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ranscription=전사(轉寫)
우선 이 단어의 정의부터 알아보자.
1. 필사, 전사(글로 옮기는(transcribing) 활동 혹은 과정) 2. 필사물, 전사물(글로 옮겨진(transcribed) 것) 3. 베낀 것(transcript, copy) 4. (음악) a. 편곡(원래 쓰인 매체 이외의 매체에 대한 작곡(composition)의 편곡(arrangement)) b. 편곡 작곡(그렇게 편곡된(arranged) 작곡) 5. (라디오 및 TV) 녹화(특히 방송을 위한 녹화(recording)) 6. (유전학) 전사(DNA의 한 가닥에 대한 유전 정보가 상보적인(complementary) RNA 한 가닥을 합성하기 위해 쓰이는 과정) |
transcription은 근본적으로 '옮겨(trans-) 쓰다(scribe)'라는 뜻의 transcribe에서 유래했는데, 그 뜻에서 알 수 있듯이, 원본에서 다른 본으로 옮겨서 적거나, 인쇄하거나, 찍는 행위를 말한다. 이를 언어학적 관점으로 보면 음성(원본)을 음성 기호(문자인 사본)로 옮겨 표현한 것을 말한다. 그래서 언어학적으로는 이를 '발음기호로 옮기기, 음성표기, (음성) 전사' 등이라 칭한다.
[transcription] - 구어적 표현을 서면 형태로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것. 원본은 발화(음성, 수화) 혹은 다른 문자 체계의 텍스트 ((대부분) 말소리->문자) [translation과 transliteration은 뭘까?] - translation : 번역 기점 언어의 텍스트 의미를 번억 목표 언어로 표현하는 '행위 자체' (언어->언어) ex) 번역 기점 언어인 에스파냐어 Los Angeles는 번역 목표 언어인 영어로 'the angel'을 의미함 - transliteration : 하나의 스크립트에서 다른 스크립트로 비슷한 텍스트의 철자(spelling)를 나타내는 것 (문자->문자) ex) 웃옷->udot/usos |
이러한 전사(transcription)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는 음성 전사(phonetic transcription)로, 이는 구어체의 음성적, 음운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기에 음성 전사 체계는 개별 소리나 음을 문자 기호로 바꾸기 위한 규칙을 갖춘다. 이에 대표되는 것이 IPA다.
두 번째는 철자 전사(orthographic transcription)로, 특정 언어의 맞춤법(철자법, 정자법)으로 규정된 대로 구어체를 문어적 양식으로 바꾼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Пу́шкин[푸시킨]을 영어론 Pushkin, 프랑스어로는 Pouchkine이라고 쓰는 것이다.
2. transliteration=전자(轉字)
우선 이 단어의 정의부터 알아보자.
1. 전자(다른 알파벳이나 문자체계의 대응하는 문자를 사용하여 문자 또는 단어를 쓰는 행위, 과정 또는 그 결과) |
transliteration은 근본적으로 '옮기는(trans-) 문자표기(문자화, literation)'으로, 그 뜻에서 알 수 있듯이, 원본이 되는 문자 체계에서 그와 유사한 다른 문자체계로 옮겨서(trans-) 표현하는 행위를 말한다. 전사(transcription)와의 차이점이라 하면 transcription는 말소리 자체를 문자로 표현하는 것이고, 전자(transliteration)는 문자를 다른 문자로 옮겨 적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 대표되는 것이 '특정 언어의 로마자 표기'라 할 수 있다.
