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표현 정리 25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러시아어 표현 정리 25

728x90

1. 형용사 животный와 명사 животное

животный의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출처 : 구글)

живо́т/н/ый

(어근 : -
живот-)
(접미사 : -
н)
(어미 : -
ый)
단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
주격 живо́тный живо́тное живо́тная живо́тные
생격 живо́тного живо́тной живо́тных
여격 живо́тному живо́тной живо́тным
대격 활동체 живо́тного живо́тное живо́тную живо́тных
불활동체 живо́тный живо́тные
조격 живо́тным живо́тной живо́тными
전치격 живо́тном живо́тной живо́тных
단어미형 живо́тен живо́тно живо́тна живо́тны

'배(stomach), 생명'을 뜻하는 живот [쥐봍]에서 유래한 관계 형용사 живо́тный [지보트늬-]는 '생명을 가진'이란 뜻입니다.
이 형용사의 중성형과 그 복수형은 뒤에 수식하는 명사가 없는 경우 그 자체로 명사로 사용되는데요. 그 격변화는 아래를 참고바랍니다.

живо́тное의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출처 : 구글)

живо́т/н/ое

(어근 : -
 живот-)
(접미사 : - н)
(어미 : - ое)
단수 복수
중성
주격 живо́тное живо́тные
생격 живо́тного живо́тных
여격 живо́тному живо́тным
대격 활동체 живо́тное живо́тных
조격 живо́тным живо́тными
전치격 живо́тном живо́тных

이 형용사가 '활동체 중성 명사'로 쓰이는 경우 '살아 있는 것'이란 의미에서 '동물(animal)'이란 뜻으로 쓰입니다.
 

2. 동사 взять의 변화형

взять (완료상) 과거 현재 미래
분사 형동사 능동 взя́вший - -
수동 взя́тый - -
부동사 взя́в(ши) - -
직설법 단수 1인칭 взя́л
взяла́
- возьму́
2인칭 - возьмёшь
3인칭 взя́л
взяла́
взя́ло́
- возьмёт
복수 1인칭 взя́ли - возьмём
2인칭 - возьмёте
3인칭 - возьму́т
명령법 단수 2인칭 возьми́
복수 1인칭 возьмём
воз
ьмёмте
2인칭 возьми́те

'취하다(to take)'란 뜻의 완료상 타동사 взять [브쟈찌]는 과거 시제에서는 모두 규칙적이지만, 미래 시제로 넘어오면 출몰모음 -о-가 등장하며, 어간의 끝에 -м이 추가된다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 또한 오래전에 이 단어가 vъ-[부-]로 시작했는데, 과거 시제에선 약해져 v-[브-] 발음으로만 남았고, 현재 시제에서는 vо-[보-]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이는 후부 예르에 관한 내용으로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15)을 참고바랍니다. 그리고 현재 시제에만 어간에 -m이 나타나는 것도 그 오래전부터 써오던 습관이라 그런겁니다.
 

3. 동사 заняться의 격변화

заня́ться (완료상) 과거 현재 미래
분사 형동사 능동 заня́вшийся - -
수동 - - -
부동사 заня́вшись - -
직설법 단수 1인칭 занялся́
заняла́сь
- займу́сь
2인칭 - займёшься
3인칭 занялся́
заняла́сь
заняло́сь
- займётся
복수 1인칭 заняли́сь - займёмся
2인칭 - займётесь
3인칭 - займу́тся
명령법 단수 2인칭 займи́сь
복수 1인칭 займёмся
займёмтесь
2인칭 займи́тесь

'종사하다, 시작하다, 열중하다'란 뜻의 완료상 타동사 заня́ться [자냣쨔]는 과거 시제에서는 모두 규칙적이지만, 미래 시제로 넘어오면 어간의 -ня́- 부분이 사라지고, -й-로 바뀌어 뒤에 -м이 붙는 형태로 인칭에 따른 굴절을 보입니다. 당연히 거기서 유래한 명령법 또한 그렇죠. 이 또한 아주 오래전부터 써오던 습관이라 그런 것이라 보면 됩니다.
 
