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그 외 언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어/그 외 언어

(32)
언어학 - 어휘론 1. 어휘론의 개념 어휘론(lexicology)은 특정 언어의 어휘목록(lexicon)을 분석하는 언어학의 한 분과를 말한다. 어휘(word)는 스스로 존재할 수 있는 언어의 가장 작은 의미 단위이며, 형태소(morpheme)로 불리는 작은 구성 요소와 그 보다 더 작은 음운(phoneme), 구별 가능한 소리들로 구성된다. 다시 정리하면 이런 어휘의 형성, 철자(spelling), 기원, 사용, 정의, 어휘들 간의 관를 포함한 모든 특징을 연구하는 학문이 바로 어휘론이다. 2. 어휘론의 핵심 학문, 어원학 어휘론(Lexicology)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학분 분야가 어원학(etymology)이다. 어휘론은 단어의 의미와 그 의미적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인데, 그러기 위해서 그 단어의 역사와 변천 과정을..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정리 1. 외래어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과 러시아어와의 비교1-1. 제1항 :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현재 한국어에서 한글로 표기하는 자모의 총 개수는 자음(기본자음+복합자음) 19개, 모음(기본자음+복합자음)+21개로, 총 40개다. 그러나 여기서 두 개 이상의 자음이나 모음이 서로 복합적으로 만나 구성된 복합자음을 뺀다면, 한국어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음 14개, 모음 10개로 총 24개 자모를 사용한다고도 볼 수 있다. 그 목록은 아래 정리했다.한글로 표기한 한국어 기본 자음(14개)한글로 표기한 한국어 기본 모음(10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ㅇ, ㅈ, ㅊ, ㅋ, ㅌ, ㅍ, ㅎ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그런데 러시아어를 살펴보자. 러시아어는..
음운론 - transcription과 transliteration 1. transcription=전사(轉寫) 우선 이 단어의 정의부터 알아보자. 1. 필사, 전사(글로 옮기는(transcribing) 활동 혹은 과정) 2. 필사물, 전사물(글로 옮겨진(transcribed) 것) 3. 베낀 것(transcript, copy) 4. (음악) a. 편곡(원래 쓰인 매체 이외의 매체에 대한 작곡(composition)의 편곡(arrangement)) b. 편곡 작곡(그렇게 편곡된(arranged) 작곡) 5. (라디오 및 TV) 녹화(특히 방송을 위한 녹화(recording)) 6. (유전학) 전사(DNA의 한 가닥에 대한 유전 정보가 상보적인(complementary) RNA 한 가닥을 합성하기 위해 쓰이는 과정) transcription은 근본적으로 '옮겨(trans-)..
음운론 - 음절 이번엔 음절에 대해서 배웠는데, 그래서 음절의 정의와 알아두면 좋은 간단한 관련 내용들을 찾아 정리해봤다. 1. 음절(音節, syllable, слог)과 음절어 한국어(한자) 영어 러시아어 音節 =소리의 마디 syllable =(하나의 소리를 내기 위해) 함께 모은 것 слог =(하나의 소리를 내기 위해) 함께 넣은 것 음절(音節, syllable, слог)은 초종성(초성+종성, 대부분자음)과 음절핵(=중성, 대부분 모음)으로 구성된 일련의 음(phone)의 구성 단위를 말한다. '음의 구성 단위'라는 특성 때문에 이 음절은 음운학적 구성 요소로 간주되며, 언어의 리듬(rhythm), 운율(prosody), 시적 운율(metre), 강세(stress) 패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리고 모든 말은..
음운론 - 변별적 자질 어제 배웠던 '변별자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정의'를 새롭게 찾아보고 정리했으며, 굳이 암기할 필요가 없다고 하셨던 변별자질의 목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봤다. 1.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при́знак, дп) 1-1. 간략한 정의 언어학에서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при́знак, дп)은 한 언어 내에서 하나의 소리를 다른 소리와 구별하는 음운론적 구조에서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말한다. 이 각각의 자질이라는 단위를 자질 체계로 정의하고 배열하는 방법은 학자들 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 간략하게 보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변별적 자질'에 대해 깊게 공..
음운론/형태론 - 최소 대립쌍과 상보적 분포 이번 시험에서 아쉽게 틀렸고, 다음 시험에 분명 개념 관련 문제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상보적 분포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교재를 볼 때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교재에 나와 있는 예시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최소 대립쌍과 상보적 분포 개념 자체를 정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1. 최소 대립쌍(minimal pairs, минима́льная па́ра) 음운론에서 최소 대립쌍(minimal pairs, минима́льная па́ра)은 음소(phoneme), 음조소(toneme)와 같은 음운론적 요소만 다르고, 뚜렷이 구별되는 의미를 가지는 말해지거나 기호화된 구나 단어의 쌍을 말한다. 이 쌍은 두 음(phone)이 두 개의 별개의 음소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달 [ta̠..
언어학 - 형태론 1. 언어학에서의 형태론의 정의 언어학에서 형태론(morphology)은 단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같은 언어에서 다른 단어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영어 어원 자체도 모양(morpho)을 연구하는 학문(logy)이라는 뜻에서 이를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이 학문은 단어의 구조와 어간(word stem), 어근(root), 접두사, 접미사와 같은 단어의 부분을 분석한다. 또한 품사(品詞, part of speech), 억양(intonation), 강세(stress), 문맥이 단어의 발음과 뜻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며 연구한다. 참고로 이 형태론은 단어의 사용에 기초한 언어의 분류인 형태적 유형론(morphological typology)과 단어와 단어가 어떻게 언어의 어..
실과, 과실, 과일 그리고 열매의 차이 교수님이 칠판에 한자 하나를 적었다. 果 교수님 "이 글자는 무슨 글자인지 아는 사람?" 나 "과실 과"입니다. 교수님 "이 한자의 훈은 과실이 아니고 실과라고 합니다" 그래서 정리해봤다. '과실'과 '실과', 더 나아가 '열매'와의 차이가 무엇일까? 1. 果(실과 과) 果 훈 실과 강신제 시중들다 벗다 음 과 관 와 라 이 한자의 대표훈은 '실과'이며, 대표음은 [과]다. 이 한자를 예전에는 어떻게 불렀을까? 1575년 조선 광주(光州)에서 편찬된 에서 그 연유를 찾을 수 있다. 果 여름〮 과 - 중세 한국어에서 여름은 계절 여름(summer)을 뜻하며, 여름〮은 열매(fruit)를 뜻한다. 에선 果[과]라는 한자의 뜻이 '열매'라고 밝히고 있는 것이다. 자 그럼 오늘날의 훈은 '실과'는 뭘까? 실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