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철마면 와여리의 의열사(義烈祠) (ft. 국궁장)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부산 철마면 와여리의 의열사(義烈祠) (ft. 국궁장)

728x90

1. 철마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의열사로 가는 길

철마면 행정복지센터와 철마초등학교 사이로 조금 올라가다보면 '의열사'라고 적힌 비석이 있습니다.

이걸보고 아 이 근방이 '의열사'겠구나 라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이 의열사는 와여마을 중턱을 올라 산 부근에 있거든요!

의열사 앞면 비문 의열사 뒷면 비문
의열사(義烈祠) 건립추진위원
김운득(金雲得)
김성진(金成鎭)
증(贈) 김성해(金成海)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206

임진왜란 때 왜적(倭敵)과 싸워 이긴 공(功)으로서 선무원종공신록권(宣武原從功臣錄權)을 받으신 두 분과 동생 영위(靈位)를 모시는 사당(祠堂)이 있는 곳으로서 사우(祠宇)는 의열사(義烈祠)이다. 전쟁 끝난 뒤에 일개(金一介), 김일덕(金一德), 김일성(金一誠), 통정대부(通政大夫), 병조참의(兵曹參議), 참봉공휘(參奉公諱)의 창의(倡義)를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1919년에 재실(齊室)을 짓고[원문 : 짖고] 사당을 마련하여 1920년부터 향례(享禮)를 연 3월 중정일(中丁日)에 향축(香祝)을 지내고 조부(祖父)이신 문과(文科) 의성현령(義城懸鈴)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서강선생(西岡先生)을 모시고 후에 옥천선생을 함께 다섯 분의 위패(位牌)를 봉안(奉安)하는 곳이다.

우선 의열사의 위치를 알려주는 이 비석은 의열사에 김일개(金一介), 김일덕(金一德), 김일성(金一誠), 서강(西岡) 김계금(金係錦), 옥천(玉泉) 김학(金學) 5분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와여마을로 가봅시다. 철마면사무소와 철마초등학교 사이를 지나는 곰내길을 따라가다 왼쪽으로 꺾으면 됩니다.

'와여마을'이라고 적힌 비석이 있는 왼쪽으로 꺾어서 올라가면 됩니다. 이 마을 입구에도 여러 비석들이 있는데요. 그 비석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글( https://mspproject2023.tistory.com/1400)을 참고바랍니다.

 

기장군 철마면 와여마을 입구의 비석들

1. 철마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와여마을 입구까지 왼쪽에 철마면 행정복지센터를, 오른쪽에 철마초등학교를 낀 길로 쭉 올라가면, 이런 길이 나옵니다. 여기서 큰길 따라 조금만 더 올라가면 삼거

mspproject2023.tistory.com

 계속 큰 길을 따라 쭉 올라가줍시다. 농촌체험관광지원센터도 지나고,

그 오른편의 와여새마을회관도 지나서 쭉 올라가면,

철마면 의열사 가는 길 (출처 : 카카오맵)

오거리가 나옵니다. 여기서 오른쪽으로 꺾어서 올라가줍시다.

철마면 의열사 가는 길 (출처 : 카카오맵)

그럼 또 갈림길이 나옵니다. 여기서도 오른쪽으로 꺾어줍시다.

'의열사' 방향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 길을 따라 쭉 가줍시다.

그럼 또 갈림길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오르막길인 왼쪽 길로 다시 올라가줍시다.

자 이제 쭉 올라가면 됩니다. 저기 멀리 사당 건물이 보이죠?

짜잔! 여기서 왼쪽길로 올라가면 됩니다. 지도로 검색해서 오실 분은 '철마면 와여리 206'이라고 검색하고 오시면 됩니다!

 여기가 바로 의열사(義烈祠)입니다. 수풀이 가득해 돌아다니기 힘들었지만, 그래도 둘러봤습니다. 이제 주변의 비석들을 우선 둘러볼게요~
 

2. 의열사와 비석들

2-1. 공덕비

공적비 앞면
공적비(功績碑)

김봉근(金奉根) 금(金) 155원정(整) 계사(癸巳) 와여(瓦余)

공적비 뒷면
김활경(金活更) 금 14만 2천원정 을유(乙酉) 대신(大新)
김용주(金龍注) 금 11만원정 정유(丁酉) 와여(瓦余)
김규봉(金圭奉) 답(畓) 2두(斗) 정해(丁亥) 교리(校里)
김사득(金四得) 금 4만원정 입춘문제작(立春文製作) 부곡(釜谷)
김석수(金石守) 금 1만원정 신해(辛亥) 장전(長田)

 

2-2. 충의당개축 헌성기념비(忠義堂改築 獻誠紀念碑)

헌성기념비 앞면
충의당(忠義堂) 개축(改築) 헌성기념비(獻誠紀念碑)
헌성(獻誠)하신 종원(宗員)들의 깊은 뜻을 후손들에게 길이 전하여 이 비에 정성(精誠)을 담노라.
 향례일(享禮日) 매년 3월 중정일(中丁日)
(이하 '헌성기념비 뒷면'까지 기부자 밑 기부금액과 지역 나열)

