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수로만 쓰는 о́бувь (feat. 그 외 단수나 복수로만 쓰이는 단어들)
'신발'을 뜻하는 불활동체 여성명사 о́бувь[오부비]는 단수로만 쓰인다. 원어민 교수님의 말에 따르면 문법적으로 복수 격변화가 존재하지만 무조건 단수로만 쓰인다고 한다. 우선 어형 분석부터 해보자.
о́бувь [(발의) 주위로 (감싸면서) 신는 것-> 신발] | ||
접두사 | 어근 | 어미 |
об- (주위로(around)) |
-у- (신-) |
-вь |
'발 주위로(об-) 감싸면서 신는(у) 것(-вь)'을 'о́бувь(신발)'라고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격변화를 보자.
단수 | 복수 | |
주격 | о́бувь | о́буви |
생격 | о́буви | о́бувей |
여격 | о́буви | о́бувям |
대격 | (주격) | (주격) |
조격 | о́бувью | о́бувями |
전치격 | о́буви | о́бувях |
이렇게 복수형이 존재하지만 이 단어는 무조건 단수로만 쓴다! 예를 들어 신발이 많거나 두 짝인 경우는 어떻게 표현할까?
мно́го о́буви | 많은 신발 |
две па́ра о́бувь |
신발 두 켤레 |
이렇게 그 어떤 경우라도 복수 주격 о́буви나 복수 생격 о́бувей는 셈할 때 조차 쓰지 않는다.
그 외 단수나 복수로만 쓰이는 단어들 몇 가지를 소개한다.
의미상 단수로만 쓰이는 단어 | оде́жда(옷), косме́тика(화장품) |
의미상 복수로만 쓰이는 단어 | проду́кты(식료품류) |
2. ~용 표
'~용 표(tickets for)'를 의미할 땐 'биле́ты на[빌례띄 나] + 대격'로 쓴다. 주의할 점은 '표'는 복수로 쓰며, 어떤 곳에 사용하는 표인지는 'на+ 대격'으로 표현한다는 것이다.
биле́ты на авто́бус [빌례띄 나 압또부스] |
버스표 |
биле́ты на конце́рты [빌례띄 나 깐쳬르띄] |
콘서트 티켓 |
биле́ты на паро́м [빌례띄 나 빠롬] |
연락선표(페리선표, 페리 티켓) |
биле́ты на по́езд [빌례띄 나 뽀이스트] |
기차표 |
биле́ты на самолёт [빌례띄 나 사말료뜨] | 비행기표 |
биле́ты на сапса́н [빌례띄 나 싸쁘싼] |
삽산(сапса́н)표 [삽산(сапса́н)=러시아 고속철도의 하나] |
биле́ты на фи́льмы [빌례띄 나 필리믜] | 영화표(영화 티켓) |
3. по + 여격/대격/전치격
전치사 по[뽀]는 대부분의 경우 여격을 가지지만 가끔 대격과 전치격을 가진다. 즉, по는 여격 지배 전치사이자 대격 지배 전치사 겸 전치격 지배 전치사인 것이다. 전치사 по의 뜻을 뒤에 오는 격에 따라 정리해봤다.
по + 여격 | 1. ~위에(~표면에, на) (동작하는 물체의 위치를 가리킴) [по столу] 2. ~위에, ~의 표면에 (동작하는 곳이나 공간을 가리킴) 3. ~을 향해, ~을 따라(~을 끼고) (동작이 어떤 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향한 상태를 가리킴) 4. (생각하거나 그리워하거나 슬퍼하는 사람이나 물건을 가리킴) [охватит тоска по родине] 5. 그 어떤 이유로(из-за, ~에 의하여, ~때문에) (무언가의 근원이나 원인을 가리킴) 6. (주체의 일, 작용, 행동, 활동 목표 등의 영향을 받는 대상 가리킴) |
по + 대격 | 1. ~까지(до) (경계선이나 행동의 한계를 나타냄) |
по + 전치격 | 1. (드물게) (생각하거나 그리워하거나 슬퍼하는 사람이나 물건을 가리킴) [охватит тоска по родине] 2. (부분적으로) 이후(после) (시간 또는 공간의 경계 상 이을 가리킴) |
기본적으로 по는 '~을 따라서, ~을 향하여, ~까지, ~에 의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를 응용해서 '상점과 상점을(복수의 상점을) 이동하며 거니는 동작' 즉, '걸어서 여러 상점에서 쇼핑하는 것'은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ходи́ть по магази́нам [하지찌 빠 마가지남] | 걸어서 쇼핑하다(go shopping) |
4. в о́бщем(=in common)
'일반적으로, 대개, 대체적으로, 개괄적으로'라는 의미는 영어론 in common이라고 한다. 러시아어도 영어와 똑같이 в о́бщем [브 옵솀]이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전치사 в는 전치격 지배 전치사로 작용해 단순히 '~안'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그래서 о́бщем도 전치격이다. 정확히 '전반적인(일반적인, 보통의)'라는 뜻의 형용사 о́бщий[옵쉬-]의 단수 남성/중성 전치격이다.
