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문문에서의 직접 화법과 간접 화법
직접 화법(пряма́я речь) | 간접 화법(ко́свенная речь) |
"Ты бу́дешь ко́фе?" [띄 부디쉬 꼬폐] "넌 커피 마실거야?" | Он спроси́л мне, бу́ду ли я ко́фе. [온 스쁘라씰 므녜, 부두 리 야 꼬폐] 그는 내게 내가 커피를 마실건지 물어봤다. |
일전에 직접 화법과 간접 화법에 대해 정리한 적이 있으니 자세히 내용은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853)을 참고하고, 여기선 간단하게만 살펴보도록 하겠다. 직접 화법은 하고자 하는 것을 화자가 그래도 말하는 방식이며, 간접 화법은 실제 말하는 화자의 이야기를 청자 등 제3자가 전하는 화법을 말한다.
직접 화법의 문장 | 간접 화법에서의 표현 | |
의문문 | 의문사 포함 | , 의문사 + ~ |
의문사 불포함 | , 동사 ли + ~ |
직접 화법은 그냥 자기가 회화할 때 쓰던데로 표현하되 따옴표를 넣기만 하면 되지만, 간접 화법은 그 경우에 따라 다르다.
직접 화법의 문장에 의문문이 포함된 경우, 그 말에 의문사가 포함되어 있으면, 의문사를 포함해 지칭 대상과 동사 등을 그 성수격에 맞춰 격변화 시키면 되어서 쉬운 반면, 직접 화법의 문장이 포함되지 않았다면, 위의 예시처럼 질문하고자 하는 동사 등의 뒤에 의문소사(вопросительная частица) ли를 붙이면 된다.
2. счастливый
счастли́вый [행복한] | ||
어근 | 접미사(suffix) | 어미 |
-счаст- (행복) | -лив | -ый |
너무 쉬운 단어이지만, 가끔 까먹어서 다시 정리해봤다. '행복'을 러시아어로 сча́стье[샤스쩌]라고 하는데, 여기에 형용사를만드는 -ливый가 붙은 счастли́вый[쉬슬리븨-] '행복한'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3. 접두사 пере-
접두사 пере-[뻬레-]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사전을 통해 그 의미를 예시와 함께 정리해봤다.
의미 | 예시 |
1. (동사에 붙어) : 위치 이동 어떤 장애물을 넘어 자리(위치)를 바꾸는 의미의 동사 형성 | лететь(날다) → перелететь(날아서 넘어(건너)가다) прыгнуть(뛰다) → перепрыгнуть(뛰어넘다) плыть(헤엄치다) → переплыть(헤엄쳐 건너다) |
2. (동사에 붙어) : 건넘(넘음, 옮김) 어떤 간격을 두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의미의 동사 형성 | ставить(세우다) → переставить(옮겨 세우다) ходить(걸어다니다) → переходить(옮겨 걸어다니다) |
3. (동사에 붙어) : 과함 필요하거나 합리적인 범위 이상 행동을 의미하는 동사 형성 | есть(먹다) → переесть(과식하다, 과음하다, 부식하다) загорать(햇볕에 타다) → перезагорать(햇볕에 과하게 타다) |
4. (동사에 붙어) : 초과 다른 유사한 행위 기록을 초과하는 행동을 의미하는 동사 형성 | кричать(소리치다) → перекричать(큰 소리로 말문을 막다) плюнуть(침을 뱉다) → переплюнуть(침을 건너 뱉다) весить(무게가 나가다) → перевесить(보다 더 무겁다) |
5. (동사에 붙어) : 반복(재차) 무언가에 대한 반복적(повто́рный) 행동의 의미의 동사 형성 | делать (만들다, 하다) → переделать(재교육하다, 개조하다) продать(팔다) → перепродать(다시 팔다) шить(꿰매다) → перешить(다시 꿰매다) |
6. (동사에 붙어) : 교대(순번) 교대(순번제)로 일어나는 행동의 의미의 동사 형성 | переговариваться(잠깐 서로 이야기 하다) пересвистываться(서로 휘파람을 불어 신호를 하다) перешёптываться(서로 속삭이다) переталкиваться(서로 밀어 젖히다) |
