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형태론 - 최소 대립쌍과 상보적 분포
본문 바로가기

언어/그 외 언어

음운론/형태론 - 최소 대립쌍과 상보적 분포

728x90
이번 시험에서 아쉽게 틀렸고, 다음 시험에 분명 개념 관련 문제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상보적 분포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교재를 볼 때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교재에 나와 있는 예시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최소 대립쌍과 상보적 분포 개념 자체를 정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1. 최소 대립쌍(minimal pairs, минима́льная па́ра)

음운론에서 최소 대립쌍(minimal pairs, минима́льная па́ра)음소(phoneme), 음조소(toneme)와 같은 음운론적 요소만 다르고, 뚜렷이 구별되는 의미를 가지는 말해지거나 기호화된 구나 단어의 쌍을 말한다. 이 쌍은 두 음(phone)이 두 개의 별개의 음소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달 [ta̠ɭ] 딸 [a̠ɭ] 탈 [a̠ɭ]
ㄷ과 ㄸ, ㄷ과 ㅌ, ㄸ과 ㅌ는 각각 최소 대립쌍

'달', '딸', '탈'은 모음 앞의 첫 번째 자음의 차이로 인해 그 의미가 구별되며, 그렇기에 자음 ㄷ과 ㄸ, ㄷ과 ㅌ, ㄸ과 ㅌ는 각각 최소 대립쌍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엔 영어의 예시를 살펴보자.

fin [fɪn] pin [pɪn]
f와 p는 최소 대립쌍

위 두 단어도 마찬가지다. 최초 자음의 차이로 그 의미가 구별되며, 그래서 f와 p는 최소 대립쌍이다.

том [tom] дом [dom]
т, д는 유무성음에 따른 최소 대립쌍

러시아어에서도 이렇게 위 두 단어는 무성음 т와 유성음 д의 차이에 의해 그 의미가 구별되며 그래서 무성음 т와 유성음 д는 각각 유무성의 차이에 의한 최소 대립쌍이 된다. 러시아어의 예를 좀 더 살펴보자.

быт [t] быть []
т와 ть는 경연자음에 따른 최소 대립쌍

быт와 быть는 맨 마지막 자음인 т와 ть가 최소 대립쌍을 이루는데, 이는 경자음 т와 연자음 ть의 차이에 의해 그 의미가 구별되며 그래서 경자음 т와 연자음 ть는 각각 경연자음의 차이에 의한 최소대립쌍이 된다. 참고로 이 경연자음에 따른 최소 대립쌍 중 독립적인 대응 음소가 없어 최소 대립쌍이 될 수 없는 자음들은 아래와 같다.

경연대립상 최소대립쌍이 없는 러시아어 자음
연구개음
(대표음만 항상 경자음이며, 자음체계표상 보이지 않는 변이음이 존재)
г [ɡ], к [k], х [x]
후치경음(뒷임몸소리)
(항상 경자음!)
ш [ʂ], ж [ʐ], р [r]
경구개음(센입천장소리)
(항상 연자음!)
ч [tɕ], щ/сч [ɕ], зж [ʑ], щ, й [j]
치경음
(대표음만 항상 경자음이며, 자음체계표상 보이지 않는 변이음이 존재하는 유일한 것)
ц[ts]

한편, 최소 대립쌍을 구분할 때 자음만 판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лес[lʲes] лис [lʲis]
е와 и는 동사에 따른 최소 대립쌍

위 예시처럼 е와 и는 모음으로 그 발음이 다르고, 그에 따라 각 단어의 의미를 구별해 주므로 모음 е와 и 또한 최소 대립쌍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할 수 있는 자음과 모음 즉, 분절음 단위에서는 이렇게 쉽게 최소 대립쌍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분절음이 아니더라도 최소 대립쌍은 성립한다.

