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на ры́нке
на ры́нке [나 릔꼐]는 '시장에서'라는 뜻이다.
단수 전치격 ры́нке [릔꼐]는 '시장(marketplace, market)'이란 뜻의 불활동체 남성명사 ры́нок [릐낰]에서 유래했다.
어근 |
-рынок- |
이 단어에서 -о- 또한 출몰모음으로, 단수 주격, 단수 대격, 단수 조격을 제외하고는 이 -о-가 사라진다.
이 말만 보고 복수 생격에 -о-가 있지 않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복수 생격은 그 어미 자체가 -ов이기에 출몰모음 설명과는 무관하다.
'시장'을 뜻하는 러시아어 ры́нок은 같은 뜻의 폴란드어 rynek [릐넼]에서 유래했고, 이는 고대 고지 독일어(OHG, Old High German)로 '반지(ring, 원 모양으로 둘러진 것)'라는 뜻의 ring에서 유래했다.
[참고] магази́н과 база́р의 유래 | |
магази́н의 유래 | база́р의 유래 |
(러시아어) магази́н : 가게(shop, store) <- (중 프랑스어) magasin : 창고(warehouse), 가게 <- (이탈리아어) magazzino : 창고, 재고 <- (아랍어) مَخْزَن [맠잔] : 저장고, 창고, 가게 <- (아랍어) خزن [카자나] : 저장하다(to store, to stock) |
(러시아어) база́р : 시장(market, bazaar) <- (페르시아어) بازار [바자르] : 시장(market, bazzar) <- (중 페르시아어) wʾčʾl [와자르] : 시장(파는 곳, market, bazzar) |
база́р는 기본적으로 '파는 곳'이란 행위에 중점을 둔 의미의 '시장'이며, ры́нок은 기본적으로 '둥근 지역'으로서 지역에 중점을 둔 의미의 '시장'을 말한다. 한편, магази́н은 '저장고->저장 겸 판매장->시장'으로 뜻이 확대된 것에서 유추할 수 있는데, 단순히 '물건을 저장하고 파는 곳'이라는 의미의 시장 구성원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2. 시간을 말하는 방법
2-1. 시(час)를 말하는 방법
1 | час | 단수 주격 |
2~4 | часа́ | 단수 생격 |
5~20, 0 | часо́в | 복수 생격 |
주격/대격 상의 숫자 중 2, 3, 4 뒤에 생격 단수가 붙는데, 이 때 강세는 원래 단수 생격이었던 ча́са에서 часа́로 옮겨간다는 특징이 있으니 꼭 기억해두자. (예시, два часа́(2시), два́дцать три часа́(23시), со́рок четы́ре часа́(44시))
2-2. 분(мину́та)를 말하는 방법
1 | мину́та | 단수 주격 |
2~4 | мину́ты | 단수 생격 |
5~20, 0 | мину́т | 복수 생격 |
다행히 분(minute) 단위에선 강세가 변하지 않는다!
2-3. когда́ 혹은 во ско́лько란 의문문 뒤의 시간 숫자는 4격(대격)으로 표현
'언제?'라는 뜻의 когда́? [까그다?] 혹은 '몇시에?'라는 뜻의 во ско́лько? [바 스꼴까?]로 물어본 의문문에서 시간을 대답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이렇게 답하면 된다.
Я иду́ уро́к в 2 часа́. [야 이두 우롴 브 드바 치싸.] |
난 2시에 수업을 갈 것이다. |
3. заня́тие와 заня́тия
어근 | 접미사(suffix) | 어미 |
-заня- (차지하-) |
-тиj | -е |
불활동체 중성명사 заня́тие [자냐찌예]는 '차지'라는 기본적인 뜻과 거기서 파생된 '취업, 고용, 직업, 일, 작업, 수업 공부, 훈련, 심심풀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단수 | 복수 | |
주격 | заня́тие | заня́тия |
생격 | заня́тия | заня́тий |
여격 | заня́тию | заня́тиям |
대격 | (주격) | (주격) |
조격 | заня́тием | заня́тиями |
전치 | заня́тии | заня́тиях |
이 때 복수로만 쓰이는 경우, '(주로) 대학교에서의 수업(урок, lesson)'을 뜻한다. 이를 꼭 기억하면 좋겠다.
