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초등학교의 학교명 변천사(표) (https://mspproject2023.tistory.com/1199) 2.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중학교의 학교명 변천사(표) (https://mspproject2023.tistory.com/1200) |
1. 고등학교
1-1. 금정여자고등학교
금정여자고등학교(1983.03.07~) |
1-2. 금정전자고등학교
양정기술중학교(1963.05.01~1965.05.10) |
양정고등공민학교(1965.05.11~1973.03.11) |
동래공업전수학교(1973.03.12~1984.06.30) |
금정전자공업학교(1984.07.01~2020.07.14) |
금정전자고등학교(2020.07.15~) |
1963년, 학교재단 양정학원이 설립되었고, 그 날 양정기술중학교가 개교했다. 이 학교는 1965년 부산시 교육청의 인가를 받아 양정고등공민학교가 된다. 이후 양정학원은 1973년 3월에 동래공업전수학교를 세우며, 양정학원도 해당 학교로 이전하며 본격적으로 금정전자고등학교의 역사가 시작된다.
1-3. 남산고등학교
남산고등학교(1989.03.03~) |
1-4. 내성고등학교
내성고등학교(1981.03.06~) |
1-5.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1996.03.05~2002.03.01) |
대진정보통신고등학교(2002.03.02~2016.02.28) |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2016.03.01~) |
대순진리회와 관련이 있는 학교법인 대진대학교가 1996년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를 세웠고, 이후 2016년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라고 불리게 되었다. 대진대학교 소속 학교 중 유일하게 부산에 설립된 고등학교라는 특징이 있다.
1-6. 동래여자고등학교
사립일신여학교(1895.10.15~1925.06.09) |
|
동래일신여학교(1925.06.10~1940.03.30) | |
동래고등여학교(1940.05.30~1951.08.31) | |
동래여자중학교(1951.09.01~) | 동래여자고등학교(1951.09.01~) |
호주장로교 선교회 여자전도부가 1895년 부산 좌천동의 한 초가집에서 고아들을 기르고 가르치면서 사립일신여학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학교는 좌천동에서 이후 동래로 이전했으나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며 1940년에 폐쇄되었다.
이 때 구산학원(현 학교법인 동래학원)이 동래일신여학교 경영권을 인수해 동래고등여학교라 개칭하고 그 해 5월말에 개교했다. 이후 1951년 학제변경에 의해 이 학교가 동래여중과 동래여고로 분리되었고,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7. (학력인정) 부산경호고등학교
동상재건학교(1970.06.05~1992.02.27) |
동상실업학교(1992.02.28~1997.03.01) |
동상실업고등학교(1997.03.02~2002.02.28) |
부산경호고등학교(2002.03.01~) |
1970년, 새길 선도학원이 설립되었고, 그즈음 동상재건학교가 설립된다.
동상재건학교는 동상실업학교로, 동상실업학교는 동상실업고등학교로 교명을 차례차례 바꾸었다가, 2002년 지금의 부산경호고등학교로 바꾼 뒤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8. 부산과학고등학교
부산과학고등학교(2003.03.05~) |
1-9.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1972.03.10~2001.03.01) |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2001.03.02~) |
1-10. 부산예술고등학교
부산예술고등학교(1986.03.10~) |
1-11. (학력인정) 부산예원고등학교
동래 신성 재건 청소년학교(1967.02.10~1981.10.13) |
신성여자실업학교(1981.10.14~1995.12.17) |
신성여자상업고등학교(1995.12.18~2001.02.28) |
예원정보여자고등학교(2001.03.01~2010.02.28) |
예원여자고등학교(2010.03.01~) |
1967년 동래 신성 재건 청소년학교 중등부 설립이 인가되었고, 1972년 10월엔 고등부 설립이 인가되었다.
이 동래 신성 재건 청소년학교 고등부는 이후 신성여자실업학교로 개교하게 되고, 몇 번의 개명을 거쳐 2010년부터 예원여자고등학교가 되었다.
1-12.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린상업고등학교(1972.03.15~1979.02.28) |
동래상업고등학교(1979.03.01~1998.02.28) |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1998.03.01~) |
1970년 재단법인 부린학원이 세워졌고, 2년뒤인 1972년에 부린상업고등학교를 세운다.
이 학교는 동래상업고등학교라는 교명을 거쳐 지금의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가 되었다.
1-13. 브니엘고등학교
브니엘실업고등학교(1964.03.05~1967.11.10) |
브니엘종합고등학교(1967.11.11~1974.01.06) |
브니엘고등학교(1974.01.07~) |
1963년, 미국 중아선교회(VOCA, Voice of China & Asia Inc.) 소속 박성기 목사가 전쟁 직후 피폐해진 부산을 재건하기 위해 브니엘학원을 세워 교육사역을 시작했다. 이후 1964년 브니엘실업고등학교가 개교했고, 이 학교는 1974년부터 브니엘고등학교로 쭉 이어졌다.
1-14. 브니엘여자고등학교
브니엘여자고등학교(1996.02.16~) |
1963년, 미국 중아선교회(VOCA, Voice of China & Asia Inc.) 소속 박성기 목사가 전쟁 직후 피폐해진 부산을 재건하기 위해 브니엘학원을 세워 교육사역을 시작했다. 이후 1996년 브니엘여자고등학교가 개교하며 지금까지 존재한다.
1-15. 브니엘예술고등학교
브니엘예술고등학교(1999.03.02~) |
1963년, 미국 중아선교회(VOCA, Voice of China & Asia Inc.) 소속 박성기 목사가 전쟁 직후 피폐해진 부산을 재건하기 위해 브니엘학원을 세워 교육사역을 시작했다. 이후 1999년 브니엘예술고등학교가 개교하며 지금까지 존재한다.
1-16. 지산고등학교
지산고등학교(1990.03.03~) |
천주교계 학교법인 성모학원에서 1990년 지산고등학교를 개교했고, 지금까지 이어졌다.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있는 고등학교 교명 변천사를 간략히 정의해봤다.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중학교 교명 변천사를 정리했을 때도 나왔던 정선학원(구 브니엘학원)의 이야기가 이번 글에서도 또 나온다. 그 학교법인이 고등학교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법인 정선학원 | |
중학교 | 고등학교 |
브니엘예술중학교 | 브니엘예술고등학교 브니엘고등학교 브니엘여자고등학교 |
그 외 학력인정 고등학교가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다양한 학교법인이나 학원재단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초중고등학교의 교명 변천사를 살펴보면서, 우리 지역의 학교가 어떻게 생기고 변해갔는지를 더 잘 알게 되었다.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 시대 부산의 대표적인 고분군, 연산동 고분군 (0) | 2023.05.19 |
---|---|
6.25 전쟁, 5.3 동의대학교 사태 등 공무로 돌아가신 부산경찰을 추모하는 부산경찰 추모공간 (0) | 2023.05.16 |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중학교의 학교명 변천사(표) (0) | 2023.05.15 |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초등학교의 학교명 변천사(표) (0) | 2023.05.15 |
부산 동래고등학교(동고)에서 옛 흔적을 찾다. (5)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