окна́ [ɐkˈna] о́кна [ˈoknə]
окна́의 о와 а́, о́кна의 о́와 а는 각각 강세에 따른 최소 대립쌍

위의 예시처럼 강약 악센트(강세 등), 고저 악센트(성조 등), 음의 길이, 억양 등 분절음(자모음)의 수준을 넘어서 더 작게 말의 의미를 구별하는 초분절 자질((구) 초분절 음소) 또한 음성으로 취급하고, 그에 따라 의미를 구별할 수 있기에 최소 대립쌍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최소 대립쌍은 서로 다른 소리로부터 음소와 음운을 발견하는 작업으로, 학술적으로 그 음소의 기능을 판별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2.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 дополни́тельная дистрибу́ция)

[참고]

대조적 분포(contrastive distribution, контра́стная дистрибу́ция) : 언어학에서 두 음소가 같은 음성 환경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
자유 변이(free variation, свобо́дное варьи́рование) : 특정 단어의 발음이나 형태의 차이가 의미 차이로 이어지지 않는 현상

우선 상보(相補)라는 말을 알아보자. 상보는 '서로(相) 모자란 부분을 보충(補充)함'이라는 의미로, 영어의 '상호보완적인'이라는 뜻의 형용사 complementary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인다. 이 형용사의 기원이 되는 동사 complement 또한 '보완하다, 덧붙이다'라는 의미로 '모자란 부분을 더함'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 дополни́тельная дистрибу́ция)한 요소가 하나의 환경 집합에서 발견되고 다른 요소는 그와 교차하지 않는(보완적인) 환경 집합에서 발견되는 같은 종류의 두 개의 다른 요소 사이의 관계를 말한다.

이는 종종 표면상으로 다른 두 요소가 같은 더 깊은 수준에서 동일한 언어 단위임을 나타낸다.

 

2-1. 음운론상 상보적 분포

음운론에서의 상보적 분포한 음이 같은 다른 음과 같은 음성적 맥락에서 절대 나타나지 않는 각각의 음성적 환경에서의 음(phone)의 분포를 말한다. 상보적 분포 상 두 가지 변형이 있는 경우, 이음(allophone)이 발생하는 환경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이음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지 쉽게 찾을 수 있다.

pin [ɪn] spin [spɪn]
- 음소 /p/는 이 단어에서 [pʰ]로 발음됨
- [pʰ]는 항상 음절이 시작되고 그 뒤에 강세가 있는 모음이 올 때 발생
- 음소 /p/는 이 단어에서 [p]로 발음됨
- [p]는 [pʰ] 발생 조건 외의 모든 경우에서 발생
음소 /p/의 이음은 [pʰ], [p]이며, 이 두 음들은 상보적 분포 관계임

이렇게 보면 라틴 문자 표기로는 분명 p라고 적었지만, 실제 발음 상 p가 음절 맨 앞에 옴과 동시에 그 뒤에 강세가 있는 모음이 온 경우에만 [pʰ]이라고 발음한다. 그 외 모든 위치에서 p는 [p]로 발음한다. 그리고 절대 이 발음 [p]는 '음절 맨 앞+뒤에 강세 있는 모음'이라는 조건에선 절대 발생할 수 없다! 이것이 음운론상 상보적 분포를 말한다.

지지 [t͡ɕid͡ʑi]
앞의 ㅈ는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러시아어 기준 ч)이며, 뒤의 ㅈ는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러시아어 기준 чь)
ㅈ는 어두에 오면 [t͡ɕ]로 발음하고, 어중이나 종성+모음앞에선 [d͡ʑ]로 발음
=> 음소 /t͡ɕ/의 이음은 [t͡ɕ], [d͡ʑ] 등이 있으며, 특히 그 중 이 두 음들은 상보적 분포 관계임

이렇게 보면 한글 문자 표기로는 분명 'ㅈ'이라고 적었지만, 실제 발음 상 'ㅈ'가 음절 맨 앞에 온 경우에는 무조건 [t͡ɕ]라고 발음한다. 그리고 그 위치에는 'ㅈ'의 이음 [d͡ʑ] 등은 절대 올 수 없다. 이 또한 한국어 차원에서 봤을 때 음운론상 상보적 분포의 예시라고 말할 수 있다.

