해봤습니다.1. 대명사 себя  주격-생격себя́여격себе́대격활동체себя́조격собо́й(собо́ю)전치격себе́주격은 존재하지 않는 대명사 себя [씨뱌]는 '어떤 수(단수, 복수)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으로 표현되는 특정한 인칭대명사에 해당하는 의미로 행동의 생산자에 대한 행동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명사입니다. 쉽게 말해 영어의 'self((그) 자신)'이란 뜻을 나타낸다고 보시면 됩니다.2. 문에 붙어 있는 на себя와 от себя2-1. на себя ..
일상 러시아어 - 환타 광고 1. 원문поддайся неотразимому вкусу. FANTA[뻗다이셔 니어트러지머무 프꾸쑤. 환타] 2. 단어2-1. поддайся : 굴복해, 빠져버려 단수복수1인칭 поддади́мсяподдади́мтесь2인칭подда́йсяподда́йтесь подда́йся [뻗다이셔]는 '굴복하다, 영향을 받다'란 뜻의 완료상 재귀 자동사 подда́ться [뻗다져]의 2인칭 단수 명령법입니다. 쉽게 말해, '굴복해, 빠져버려'란 뜻이죠. 참고로 이 동사는 '주격(Кто/что) + поддаваться + 여격(чему)'의 형태로 쓰여, '누가/무엇이 무엇에 굴복하다/영향을 받다'와 같이 해석합니다. 그래서 상단 원문을 보시면 'поддайся неотразимому вкусу'와 같이 ..
subject가 형용사로 쓰이면 무슨 뜻일까?(subject to) 영어 subject는 명사로도, 동사로도 쓰이는데요. 거기에 더해 '형용사'로도 쓰입니다!그럼 형용사 subject는 무슨 뜻일까요?형용사 subject1. 지배, 통제, 영향 아래에 있는 (자주 뒤에 to가 따라 붙음) 2. (주권자, 국가 또는 일부 통치 권력과 같이) 지배, 통치, 권위, 지배 아래에 있는 (자주 뒤에 to가 따라 붙음) 3. 열린, 노출된 (종종 뒤에 to가 따라 붙음) 4. 무언가에 의존적이거나 조건부적인 (종종 뒤에 to가 따라 붙음) 5. 무언가를 겪어야 할 필요성 아래에 있는 (종종 뒤에 to가 따라 붙음) 6. ~하기 쉬운, ~당하기 쉬운 (종종 뒤에 to가 따라 붙음) 이 형용사는 기본적으로 '무언가의 아래에 있는', '무언가의 아래에 있어 그 영향을 받는'이라는 뜻으로..
1일, 2일,...10일은 러시아어로 뭐라고 할까? 1. 1~10을 러시아어 서수사로 나타낸다면?1-1. первый : 첫 번째어근어미-перв-(이전->처음)-ый '첫 번째'를 러시아어로 пе́рвый [뼤르븨-]라고 합니다. 영어의 before, first 등과 어원이 같으며, 이 말은 근본적으로 '~보다 이전(before), 앞(front)'이란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1-2. второй : 두 번째어근어미-втор-(두-)-о́й '두 번째'를 러시아어로 второ́й [브떠로이]라고 합니다. 이 단어는 복원된 인도유럽조어로 '더(*-teros) 산산이 쪼개진(*wi-)'이란 의미에서 유래했습니다. 즉, 하나에서 쪼개진 형태란 의미에서 '(쪼개진) 2개'라는 어투에서 유래했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1-3. третий : 세 번째어근어근접미사..
레르몬토프는 진심으로 감사한걸까? - <감사(Благодарность)> 1. 시 소개 1840년, 26살의 미하일 레르몬토프(Михаил Лермонтов)는 '감사'라는 시를 썼습니다. 처음엔 대명사 'ты([띄] : 너)'를 처음엔 대문자를 쓴 Ты로 표현하였는데요. 이는 '신'을 가리키는 표현이었죠. 당연히 이런 표현은 당시에 검열을 우려한 미하일 레르몬토프는 소문자로 쓴 ты로 표현해 '애인에게 보내는 편지처럼 써 검열을 피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눈물의 쓴 맛, 입맞춤의 독'과 같은 표현을 보면서 단순히 애인한테 보내는 시라고 생각한다면, 사랑했던 애인과의 힘들었던 관계와 기억을 반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이 시를 '신'인 Ты로 해석한다면 흥미로워집니다. 그리고 진짜 제대로 읽어보면 전 모든 것에 대해 '신'께 감사합니다. (다양한 고통들에 대해서..
패티김의 살짜기 옵서예 1절을 러시아어로 번역해봤다 1. 원래 가사(1절) 당신 생각에 부풀은 이 가슴 살짜기 살짜기 살짜기 옵서예 달 밝은 밤에도 어두운 밤에도 살짜기 살짜기 살짜기 옵서예 바람이 불거나 눈비가 오거나 살짜기 살짜기 살짜기 옵서예 꿈에도 못 잊을 그리운 님이여 살짜기 살짜기 살짜기 옵서예 2. 표준어 및 비슷한 의미의 단어로 번역 당신 생각에 벅차오른 이 가슴 살금 살금 살금 오세요 달 밝은 밤에도 어두운 밤에도 살금 살금 살금 오세요 바람이 불거나 눈비가 오거나 살금 살금 살금 오세요 꿈에도 못 잊을 그리운 님이여 살금 살금 살금 오세요 3. 러시아어 번역 Это сердце, которое было переполнено, думая о тебе. Потихоньку потихоньку потихоньку приходите. Даже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