조금의 힌트를 찾자면, -ять로 끝나는 완료상 동사의 어간은 미래 시제에서 -ьм, -йм(-им) 등으로 교체된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 또한 지금은 쓰이지 않는 불완료상 동사 има́ть의 변형에서 유래한건데, 실생활에선 딱히 필요 없으니 패스하겠습니다~ 기회가 되면 정리해볼께요~
 

4. 동사 собрать의 변화형

собра́ть (완료상) 과거 현재 미래
분사 형동사 능동 собра́вший - -
수동 собра́в(ши) - -
부동사 со́бранный - -
직설법 단수 1인칭 собра́л
собрала́
- соберу́
2인칭 - соберёшь
3인칭 собра́л
собрала́
собра́ло 
- соберёт
복수 1인칭 собра́ли - соберём
2인칭 - соберёте
3인칭 - соберу́т
명령법 단수 2인칭 собери́
복수 1인칭 соберём
соберёмте
2인칭 собери́те

'함께(со-) 취하다(бра́ть)'라는 뜻에서 '모으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된 완료상 타동사 собра́ть [써브라찌]는 과거 시제에서는 규칙적인 형태를 보입니다. 다만 현재 시제로 넘어오면 어근 -собр-가 -собер-로 바뀌는데, 이 또한 원래 이 단어의 어간이 -собьр-였고, 여기서 -ь-가 현재 시제에선 강해지면서, -е-라는 출몰모음의 형태로 나타난 것입니다. 이 내용도 예르에 관한 글을 참고바랍니다.
 

5. 관용구 выйти замуж

выйти замуж의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출처 : 구글)

직역하면 '남편(муж) 뒤에로(за) 나가다(выйти)'란 뜻의 관용구 вы́йти за́муж [븨-찌 자무쉬]는 '어떤 남자와 결혼 상태로 들어가다' 그러니까, '시집가다'란 뜻입니다. 이 뒤에는 그 시집간 대상을 'за+대격(~뒤에로)'을 취해 표현합니다.

выйти замуж за русского : 러시아남에게 시집가다
выйти замуж корейского : 한국남에게 시집가다

 

6. 동사 искать의 변화형

иска́ть (불완료상) 과거 현재 미래
분사 형동사 능동 иска́вший и́щущий -
수동 и́сканный - -
부동사 иска́в(ши) ища́ -
직설법 단수 1인칭 иска́л
иска́ла́
ищу́ бу́ду иска́ть
2인칭 ищешь бу́дешь иска́ть
3인칭 иска́л
иска́ла́
иска́ло 
ищет бу́дет иска́ть
복수 1인칭 иска́ли ищем бу́дем иска́ть
2인칭 ищете бу́дете иска́ть
3인칭 ищу́т бу́дут иска́ть
명령법 단수 2인칭 ищи́
복수 2인칭 ищи́те

'찾다'라는 뜻의 불완료상 타동사 иска́ть [이스까찌]는 원형과 과거 시제에서는 규칙적인 형태를 보입니다. 다만 현재 시제로 넘어오면서 어근의 -ск- 부분이 -щ-로 바뀌는데, 이것도 옛 관습의 흔적입니다. 오래전에 이 동사의 원형과 과거 시제에서는 -sk- 발음이 났으나, 현재 시제에서는 -šč-로 발음이 바뀌며 그에 대응하는 -щ-가 등장한 것입니다.
 

7. 동사 лгать

불완료상 자동사 лгать
어근 어근 접미사(suffix) 동사 어미
-лг-
(to lie)
- а -ть

лгать의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출처 : google)

불완료상 자동사 лгать [르가찌]는 '거짓말하다(거짓을 말하다, 속이다, to lie)'라는 뜻입니다.
이 단어와 연관된 단어는 ложь(거짓말), лгун(남성 거짓말쟁이), лгу́нья(여성 거짓말쟁이), лжец(허풍쟁이), лживый(거짓의, 거짓말하는), ложный(거짓의, 비슷해보이는) 등이 있습니다.
 

8. 명사 преподаватель

учитель과 преподаватель의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사진상으로  учитель은 단순한 '선생님', преподаватель는 '강의자' 느낌이 든다. (출처 : google) 

преподава́тель
어근 어근 접미사(suffix)
-преподава-
(가르치-, to teach)
-тель
(-er : ~를 직업으로 가진 남성)

преподава́тель [쁘리뻐다바찔]은 '어떤 교과목이든 수업을 이끄는 교육기관의 직원'이란 뜻이며, '(중등 및 고등교육기관의) 교원, 교사'란 뜻으로 쓰입니다. 한편, 흔히 '선생님'으로 번역되는 учи́тель [우치쩰]은 기본적으로 '교육 기관에서 교과목을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입니다. 비슷하지만, учи́тель이 преподава́тель 보단 좀 더 큰 범위에 속한다고 보면 됩니다.
 
이 преподава́тель은 '(도움, 교훈 등을) 주다'라는 뜻의 преподава́ть-препода́ть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동사는 단순히 '주다'란 뜻의 동사 подава́ть-пода́ть에서 유래했구요. 그래서 преподава́тель은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보다 '교훈을 주는 사람'이란 뜻임을 알 수 있습니다.
 

