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표현 정리 17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러시아어 표현 정리 17

728x90

1. на ры́нке

на ры́нке [나 릔꼐]는 '시장에서'라는 뜻이다.

 

단수 전치격 ры́нке [릔꼐]는 '시장(marketplace, market)'이란 뜻의 불활동체 남성명사 ры́нок [릐낰]에서 유래했다.

어근
-рынок-

이 단어에서 -о- 또한 출몰모음으로, 단수 주격, 단수 대격, 단수 조격을 제외하고는 이 -о-가 사라진다.

이 말만 보고 복수 생격에 -о-가 있지 않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복수 생격은 그 어미 자체가 -ов이기에 출몰모음 설명과는 무관하다.

 

'시장'을 뜻하는 러시아어 ры́нок은 같은 뜻의 폴란드어 rynek [릐넼]에서 유래했고, 이는 고대 고지 독일어(OHG, Old High German)로 '반지(ring, 원 모양으로 둘러진 것)'라는 뜻의 ring에서 유래했다.

[참고] магази́н과 база́р의 유래
магази́н의 유래 база́р의 유래
(러시아어) магази́н : 가게(shop, store)
<- (중 프랑스어) magasin : 창고(warehouse), 가게
<- (이탈리아어) magazzino : 창고, 재고
<- (아랍어) مَخْزَن [맠잔] : 저장고, 창고, 가게
<- (아랍어) خزن [카자나] : 저장하다(to store, to stock)
(러시아어) база́р : 시장(market, bazaar)
<- (페르시아어) بازار [바자르] : 시장(market, bazzar)
<- (중 페르시아어) wʾčʾl [와자르] : 시장(파는 곳, market, bazzar)

база́р기본적으로 '파는 곳'이란 행위에 중점을 둔 의미의 '시장'이며, ры́нок기본적으로 '둥근 지역'으로서 지역에 중점을 둔 의미의 '시장'을 말한다. 한편, магази́н은 '저장고->저장 겸 판매장->시장'으로 뜻이 확대된 것에서 유추할 수 있는데, 단순히 '물건을 저장하고 파는 곳'이라는 의미의 시장 구성원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2. 시간을 말하는 방법

2-1. 시(час)를 말하는 방법

1 час 단수 주격
2~4 часа́ 단수 생격
5~20, 0 часо́в 복수 생격

주격/대격 상의 숫자 중 2, 3, 4 뒤에 생격 단수가 붙는데, 이 때 강세는 원래 단수 생격이었던 ча́са에서 часа́로 옮겨간다는 특징이 있으니 꼭 기억해두자. (예시, два часа́(2시), два́дцать три часа́(23시), со́рок четы́ре часа́(44시))

 

2-2. 분(мину́та)를 말하는 방법

1 мину́та 단수 주격
2~4 мину́ты 단수 생격
5~20, 0 мину́т 복수 생격

다행히 분(minute) 단위에선 강세가 변하지 않는다!

 

2-3. когда́ 혹은 во ско́лько란 의문문 뒤의 시간 숫자는 4격(대격)으로 표현

'언제?'라는 뜻의 когда́? [까그다?] 혹은 '몇시에?'라는 뜻의 во ско́лько? [바 스꼴까?]로 물어본 의문문에서 시간을 대답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이렇게 답하면 된다.

Я иду́ уро́к в 2 часа́.
[야 이두 우롴 브 드바 치싸.]
난 2시에 수업을 갈 것이다.

 

3. заня́тие와 заня́тия

어근 접미사(suffix) 어미
-заня-
(차지하-)
-тиj

불활동체 중성명사 заня́тие [자냐찌예]'차지'라는 기본적인 뜻과 거기서 파생된 '취업, 고용, 직업, 일, 작업, 수업 공부, 훈련, 심심풀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단수 복수
주격 заня́тие заня́тия
생격 заня́тия заня́тий
여격 заня́тию заня́тиям
대격 (주격) (주격)
조격 заня́тием заня́тиями
전치 заня́тии заня́тиях

이 때 복수로만 쓰이는 경우, '(주로) 대학교에서의 수업(урок, lesson)'을 뜻한다. 이를 꼭 기억하면 좋겠다.

