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러시아어 대격 복수 어미에 대해서 배웠다. 그때 교수님께서 '한국어에서 이 대격이 목적격으로 쓰이지만, 실은 좀 다르다'라고 말씀하셨고, 대격과 목적격이 어떤 관계인지, 그러면 대격은 어떤 격으로 이해해야할 지 궁금해 정리해봤다. |
1. 대격이란?
대격(対格, accusative case)은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어의 목적어임을 표시하는 격을 말한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대격을 객격(客格), 목적격(目的格)으로도 부른다고도 하나 용어의 범위 차이가 있다. 이 대격은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 언어나 셈어파 언어에서 많이 보인다.
그런데 왜 이름이 'accusative'인걸까? 이 형용사는 '고발하다, 비난하다'라는 뜻의 동사 accuse에 '~의, ~에 관한'이라는 뜻의 형용사화 접미사 -ative가 붙은 형태에 상응한다. '고발하다'라는 말이 '대응하는 격(対格)'과 도대체 무슨 연관이 있는 걸까? 우선 유래를 살펴보자.
여기까지만 봐도 오리무중이다. '비난하다'라는 뜻의 accūsō[아꾸소]과 '대응하는 격'은 큰 관계가 없어보인다. 그런데 이 격의 명칭은 대부분 고대 그리스어의 문법 용어에서 유래했는데, 이를 알고 시선을 고대 그리스어로 살짝 돌려보면 힌트가 나온다.
라틴어로 '대격의'라는 뜻의 accūsātīvus는 '인과적인, 원인이 되는'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 αἰτῐᾱτῐκός[아이티아티코스]에서 유래했는데, 이 형용사는 '~의 원인이 되는, ~을 야기하는'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 αἰτῐᾱτός[아이티아토스]에서 유래했다. 즉, αἰτῐᾱτῐκή[아이티아티케]는 '야기하거나 영향을 받는 대상의 (격)'이라는 뜻이다.
그 형용사의 유래가 된 여성명사 αἰτῐ́ᾱ[아이티아]는 '원인, 동기'라는 뜻도 있지만, '기소, 비난'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기소, 비난'이라는 부분에만 집중해 'accusation(기소, 비난)'이라는 말뜻으로 번역해버려 이런 오류가 일어났다... 만약 원래 의미를 살려 제대로 번역했다면 αἰτῐᾱτῐκή[아이티아티케]를 causātīvus[카우사티부스]라고 번역했을 것이고 이는 지금 '원인이 되는, 사역의'라는 뜻으로 쓰이는 causative로 영역되었을 것이다.
1-1. 한국어와 일본어에서의 목적격
한국어에서는 '명사 + 격조사 '-을,-를''로 구성된 부분을 흔히 목적격이라고 부르는데, 이를 대격과 비슷하다고 여긴다.
한국어에서의 목적격(대격과 유사) |
꽃을 가꾸다. 그를 불렀다. 산길을 걸었다. 등산을 가다. 서울을 출발한 새마을호. 자정을 기준으로 시간을 정하다. |
일본어도 '~을/를'을 뜻하는 조사 'を'를 붙여 대격을 만든다. 그 이전에 고일본어를 사용하던 때에는 조사 'い'를 써 대격을 표현했다.
일본어에서의 목적격(대격과 유사) |
ご飯を作る. : 밥을 짓다. 英語を教える. : 영어를 가르치다. 家を出る. : 집을 나오다. 道路を走る : 도로를 달리다. |
이렇게 많은 언어에서 대격은 특정 전치사의 목적어로도 이용된다.
1-2. 영어에서의 대격
영어에서는 직접목적어라고 부르는 부분의 위치에 있는 격이 바로 이 대격이다.
참고로 영어에서의 간접목적어는 여격에 해당된다.
The man sees the cow.
위 문장에서 'the cow'라는 명사구는 동사 see의 직접목적어(direct object)다. 격체계가 거의 사라진 영어에서는 단어가 수행하는 문법적 역할에 관계없이 정관사와 명사로 이루어진 'the cow'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말은 The cow sees glasses 처럼 형태의 변화 없이 문장의 주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즉, 영어에서는 그 단어의 위치를 보고 그 명사구가 대격인지 주격인지 파악할 수 있다.
1-2. 러시아어에서의 대격(винительный падеж)
러시아어에서 대격은 행위의 직접목적어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동작의 목적지(destination)이나 목표(goal)를 나타내는 데도 사용된다.
남성명사에서는 대격을 활동체(animate)와 불활동체(inanimate)으로 구별한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다른 언어들과 좀 다르게 러시아어에서의 인도유럽조어(PIE)의 대격은 거의 약화되어 대부분의 격변화는 생격과 주격에 병합되었는데, 이는 남성명사 활동체 대격 어미는 생격 어미와, 남성명사 불활동체 대격 어미는 주격 어미와 같아졌다는 말이다.
오직 단수 제1격변화 명사(-а, -я, -ия 등으로 끝나는 여성명사)만이 유일한 대격 어미 '-у, '-ю', '-ию' 등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명사 | 단수 | 복수 | ||||
남성 | 중성 | 여성 | 남성 | 중성 | 여성 | |
주격 어미 | -#(-й), -ь | -о(-е) | -а(-я), -ь | -ы(-и) | -а(-я) | -ы(-и) |
생격 어미 | -а(-я) | -ы(-и) | -ов(-ев, -ёв), -ей | -ы(-и), -ей, 주격 어미를 제외 |
명사 | 단수 | 복수 | |||||
남성 | 중성 | 여성 | 남성 | 중성 | 여성 | ||
대격 어미 | 활동체 (=생격) | -а(-я) | - | -у(-ю), -ь | -ов(-ев, -ёв) | -ы(-и), -ей, 주격 어미를 제외 | |
불활동체 (=주격) | -#(-й), -ь | -о(-е) | -ы(-и) | -а(-я) | -ы(-и) |
이 대격은 전치사와 함께 사용되게도 하는데, 예를 들어, в나 на 뒤에 장소를 나타내는 대격이 오면 동작의 목적지나 목표를 나타낸다. 일단 в/на+ 대격= ~로 라고 외워두자!
В библиотеку : 도서관으로 в университет : 대학으로 в театр : 극장으로 в Японию : 일본으로 в Берлин : 베를린으로 | на почту : 우체국으로 на улицу : 거리로 на север : 북쪽으로 на работу : 일하러 [직역 : 일로] 참고) на полке : 선반으로/선반에 |
'언어 > 러시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Журналы стоят на нижней полке? (0) | 2022.10.18 |
---|---|
Когда поют солдаты 한역 (0) | 2022.10.13 |
러시아어로 공책을 뭐라고 할까? тетрадь (0) | 2022.09.28 |
암기할 운동동사 8개 정리 (0) | 2022.09.28 |
불완료상 동사를 만드는 동사 접미사 -ва- 에 대해서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