5. устава́ть와 уста́ть의 직설법 현재 시제 격변화
불완료상 자동사 устава́ть [우스따바찌]와 완료상 자동사 уста́ть [우스따찌]는 '피곤하다(피곤함느끼다)'라는 뜻의 상짝이다. 각각의 동사의 어형 변화를 살펴보고 직설법 현재 시제 격변화를 살펴보자.
устава́ть (불완료상 자동사) | ||
어근 | 접미사(suffix) | 동사 어미 |
-уста- | -ва | -ть |
몇몇 -вать [-바찌]로 끝나는 동사의 직설법 현재 시제 격변화는 접미사 -ва가 생략된 상태로 변한다.
(직설법 현재 시제) | 단수 | 복수 |
1인칭 | устаю́ | устаём |
2인칭 | устаёшь | устаёте |
3인칭 | устаёт | устаю́т |
уста́ть (완료상 자동사) | |
어근 | 동사 어미 |
-уста- | -ть |
어근 그 자체에 동사 어미가 붙은 몇몇 동사의 직설법 현재 시제 격변화와 명령법엔 -н-이 나타나기도 한다.
(직설법 현재 시제) | 단수 | 복수 |
1인칭 | уста́ну | уста́нем |
2인칭 | уста́нешь | уста́нете |
3인칭 | уста́нет | уста́нут |
6. торго́вый центр(=shopping center)

торго́вый центр [따르고븨- 쪤뜨르]는 쇼핑센터(shopping center)를 의미한다. 여기서 쇼핑센터란 '상점, 식당, 엔터테인먼트 복합체 및 기타 시설이 각 위치에 배치되는 대형 건물이나 건물 복합체'를 말한다.
7. слы́шать vs слу́шать
слы́шать [슬릐샤찌]는 '(나도 모르게) 듣다(들리다, to hear)'이라는 의미고, слу́шать [슬루샤찌]는 '(의도적으로) 듣다(to listen)'이라는 의미다. 그럼 이 둘의 부정 표현 또한 그 의미는 달라진다.
Я не слы́шал. [야 니 슬릐샬] | Я не мог. [야 니 모크]=난 듣지 못했다. |
Я не слу́шал. [야 녜 슬루샬] | Я не хоте́л. [야 니 하쩰]=난 듣고 싶지 않아 의도적으로 안 들었다. |
8. 몇몇 신체 부위에 대한 단복수 주격
단수 | 복수 | |
주격 |
- | во́лосы [볼라싀] : 머리카락들 |
глаз [글라스] : 눈 |
глаза́ [글라자] : 눈들 | |
губа́ [구바] : 입술 |
гу́бы [구븨] : 입술들 | |
лицо́ [리쵸] : 얼굴 |
ли́ца [리챠] : 얼굴들 |
|
нога́ [나가] : 다리, 발 | но́ги [노기] : 다리들, 발들 | |
рука́ [루까] : 손, 팔 | ру́ки [루끼] : 손들, 팔들 | |
те́ло [쩰러] : 몸 | тела́ [찔라] : 몸들 |
몇몇 신체 부위에 대한 단복수 주격은 강세가 변하거나, 고대 언어의 흔적이 남아 있거나, 단수형이 없는 상태로 쓰인다. 이를 참고하고 암기하기 편하게 표로 정리해봤다.
'언어 > 러시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어 술어부사에서의 경험자는 여격을 쓴다. (feat. 의무, 가능, 금지) (0) | 2023.05.12 |
---|---|
러시아어 단어의 형태를 분석하는데 참고할만한 МОРФЕМА.РУС (0) | 2023.05.12 |
여격을 가지는 러시아어 감정 동사 4개 정리 (0) | 2023.05.09 |
учить와 그 완료상 вы́учить, научи́ть, обучи́ть (0) | 2023.05.09 |
러시아어 표현 정리 14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