9. 동사 ждать의 변화형

ждать (불완료상) 과거 현재 미래
분사 형동사 능동 жда́вший ждущий -
수동 - - -
부동사 жда́в(ши) - -
직설법 단수 1인칭 жда́л
ждала́
жду́ бу́ду ждать
2인칭 ждёшь бу́дешь ждать
3인칭 жда́л
ждала́
жда́ло
ждёт бу́дет ждать
복수 1인칭 жда́ли ждём бу́дем ждать
2인칭 ждёте бу́дете ждать
3인칭 жду́т бу́дут ждать
명령법 단수 2인칭 жди́
복수 2인칭 жди́те

'기다리다'란 뜻의 ждать [즈다찌]는 꽤 규칙적인 변화형을 보여줍니다. 과거 시제에선 접미사가 포함된 -жда-를 기준으로 뒤에 어미가 붙으며, 현재 시제에서는 어근 -жд-에 어미가 붙는 식입니다. 다만, 과거 시제만 기억했다가, 현재 시제의 변화형을 헷갈리지 않게 주의해주세요~
 

10. 소유격 접미사 -ин

명사의 어근에 접미사 -ин(혹은 -и́н)을 붙여 '소유 형용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명사 접미사 -ин(-и́н) 소유형용사
Ва́ся
(바샤)
-ин
(~의)
Ва́син
(바샤의/바신(성씨))
дя́дя
(삼촌)
-ин
(~의)
‎дя́дин
(삼촌의)
жена́
(부인)
-ин
(~의)
же́нин
(부인의)
Же́ня
(제냐)
-ин
(~의)
Же́нин
(제냐의/제닌(성씨))
Илья́
(일리야)
-и́н
(~의)
Ильи́н
(일리야의/일린(성씨))
Ка́тя
(카챠)
-ин
(~의)
Ка́тин
(카챠의/카틴(성씨))
Ко́ля
(콜랴)
-ин
(~의)
Ко́лин
(콜랴의/콜린(성씨))
Ли́за
(리자)
-ин
(~의)
Ли́зин
(리자의/리진(성씨))
Ли́ля
(릴랴)
-ин
(~의)
Ли́лин
(릴랴의/릴린(성씨))
Лу́ка
(루카)
-ин
(~의)
Лу́кин
(루카의/루킨(성씨))
Ми́ша
(미샤)
-ин
(~의)
Ми́шин
(미샤의/미신(성씨))
На́дя
(나댜)
-ин
(~의)
На́дин
(나댜의/나딘(성씨))
Ники́та
(니키타)
-ин
(~의)
Ники́тин
(니키타의/니키틴(성씨))
Пу́шка
(푸시카)
-ин
(~의)
Пу́шкин
(푸시카의/
푸시킨(성씨))
Са́ша
(사샤)
-ин
(~의)
Са́шин
(사샤의/사신(성씨))
сестра́
(누이)
-ин
(~의)
се́стрин
(누이의)
Со́ня
(소냐)
-ин
(~의)
Со́нин
(소냐의/소닌(성씨))
Шу́ра
(슈라)
-ин
(~의)
Шу́рин
(슈라의/슈린(성씨))

위처럼 말이죠. 그런데 보통명사의 어근에 접미사 -ин(혹은 -и́н)이 붙으면 단순한 소유를 나타내지만, 이름에 접미사 -ин(혹은 -и́н)이 붙으면, 그 사람의 소유가 되면서, 그 형용사 자체를 성씨로 쓰면 새로운 성씨가 됩니다. 대표적으로 시인 푸시킨이 그 예이죠.
 
푸시킨 가문의 시조격인 그리고리 알렉산드로비치 푸시카(Григо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ушка, ?~1380)'의 당시 성씨는 '대포'에서 유래한 푸시카(Пушка)였는데, '푸시카의 후손'이란 어투로 '푸시킨(Пу́шкин)'이란 형용사가 성씨가 된 것처럼 말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형용사는 격변화를 하는데요. 그 격변화는 조금 독특한 형용사처럼 변합니다. 격변화 표는 해당 접미사의 격변화를 참고해 정리해봤습니다.

  단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
주격 -ин/-и́н -ино/-и́но -ина/-и́на -ины/-и́ны
생격 -иного/-и́ного -иной/-и́ной -иных/-и́ных
여격 -иному/-и́ному -иной/-и́ной -иным/-и́ным
대격 활동체 -иного/-и́ного -ино/-и́но -ину/-и́ну -иных/-и́ных
불활동체 -ин/-и́н -ины/-и́ны
조격 -иным/-и́ным -иной/-и́ной -иными/-и́ными
전치격 -ином/-и́ном -иной/-и́ной -иных/-и́ны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