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한번 정리해봐야겠다고 생각한지가 어연 5~6년, 수능 공부를 하면서 재밌게 봤던 이 책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 교과서를 만들때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내용들도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연도, 기록 (인용도서 이름)' 순으로 기재함 * '-xxx년'은 '기원전 xxx년'이라는 표기임 * 연도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사건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난 사건인지 모를 경우, 연호의 ㄱㄴㄷ 순서대로 기록 혹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타사서를 참고함 |
선덕왕 원년(632), (신라 명랑법사가) 당에 들어갔다
정관 9년 을미(635), (신라 명랑법사가) 귀국했다.
총장 원년 무진(668), 당 장수 이적이 대병을 이끌고 신라와 합세하여 고구려를 멸망시켰는데 후에 남은 군사를 백제에 유진시키고 장차 신라를 공격하여 멸망시키려 했다. 신라인들이 그것을 알고 병사를 내어서 그것을 막으니 고종이 그것을 듣고 크게 노하여 설방에게 명하여 병사를 일으켜 장차 치고자 하였다. 문무왕은 그것을 듣고 두려워하여 법사에게 비법을 열어 그것을 물리쳐 달라고 청했다. 이로 인하여 (명랑법사는) 신인종의 개조가 되었다.
장흥 2년 신묘(931), (명랑법사는 고려) 태조를 따라 서울로 올라와서 임금의 행차를 따라다니며 분향하고 수도했다. 그 노고를 포상하여 두 사람 부모의 기일보로 논밭 몇 결을 지급했다. (돌백사 주첩주각)
반응형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8 -피은 (0) | 2021.02.14 |
---|---|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7 - 감통 (0) | 2021.02.14 |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5 - 의해 (0) | 2021.02.14 |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4 - 탑상 (0) | 2021.02.14 |
[연표] 삼국유사에 기록된 한국사 연표 3 - 흥법 (0) | 2021.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