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51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38)
달(month)의 어원 5 - 마니푸리력 ​ 마니푸리 달력이라고도 불리는 메이테이(Meitei) 달력은 마니푸르에 사는 메이테이족의 종교 및 농업을 위해 사용되는 태음력이면서 항성력이다. 역사가 엄청 대단한데, 이 달력은 캉레이팍(Kangleipak)의 황제 말리야 팜팔챠(Maliya Phampalcha)에 의해 기원전 1398년에 만들어졌다!! 기원전 14세기는 중국에서는 은나라가 건국되었다고 기록된 시기이다..! 이렇게 오래된 마니푸리은 우연찮게 그레고리력과 같이 12개월 7개일로 구성된다. ​ 참고로, 그레고리력 서기 2020년은 마니푸니력의 3418~3419년쯤에 해당된다! 월의 이름 그레고리력과의 비교 Wakching [왘칭] 1~2월 Fairel [파이렐] 2~3월 Lamta [람타] 3~4월 Sajibu [사지부] 4~5월 Kale..
달(month)의 어원 4 - 인도국정력 앞서 동양의 회귀 태양력 중 하나인 벵골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늘은 동양의 다른 회귀 태양력인 인도국정력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샬리바하나 샤카 달력이라고도 불리는 이 달력은 사카력에 기원을 두고 있다. ​ 달의 이름 일수 시작일 (그레고리력 기준) 특징 चैत्र [차이트라] 30(윤년일 때, 31) 3월 22일 ( 윤년일 때, 3월 21일) 인도국정력, 힌두력의 첫달 벵골력의 마지막 달 वैशाख [바이사까] 31 4월 21일 벵골력의 첫번째 달 ज्येष्ठ [주에스따] 31 5월 22일 벵골력의 2번째 달 आषाढ [아샤따] 31 6월 22일 벵골력의 3번째 달 श्रावण [스라바나] 31 7월 23일 벵골력의 4번째 달 भादों [빠아도] 31 8월 23일 벵갈력의 5번째 달 Bhadro..
달(month)의 어원 3 - 벵골력 앞서 설명한 그레고리력과 율리우스력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만든 회귀 태양력(tropical solar calendar)이다. 동양에는 이런 달력이 없을까 궁금하여 찾아봤더니, 현재 방글라데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역법인 벵골력과, 사카달력이라 불리는 인도국정력이 있었다. 이번 편에서는 벵골력의 월(month)의 어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현재 북동인도 지역의 일부분과 방글라데시를 포함하는 벵골 지방과 그 부근에서 사용하는 지역에서 벵골력을 공식적으로, 주정부, 국가 정부에서 사용한다. 아래 지역은 벵골 지방의 위치이다. 주황색으로 칠해진 지역 한 가운데, 네모난듯한 지역이 메갈라야 주이다. 이 지역은 원래 벵골 지방이 아니었기에, 공식적으로 벵골력을 사용하진 않는다. 벵골력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지역..
달(month)의 어원2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은 로마 공화국의 정치가(독재관, 집정관 재임)이자 장군인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Gaius Iulius Caesar, -100년~-44년)에 의해 기원전 46년에 제정해서, 기원전 45년부터 시행된 태양력이다. 이 달력은 아우구스투스 때 크게 한번 개정되고 1582년에 들어서 그레고리력의 편의성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폐지된다. 다만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는 교회력은 아직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한다. 이름 순서 일수 율리우스 창제시(기원전 45) (-45년~-8년) 아우구스투스의 개정(기원전 8년) (-8년~1582년) Ianuarius 11 31 Februarius 12 29(윤년일 때, 30) 28(윤년일 때, 29) Martius 1 31 Aprilis 2 30 Maius 3 ..
달(month)의 어원1 - month와 그레고리력에서의 달(month)의 어원 우리말에서는 하늘에 떠있는 자연위성인 달과 한 해를 12단위로 나눌 때 쓰는 시간 단위인 달은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 그런데 영어에서는 이 두 의미를 각기 다른 단어로 분리해서 사용한다. 모든 언어와 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들간의 문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모든 외국어 단어는 우리 정서로 만들어진 한국어 단어와 1대1 대응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런 문화 차이를 제외하고, 의미상으로 단어를 바라봤을 때, 한국어의 달은 영어의 month와 moon을 포괄할 수 있다. 그러나 영어의 저 두 단어들도 결국 뿌리는 같았다. 인도유럽조어로 달(month와 moon)을 뜻하는 [메흔스]이다. ​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태양력은 그레고리력이다. 이 달력은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만들었으며, 당시 1..
Charles!농사 지으러 가야지? 오늘은 이름(정확히는 인명)에 관한 주제를 들고 왔다. 찰스, 샤를, 카를로스. 언뜻 듣기엔 비슷한 이름이지만 사실 이 들은 같은 단어를 사용하면서 발음이 다르거나, 변용한 것이다. 그럼 민지 미자 민주도? 제발 잡소리 그만.. ​ 위키백과에 따르면 Charles는 덴마크, 영국, 핀란드, 프랑스, 그린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웨일스에서 주로 남자에게 사용하는 이름(Given name)이다. 이렇게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는 만큼 그에 따른 변형 형태 또한 많다. 이 단어는 고고(古高) 게르만어 Karl[카를], karal[카랄]에서 파생되었으며, 그 이전엔 게르만조어(PGmc)에서 '자유인(free man)'라는 뜻을 가진 *karlaz[*카르라즈]나 '자유인, 노인'을 뜻하는 *karilaz[*카릴라즈..
4대 문명, 강에서 나타나다. 흔히 역사 시간에 인류의 진화를 배우고 나서 학습하게 되는 세계 4대 문명! 그냥 외웠지만 왜 이곳에서 큰 문명들이 나타났는지 어원학적으로 알아보자. 우선 문명이 발달하는 과정은 이렇다. 1. 지식 습득 및 전수->사냥 활동->농사 발달 및 정착생활->생산 증가 및 잉여생산물의 증가->인구 증가 및 계급 발생->기록용 도구의 발달(펜, 붓, 석판, 먹, 문자 등)과 기록활동의 시작(기록은 후에 역사자료가 됨) ​ 첫번째, 황하문명! 기원전 6000년경에 양사오 지방과 룽산 지방에서 신석기 문명이 발생했고, 기원전 2500년경에 청동기 문화가 확산되며 초기 국가들이 탄생하였다. 즉, 황하강 중하류를 중심으로 발생한 문명을 황하문명이라 부른다. 일단 황하 지도를 보면서 간단히 정리해보자. 황하 지도(원본지도..
신찬성씨록에 기록된 임나 출신 일본인의 성씨 은 일본 헤이안 시대인 9세기에 만들어진 당대 헤이안쿄와 그 근교에 살던 고대 씨족들을 일부 기록한 명감(名鑑 : 인명록)이다. 이 책의 편을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 임나 등 한반도출신 도래인의 성씨가 기록되어 있다. 그 중 가장 적게 수록된 임나(=가야) 출신의 성씨들을 살펴보자. ​ 먼저 이 책에 관한 사전 지식을 알고 가자. ​ 1. 본관(本貫) : 고대 동아시아에서 호적의 편성(관적)이 이루어진 토지 2. 종별(種別) : 종류에 따라 나뉜 구별 3. 씨족(氏族) : 공통의 조상을 가진 혹은 갖는다는 의식(혹은 신앙)에 의한 유대감으로 결속된 혈연집단 4. 카바네(姓, 성) : 고대 일본 야마토 왕권의 오오기미(대왕)로부터 유력한 가문에게 부여된 왕권과의 관계와 지위를 나타내는 칭호 5.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