 

4. Как ча́сто? 로 물어본 경우 4격(대격)으로 답한다.

예를 들어 '매주 수요일(매주 수요일 마다)'라고 말하고 싶으면, ка́ждая среда́ [까즤다야 스리다]가 아닌 'ка́ждую среду́ [까즤두유 스리두] 라고 말하면 된다.

 

5. 몇몇 과일(фру́кт) 명칭의 유래

5-1. пе́рсик

어근
-персик-

пе́рсик의 구글 검색 결과 (출처 : 구글)

불활동체 남성명사 пе́рсик [뻬르싴]는 '복숭아'란 뜻이다. пе́рсик는 라틴어로 '복숭아'란 뜻의 persica [페르시카]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페르시아'를 뜻하는 라틴어 Persa [페르사]에서 유래했다. 실제로 로마에 이 과일은 페르시아를 통해 들여왔기에 로마 사람들이 '이 과일은 페르시아에서 왔다'라고 생각해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5-2. сли́ва

어근 어미
-слив-

сли́ва의 구글 검색 결과 (출처 : 구글)

불활동체 여성명사 сли́ва [슬리바]는 '자두(plum)'라는 뜻이다. 이 단어는 원래 인도유럽조어(PIE) 시절 '푸르스름한'이란 의미로 쓰였고, 그렇게 '푸르스름한 과일'이란 뜻으로 지금까지 이어졌다.

 

5-3. грейпфру́т

грейпфру́т의 구글 검색 결과 (출처 : 구글)

어근
-грейпфрут-

불활동체 남성명사 грейпфру́т [그레잎프루트]는 '자몽(grapefruit)'이란 뜻이다. 이 단어는 영어로 같은 뜻의 grapefruit에서 유래했고, 이 단어는 포도(grape)와 과일(fruit)이 합쳐진 것에서 유래했다. 자몽이 열려 있는 모습이 마치 포도송이 같다고 여겨 '포도같은 과일'이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6. ско́лько, мно́го, ма́ло + 복수 생격

러시아어에서 ско́лько(얼마), мно́го(많은), ма́ло(적은)은 '복수'로 여겨지며, 복수로 여겨지는 수는 뒤에 무조건 '복수 생격'이 따라 붙는다. 이 설명을 듣고 2나 3, 4도 복수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들은 원래 '쌍수' 집합에 속하는 숫자로 여겨졌고, 그래서 옛 쌍수 주격이 지금의 단수 생격과 모습이 비슷해 그쪽으로 합쳐져 2~4는 단수 생격을 사용한다.

ско́лько(얼마)
мно́го(많은) 
ма́ло(적은)
+ 복수 생격

예문 몇 가지를 살펴 보자.

В магази́не мно́го анана́сов. 가게에 많은 파인애플이 있다.
В магази́не ма́ло баклажа́нов. 가게에 가지가 거의 없다.

 

7. отлича́ться

접두사 어근 접미사(suffix) 어미 접미사(postfix)
от-
(밖으로(away from))
-лич-
(얼굴, 이미지)
(구분하-)
-ть -ся

отлича́ться [아뜰리찻쨔]는 '~와 차이가 나다, ~(의 점에서) 다르다(특색있다)'라는 뜻이다.

отлича́ться от кого/чего 누구/무엇과 차이가 나다
отличаться чем  무엇(의 점/부분)에서 다르다

 

8. 상점에서 물건이 다 팔린 상황에서 점원이 하는 말

Уже́ всё продава́ли
[우졔 프쇼 쁘라다발리]
이미 모두 팔렸습니다.

 

9. 점원이 더 살거냐는 질문에 다 샀다고 하고 싶을 때

Нет, э́то всё.
[녯, 에떠 프쇼]
아니요, (살 건) 이게 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