вить [vʲitʲ] выть [vɨtʲ]
연자음 в[vʲ] 뒤에 온 и는 [i] 발음
=> /i/의 변이음 [i] 발견
경자음 в[v] 뒤에 온 ы는 [ɨ] 발음
=> /i/의 변이음 [ɨ] 발견

위 예시처럼 /i/의 변이음 [ɨ]과 [i]는 그 출현 위치가 달라진다. [ɨ]는 경자음 뒤, [i]는 연자음 뒤 혹은 어두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이 두 변이음은 서로의 위치를 침범할 수 없다! 러시아어에서의 상보적 분포는 이렇게 나타난다.

дя́дя [ˈdʲædʲə] да́та [ˈdatə]
연자음 д[dʲ] 뒤와 연자음 д[dʲ]사이의 я는 [æ] 발음
=> /a/의 변이음 [æ] 발견
경자음 д[d] 뒤에 온 а는 [a] 발음
=> /a/의 변이음 [a] 발견

그 외에도 /a/, /o/, /u/는 연자음과 연자음 사이에서 변이음 [æ], [ɵ], [ʉ]가 일어나고, 그 외에는 변이음 [a], [o], [u] 등을 가지며, 앞서 말한 변이음 [æ], [ɵ], [ʉ]는 오지 못한다. 지금까지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음운론상 변이음(or 이음)들은 각각 최소 대립쌍인 경우가 많으며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다!

 

2-2. 형태론상 상보적 분포

상보적 분포라는 개념은 음운론에서 뿐 아니라 형태론적 분석에도 적용된다.

두 개의 다른 어형(이형태(allomorph))는 실제로 하나와 그와 같은 단어(형태소(morpheme))의 다른 면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영어를 예로 들자면 부정관사 a, an이 형태론상 상보적 분포라고 볼 수 있다.

a pig an ant
*a ant *an pig
1. a가 쓰이지 않을 경우, an이 쓰임
2. an이 쓰이지 않을 경우, a가 쓰임
3. 두 환경 모두 모든 단어의 규칙적 잠재적 환경을 포괄함

따라서, 영어 관사 a와 an은 서로 형태론상 상보적 분포성을 띔
(참고-문법론상 비문(ungrammatical)은 '*'로 표시)

영어에서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 부정관사를 붙이는 경우, 부정관사 a를 그 앞에 더하며,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에 부정관사를 붙이는 경우, 부정관사 an을 더한다. 그러나 서로 그 자리를 침범하진 못하기에 부정관사 a와 an은 형태론상 상보적 분포를 띈다고 본다. 또한 이 두 단어는 두 개의 다른 단어라기 보단 한 의미에서의 두 개의 다른 형태가 존재한다고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개념을 이형태(allomorph)라고 한다.

대격 조사 '을/를' 또한 형태론상 상보적 분포를 띈 이형태임!

이는 한국어에서도 적용된다. 대격조사 '을/를'이 바로 형태론상 상보적 분포를 띈 이형태다. 같은 의미를 가지지만 자음 뒤에선 '을', 모음 뒤에선 '를'로 표시하는 식이다. 한국어에서는 이렇게 주로 조사에서 이런 이형태가 많이 나타난다.

возраста́ть
взро́слый воспита́ть
вспоте́ть
1) 유성음 앞에서 1) 유성음 앞에서
2) 약화되어
1) 무성음 앞에서 1) 무성음 앞에서
2) 약화되어

'위로, 다시'라는 의미를 가지는 러시아어 접두사 воз-[보스-]는 그 뒤에 오는 자음이 유성음이나 무성음이냐, 그리고 접두사 자체가 약화되었냐 아니냐에 따라서 4가지의 상보적 분포를 띈 이형태를 가진다. 이렇게 형태론상 상보적 분포를 가진 이형태 또한 각자의 위치를 지키며 다른 형태의 자리를 뺏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다.

반응형

'언어 > 그 외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운론 - 음절  (0) 2023.04.27
음운론 - 변별적 자질  (0) 2023.04.25
언어학 - 형태론  (0) 2023.02.02
실과, 과실, 과일 그리고 열매의 차이  (0) 2022.11.08
'슈룹'은 무슨 뜻일까?  (0) 2022.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