세계 인권 선언 제1조 러시아어판을 기준으로 몇가지 예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러시아어판) |
Все люди рождаются свободными и равными в своём достоинстве и правах. Они наделены разумом и совестью и должны поступать в отношении друг друга в духе братства. |
위 문건을 영어로 번역(translation)하면 이렇게 된다.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러시아어판)의 영문 번역(translation) |
All human beings are born free and equal in dignity and rights. They are endowed with reason and conscience and should act towards one another in a spirit of brotherhood. |
위 문건을 영어로 ISO 9 기반 전자를 한다면 이렇게 된다.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러시아어판)의 ISO 9 기반 영문 전자 |
Vse lûdi roždaûtsâ svobodnymi i ravnymi v svoëm dostoinstve i pravah. Oni nadeleny razumom i sovest'û i dolžny postupat' v otnošenii drug druga v duhe bratstva. |
위 문건을 영어로 철자 전사(orthographic transcription)하면 이렇게 된다.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러시아어판)의 영문 철자 전사(orthographic transcription) |
Vse lyudi rozhdayutsya svobodnymi i ravnymi v svoyom dostoinstve i pravakh. Oni nadeleny razumom i sovestyu i dolzhny postupat v otnoshenii drug druga v dukhe bratstva. |
마지막으로 이를 한국어로 전자하면 이렇게 된다.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러시아어판)의 한국어 전자 |
브세 류디 로즈흐다윧샤 스보보드니미 이 라브니미 브 스보욤 도스토인스트베 이 프라박흐. 오니 나델레니 라주몸 이 소베스티유 이 돌즈흐니 포스투팓 브 옫노셰니이 드루그 드루가 브 둑헤 브랃스트바. |
아니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전사(transcription)와 크게 차이가 없는 듯 하다. 그래서 전자와 전사의 차이를 간단히 정리했다.
전사(transcription) | 전자(transliteration) |
소리에서 스크립트로의 옮기기 | 원본 스크립트와 최대한 직접 일치하도록 스크립트로 문자를 1대1로 옮기기 |
표준 전사 체계=IPA, SAMPA 등 | 로마자 표기법 등 |
언어학에서 소리에서 문자로 옮기는 것을 전사(transcription), 문자에서 문자로 거의 1대1 대응으로 옮기는 것을 전자(transliteration)라고 한다. 전사에는 IPA, SAMPA 등이 있으며, 전자에는 로마자 표기법 등이 존재한다.
이런 차이가 있음에도 실제 이 둘이 종종 혼동되는데, 실용적인 전사(transliteration)는 일상적으로 전사(transcription)+전자(transliteration)라고 여기기 떄문이다. 학술적으로는 차이가 있으나 일상적으로는 깊게 구분하지 못한다는 말.
그래도 구분하고 싶다면, 보통 전자(transliteration)는 다른 스크립트와 관련된 경우에만 발생하며, 그 반면 같은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다른 언어인 경우, 전사(transcription)더 자주 일어난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좋다.
예를 들어 불가리아의 도시 Търговище[터르고비슈테]는 러시아어로 Тыргови́ште[띄르가비쉬쪠]라고 전자(transliteration)되는데, 이때 불가리아어의 ъ는 러시아어의 ы로, 불가리아어의 щ는 러시아어의 шт로 각각 비슷한 발음으로 전사된다. 이는 같은 키릴 문자를 쓰는 언어라도 언어에 따라 그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같거나 유사한 알파벳으로 바꾸는 전자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일부 언어는 모든 외국어 이름에 대해 철자 전사(orthographic transcription)를 사용한다. 영어 George Walker Bush[조지 월커 부쉬]를 라트비아어로 Džordžs Volkers Bušs[조르취스 볼커스 부쉬]라고 하며, 아제르바이잔어로는 Corc Volker Buş[쵸르취 볼컬 부쉬]로 철자에 맞게 발음을 그대로 옮긴 철자 전사가 일어났다.
전사와 전자 정리 | ||
전사(transcription) | 전자(transliteration) | |
음성 전사(phonetic transcription) | 철자 전사(orthographic transcription) | |
소리에 맞게 발음을 문자로 옮기기 | 철자에 맞게 발음을 문자로 옮기기 | 원본 문자를 1대1 대응되는 문자로 옮기기 |
'언어 > 그 외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학 - 어휘론 (0) | 2023.05.12 |
---|---|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정리 (0) | 2023.05.06 |
음운론 - 음절 (0) | 2023.04.27 |
음운론 - 변별적 자질 (0) | 2023.04.25 |
음운론/형태론 - 최소 대립쌍과 상보적 분포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