4. Как ча́сто? 로 물어본 경우 4격(대격)으로 답한다.
예를 들어 '매주 수요일(매주 수요일 마다)'라고 말하고 싶으면, ка́ждая среда́ [까즤다야 스리다]가 아닌 'ка́ждую среду́ [까즤두유 스리두] 라고 말하면 된다.
5. 몇몇 과일(фру́кт) 명칭의 유래
5-1. пе́рсик
어근 |
-персик- |
불활동체 남성명사 пе́рсик [뻬르싴]는 '복숭아'란 뜻이다. пе́рсик는 라틴어로 '복숭아'란 뜻의 persica [페르시카]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페르시아'를 뜻하는 라틴어 Persa [페르사]에서 유래했다. 실제로 로마에 이 과일은 페르시아를 통해 들여왔기에 로마 사람들이 '이 과일은 페르시아에서 왔다'라고 생각해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5-2. сли́ва
어근 | 어미 |
-слив- | -а |
불활동체 여성명사 сли́ва [슬리바]는 '자두(plum)'라는 뜻이다. 이 단어는 원래 인도유럽조어(PIE) 시절 '푸르스름한'이란 의미로 쓰였고, 그렇게 '푸르스름한 과일'이란 뜻으로 지금까지 이어졌다.
5-3. грейпфру́т
어근 |
-грейпфрут- |
불활동체 남성명사 грейпфру́т [그레잎프루트]는 '자몽(grapefruit)'이란 뜻이다. 이 단어는 영어로 같은 뜻의 grapefruit에서 유래했고, 이 단어는 포도(grape)와 과일(fruit)이 합쳐진 것에서 유래했다. 자몽이 열려 있는 모습이 마치 포도송이 같다고 여겨 '포도같은 과일'이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6. ско́лько, мно́го, ма́ло + 복수 생격
러시아어에서 ско́лько(얼마), мно́го(많은), ма́ло(적은)은 '복수'로 여겨지며, 복수로 여겨지는 수는 뒤에 무조건 '복수 생격'이 따라 붙는다. 이 설명을 듣고 2나 3, 4도 복수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들은 원래 '쌍수' 집합에 속하는 숫자로 여겨졌고, 그래서 옛 쌍수 주격이 지금의 단수 생격과 모습이 비슷해 그쪽으로 합쳐져 2~4는 단수 생격을 사용한다.
ско́лько(얼마) мно́го(많은) ма́ло(적은) |
+ 복수 생격 |
예문 몇 가지를 살펴 보자.
В магази́не мно́го анана́сов. | 가게에 많은 파인애플이 있다. |
В магази́не ма́ло баклажа́нов. | 가게에 가지가 거의 없다. |
7. отлича́ться
접두사 | 어근 | 접미사(suffix) | 어미 | 접미사(postfix) |
от- (밖으로(away from)) |
-лич- (얼굴, 이미지) (구분하-) |
-а | -ть | -ся |
отлича́ться [아뜰리찻쨔]는 '~와 차이가 나다, ~(의 점에서) 다르다(특색있다)'라는 뜻이다.
отлича́ться от кого/чего | 누구/무엇과 차이가 나다 |
отличаться чем | 무엇(의 점/부분)에서 다르다 |
8. 상점에서 물건이 다 팔린 상황에서 점원이 하는 말
Уже́ всё продава́ли [우졔 프쇼 쁘라다발리] |
이미 모두 팔렸습니다. |
9. 점원이 더 살거냐는 질문에 다 샀다고 하고 싶을 때
Нет, э́то всё. [녯, 에떠 프쇼] |
아니요, (살 건) 이게 답니다. |
'언어 > 러시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어 표현 정리 18 (0) | 2023.05.21 |
---|---|
대격을 쓰지만 목적격처럼 해석되지 않는 러시아어 동사 2개 (0) | 2023.05.18 |
러시아어 표현 정리 16 (0) | 2023.05.17 |
-ец, -е́ц로 끝나는 남성명사의 독특한 격변화 (0) | 2023.05.15 |
왜 러시아인들은 수에 따라 час, часа, часов으로 다르게 말할까? (0) | 202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