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 이슈/경제 (327) 썸네일형 리스트형 돈 되는 글 16 - EPS, PER, BPS, PBR 읽기 연습 전에 투자 정보를 확인할 때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한 적이 있었다. 그 때 EPS, PER, BPS, PBR에 대해 간단히 설명했는데, 이번엔 몇가지 예시와 함께 이 4가지 중요한 지표들을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1. share, stock, earnings, book value의 뜻 1-1. share과 stock 먼저 EPS, PER, BPS, PBR과 같은 지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영어 단어 4가지를 소개하겠다. share는 '유한 책임의 이익을 제공하는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금융상품' 즉 '주(株)'를 말한다. 그에 반해 stock은 '회사가 주(share)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본'이면서 '개별 주주가 보유한 주(share)의 합계'를 말하니 곧 '주식(株式.. 돈 되는 글 15 - 주식, etf, elw, etn 이게 다 뭘까? 주식 주문을 하려고 들어가면 여러 종목들이 보인다. 각각 어떤 종목이고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알아보자. 1. 주식(株式) 주식(株式)이라는 말은 주식회사(株式会社)의 구성원으로서의 지위나 권리를 말한다. 이런 지위나 권리를 인정해줄 수 있는 유가 증권을 주권(株券, stock)이라고 하며, 그 유가 증권 하나하나의 단위를 주(株, share)라고 하는 것이다. 또 이런 유가 증권을 거래하는 것을 주식매매(stock trading)이라고 한다. 자 그럼 예시를 보자. A "난 삼전 주식 100주를 가지고 있어" 이는 곧 A는 삼성전자라는 주식회사의 구성원으로서의 권리를 인정해줄 유가증권(가격있는 증명서) 100개를 가지고 있음을 말한다. B "난 A에게서 삼전 주식 50주를 샀다" 이는 B는 금전을 대가로.. 국가부도의 날에 나오는 경제 용어 정리 최근 영화 국가부도의 날을 다시 보게 되었다. 이 영화에 나오는 경제 용어를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1. 핫머니와 롤오버 핫머니(hot money)는 국제금융시장을 이동하는 단기자금 및 국내시장에서 단기적인 차익을 따라 이동하는 단기적인 투기자금을 말한다. 이 핫머니는 자금 이동이 일시적으로 대량으로 이루어지며, 자금이 유동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확 쏠리고 확 빠질 수 있는 자금들이라고 보면 된다. 롤오버(roll-over)는 금융기관이 상환 만기가 돌아온 부채의 상환을 연장해주는 조치를 말한다. 개인의 대출기간을 연장해주거나, 만기 채권을 가진 자에게 새 채권을 발행해 만기를 연장하는 것 등이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핫머니 롤오버라는 말은 만기에 다다른 단기유입자금에 대한.. 돈 되는 글 14 - 투자 정보를 확인하는 법 이번 글은 주식에 대해서 전혀 개념이 안 잡힌 사람들을 위한 글이다. 1. 글자는 한글이요, 숫자는 숫자로다. 각종 포털사이트에서 'ㅇㅇ 주식'을 검색하면 위와 같은 그래프와 몇가지 투자 정보가 적혀있다. 주식을 처음 접한 사람이라면 이러한 지표를 보고 어떻게 해야할지 분명 망설일 것이기에 차근차근 하나하나 필요한 핵심만 뽑아서 설명하겠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다음 금융을 자주 이용하기 때문에, 위의 사이트를 기준 삼아 설명하지만 어떤 포털 사이트를 이용해도 무관하다. 또 애경산업을 가지고 이야기를 할 건데 이 글은 개념에 대한 정리지, 기업 종목 추천에 대한 글이 아님을 미리 밝힌다! 2. 거래에 대한 용어들 전일(前日) : 전일 종가(前日終價, 전날 마지막에 이루어진 가격) 시가(始價) : 장이 시작할.. 돈 되는 글 13 - 스프레드란? 한 방문자님께서 EMBI+에 관한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577)을 보시곤 네이버 메일을 통해 스프레드가 무엇인지 알고 싶다고 하셨다. 그래서 이전 글을 보완하면서 경제적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이 글을 쓴다. 1. 스프레드가 뭐에요? 최근 주식 현황을 볼 때 EMBI+ 스프레드를 보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나와 대화를 나눈 증권사 직원이 한 말이다. 그런데 EMBI+ 스프레드가 뭔지 알아야 그걸 보고 투자를 판단할 수 있을 것 아닌가? 영어 spread는 '펼치다'라는 뜻이다. 그 뜻 말고 '버터를 넓게 바르다, 크게 벌리다, 확산되다'와 같은 뜻이 있지만 이 단어 모두 '펼치다'라는 뜻에 포함되는 말이니 그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그럼 무엇을 펼친다는 .. 돈 되는 글 12 - EMBI+란 무엇일까? '최근 주식 현황을 볼 때 EMBI+ 스프레드를 보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 이야기를 나눈 한 증권회사직원의 이야기에서 EMBI+가 뭔지 궁금해서 찾아봤다. 스프레드에 대한 내용은 이곳(https://mspproject2023.tistory.com/587)을 참고하기 바란다. 1. EMBI라는 건 뭘까? EMBI는 Emerging Markets Bond Index의 약자이며 신흥시장채권 지수라는 뜻이다. 즉, EMBI는 구체적인 유동성과 구조적 요건을 충족하는 신흥시장국가(EMC)가 발행한 국제 정부 및 기업 채권의 총수익률 성과를 측정하는 벤치마크 지수(BMI)를 말한다. 선진시장(DM)에 비해 위험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수익이 전통적인 자산군(asset class)과 밀접하게 연관되지.. 돈 되는 글 11 - 임대, 매매, 급매, 전세, 월세 부동산을 지나가다 보면 항상 반듯한 A4지에 '임대, 매매, 급매, 전세, 월세'와 같은 말이 적힌 걸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단어들을 다시 정리하면서 부동산 지식을 늘리려고 한다. 1. 건물이나 방을 빌려주는가, 파는가? 부동산 매물은 크게 그 매물을 빌려주는가, 파는가로 2가지를 나눌 수 있다. 빌려주는 매물 파는 매물 임대(전세, 월세) 매매(급매) 임대(賃貸)란 돈을 받고 자기의 물건을 남에게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빌려준다고? 그럼 대출하고 대부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대출(貸出)은 돈, 물건 따위를 빌려주거나 빌리는 것을 말하며, 대부(貸付)는 돌려받기로 하고 물건, 돈을 남에게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선거래 없이 물건이나 돈을 빌려주면 대부나 대출, 돈을 받고 물건을 빌려주면 임대인 것.. 돈 되는 글 10 - NISA, 5년/20년간 비과세 일본판 ISA 요즘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여러 일본 사이트에 접속하고 있다. 특히, 경제 관련 정보를 모으기 위해 서핑을 하던 중 일본 금융청(fsa.go.jp/index.html)에 접속하면서 NISA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이 일본판 ISA인지 궁금해서 자료를 더 찾아보고 정리해봤다. 1. NISA란? 1-1. NISA를 검색하다. NISA를 찾아보면 2001년에 일본 자원에너지청(ANRE) 산하에 설치된 원자력안전보안원(Nuclear and Industrial Safety Agency)나 2013년 1월에 발족한 소말리아의 국가정보안보국(National Intelligence and Security Agency)같은 관공서 뿐 아니라, 1990년부터 2018년까지 있었던 영국의 국가 아이스스케이팅 협회(Nati.. 이전 1 ··· 36 37 38 39 40 41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