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정리 - 한자,한자어,한문의 차이 그리고 상형과 한자의 형성
본문 바로가기

언어/한문(일부 중국어, 일본어 포함 가능)

한문 정리 - 한자,한자어,한문의 차이 그리고 상형과 한자의 형성

728x90
한문 강의 시간에 배웠던 내용 중 헷갈리는 것들을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1. 한자, 한자어, 한문?

이 3개의 차이는 한문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내용이다. 얼핏보면 한자, 한자어, 한문은 비슷한 말이고, 통상적으로도 비슷한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럼 각각의 차이는 무엇일까?

한자(漢字, Chinese characters)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져 오늘날에도 쓰이고 있는 표의 문자
한자어(漢字語, Chinese character word)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한문(漢文, Classical Chinese) 한자만으로 쓴 , 중국 고전의 문장

쉽게 말해 한자는 문자이며, 한자어는 말 혹은 단어를, 한문은 글을 말한다.

창힐 상상도

전승에 따르면 한자는 오래전 황제(黄帝)가 다스리고 있을 때(중국측 주장에 따르면, 기원전 2700년~2000년), 창힐(倉頡)이 모래사장을 걸었던 새의 발자국을 보고 새의 종류를 알 수 있듯, 사람이 아는 것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 한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어떤 학자들은 <역경>에서 '성인(聖人)이 문자(字, 한자)를 만들었다'라는 문구에 적힌 '성인'이 '창힐'일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처음에 이 한자를 만들 때는 물체의 형상을 본뜰어 만들었기 때문에 한자는 상형문자(象形文字)의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다양한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가 추가되면서 표어문자, 표의문자의 특성을 더 가지게 되어 복잡한 문자가 되었다.

 

원래는 이러한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진 글자들을 단순히 자(字)라고 불렀는데, 이후 한나라가 들어서며 현대에 민족과 비슷한 한나라 사람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그래서 '한(漢)의 글자(字)'라는 의미를 더해 한자(漢字)라고 불리게 되었고, 이 말이 현재까지 이어져 '중국의 문자'가 된 것이다.

 

2. 조자법(造字法) 1 - 상형(象形)

상형(象形)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상형자(象形字)라고 한다.

날 일(日), 불 화(火), 달 월(月), 메 산(山), 물 수(水), 흙 토(土) 등은 상형자이다.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초 한자나 흔히 보이는 자연물들을 묘사한 한자들은 대부분 이 상형의 원리를 통해 만들어졌다.

 

3. 조자법(造字法) 2 - 지사(指事)

지사(指事) 사물의 추상적인 개념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사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지사자(指事字)라고 한다.

윗 상(上), 아래 하(下), 근본 본(本), 끝 말(末)

이렇게 지사는 순전히 기호로만 표현하거나, 기존의 상형자에 기호를 추가하는 식으로 만들어진다. 기존의 상형자에 기호를 추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종종 한자사전에는 일부 지사자를 상형자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4가지의 한자 제작 원리가 더 있지만 여기에서는 가장 기초적으로 한자가 만들어지는 조자법에 대해서 다루기로 했으니 여기까지만 적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