헌성기념비 앞면 기준 오른쪽편
단기 4334년 신사(辛巳)(서기 2005년) 10월 일

이사장       김석만(金石萬) 수민(竪珉)
유사(有司) 김운득(金雲得) 수민(竪珉)
재무(財務) 김성진(金成鎭) 수민(竪珉)

 

2-3. 의열사 문중 연력 안내비

의열사(義烈祠) 문중(門中) 연력(年歷) 안내(案內)
간지 연력
(年歷)
관직. 기타 위차(位次). 휘(諱) 비고
무진
(戊辰)
1568 수군만호(水軍萬戶) 입향조
7세 휘 보문공
1456년 김해(金海) 현(現) 기장군 정관면 예림리(禮林里) 정착
갑오
(甲午)
1594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증(贈) 병조참의(兵曹參議)
10세
휘 송미(松楣) 일개공(一介公)
임진1등공신 충렬사 24별전공신 배향
선무원종공신
증 병조참의
10세
휘 죽간(竹澗) 일덕공
임진2등공신 충렬사 24별전공신 배향
참봉(參奉) 임란공신(壬亂功臣) 10세
휘 채정(蔡汀) 일성공(一誠公)
을사
(乙巳)
1905 봉안문(奉安文) 제정(制定)
경술
(庚戌)
1910 충렬사(忠烈祠) 향례(享禮) 임진 1652 충렬사 임란공신 배향(配享)
신사
(辛巳)
2001 입향조(入鄕祖)
휘(諱) 보문공(寶文公)
육위봉안
(六位奉安)
6세 지평(持平)
휘 서강(西岡) 계금공(係錦公)
7세 만호(萬戶)
휘 보문공
10세 증 병조참의
휘 일개공
10세 증 병조참의
휘 일덕공(一德公)
10세 참봉(參奉)
휘 일성공
14세
옥천선생(玉泉先生) 휘 학공(學公)
향례일
(享禮日)
매년 음(陰) 3월 중정(中丁)
1997년 의열사(義烈祠) 증개축(增改築)
2001년 충의당(忠義堂) 증개축

연력안내문 앞면 기준 왼편
210년 4월 일 수립(竪立)

 

자, 이제 계단을 올라가서 오른쪽에 있는 비석들을 살펴봅시다!


 

2-4. 유명 조선국 통훈대부 증 수군만호 김공 유허비

유허비 정면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통정대부(通政大夫) 김공(金公) 유허비(遺墟碑)

김해 김씨의 김보문(金寶文, 1425~1491)은 15세기에 있었던 효자면서 김해 김씨 서강공파의 입향조입니다.
아버지 김계금(金係錦)과 어머니 의성 김씨(義城金氏)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어머니가 중병으로 위중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며 정성어린 간호를 했고 그렇게 어머니는 3일만의 혼수상태에서 깨어났다고 하네요! 그의 효성 소식이 알려져 조정에서는 그에게 참봉(參奉) 벼슬을 내립니다.
 
그는 나이가 들어서 현재의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로 들어가 김해 김씨 서강공파의 입향조가 되었죠.
이후 그의 증손 김일개(金一介), 김일덕(金一德), 김일성(金一誠)이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워 그는 수군만호(水軍萬戶)에 추증되었으며, 지금은 여기 의열사에서 배향하고 있으며, 묘소는 현재의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에 마련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후손들에 의해 단기 4334년(서기 2001년) 10월에 그를 기리는 비석을 세웠는데, 그 비석이 위 사진 속 비석입니다.
 

2-5. 의열사 비석군

유허비 옆은 이렇게 작은 3개의 비석이 있습니다.

왼편 앞에는 충순위김해김공지묘(忠順衛金海金公之墓)이란 비석이 있고, 오른쪽에는 증병조참의김해김공지묘(贈兵曹參議海金公之墓)라고 적힌 비석이 있습니다. 

그 뒤에는 '의성현령(義城懸鈴)'이라고 적힌 비석이 있습니다.
 

2-6. 의열사 비석

의열사 비석군 오른쪽에도 비석 하나가 있습니다.

이제는 거의 다 지워지고 번져 글자가 잘 보이지 않네요..
 

2-8. 의열사 합사제단(義烈祠合祀祭壇) 가는 길과 국궁장 

의열사에서 내려와서 동쪽을 보면 의열사 합사제단 가는 산길을 안내하는 안내석이 있습니다.

그 곳에서 위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또 김해 김씨 관련 제단이 하나 보입니다.

더 위로 올라가서 지도상 길이 끝나는 지점까지 가면, 국궁장이 보입니다.

2022년 농촌체험관광지원센터 토요 프로그램 중 국궁체험 관련 (출처 : 부산광역시)

이곳은 아이들이 국궁체험을 할 수 있게 만든 국궁장입니다.

여기까지 의열사에서부터 국궁장까지, 와여 마을 북부의 이곳저곳을 둘러봤습니다. 의열사 합사제단과 할배제당으로 이어지는 산길에 대해 소개한 글도 참고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