7. (동사에 붙어) : 완수(다-) 어떤 징집에서 각 주제에 대해 행동 완수의 의미의 동사 형성 | стрелять(쏘다) → перестрелять((다 쏘다) бить(치다) → перебить(다 쳐부수다) считать(세다) → пересчитать(다시 세다, 다 세다) метить(겨누다) → переметить(다시 표시하다, 다 표하) |
8. (동사에 붙어) : 분해 (절개, 찢기 등으로) 무언가의 완전한 통일성을 침해하는 의미의 동사 형성 | резать(자르다) → перерезать(찢어 죽이다, 베어내) кусать(물다, 물어뜯다) → перекусывать(입으로 다 찢다, 군것질하다) |
기본적으로 '위치 이동'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접두사 пере-[뻬레-]에는 다양한 의미가 있는데, 이 기본적인 의미에서 '건넘, 과함(초과), 반복(교대), 완수, 분해' 등의 의미로 확대된다. 여기 적어둔 한국어 명사형은 임의로 표현한 것으로, 뜻을 살펴보고 자기가 알 것 같은 말로 바꿔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4. дарить
дари́ть | ||
어근 | 접미사(suffix) | 동사 어미 |
-дар- (준 것) | -и | -ть |
'증여물(선물, 기부, 재능)'이라는 뜻의 불활동체 남성명사 дар[다르]를 어근으로 하는 동사 дари́ть[다리찌]는 '선물하다(선물주다), 보답하다'라는 뜻이다. 이 동사의 완료상은 подари́ть[빠다리찌]이다.
дари́ть는 뒤에 '무엇을(что) 누구에게(кому́)'라는 어구가 따라온다.
дари́ть что кому́[다리찌 쉬또 까무] : 무엇을 누구에게 선물하다 |
이를 응용해 만일 '서로에게 선물하다'라는 뜻으로 쓰려면 '서로'라는 관용어구를 여격으로 써서 아래처럼 쓰면 된다.
дари́ть дру́г дру́гу [다리찌 드루크 드루구] дари́ть дру́г к дру́гу [다리찌 드루크 크 드루구] | 서로에게 선물하다 |
5. вдоль + кого/что(대격)
'вдоль[브돌리] +대격'은 '~을 따라'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강변을 산책하다'라고 말을 하고 싶다면, '강을 따라 산책하다' 그러니까, гуля́ть вдоль ре́ку[글랴찌 브돌리 례꾸]라고 하면 된다. 여기서 '~을 따라'라는 말은 '특정 대상을 수평으로 두고(특정 대상의 세로 방향으로)'라는 의미를 뜻할 때 쓰는 '따라'이지, '아빠를 따라가다'처럼 '앞선 것을 좇다'는 의미에서의 '따라'가 아님을 기억하는 것이 좋다.
6. где? куда?에 대한 답변에서의 전치사 사용

어떤 장소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표현할 땐 위치(где?)와 방향(куда́?)을 물을 땐 두 경우 모두 в[브]를 사용한다.
어떤 장소 상을 표현할 때는 위치(где?)와 방향(куда́?)을 물을 땐 두 경우 모두 на[나]를 사용한다.
где? : 어디? 대답 : в/на+전치격 | куда́? 어디로? 대답 : в/на+대격 |
в шко́ле[브 슈꼴례] : 학교에 | в шко́лу[브 슈꼴루] : 학교로 |
на ю́ге[나 유계] : 남쪽에 | на юг[나 유그] : 남쪽으로 |
그러나 사람을 표현할 때는 위치(где?)를 물을 땐 у[우]를, 방향(куда́?)을 물을 땐 к[끄]를 사용한다.
где? : 어디? 대답 : у+생격 | куда́? 어디로? 대답 : к+여격 |
у па́пы[우 빠쁴] : 아빠에게 | к па́пе[끄 빠뼤] : 아빠에게로 |
'언어 > 러시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пчела́의 복수 생격 (0) | 2023.04.12 |
---|---|
러시아어 표현 정리 10 (0) | 2023.04.10 |
листы와 листья, 뜻이 다른 лист의 복수형들 (0) | 2023.04.09 |
цвет(색)와 цветок(꽃), 복수격 변화가 비슷한 두 단어 (0) | 2023.04.09 |
счета와 счёты, 뜻이 다른 счёт의 복수형들 (0)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