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인문대 교수연구동, 제2공학관(구 재료관)에서 인덕관, 박물관 별관, 효원산학협동관쪽으로 갈 수 있는 좁은 도로 하나가 있다.
이렇게 농협이 있는 교수회관과 화공관 입구를 지나서 계속 올라가다보면,
좌측 도로로 인덕관, 효원산학협동관쪽으로 가는 길이 있고, 오른쪽에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작은 다리가 하나 놓여져있다.
다리를 통해 박물관 별관쪽으로 가보면,
5층 석탑 한개가 세워져있다.
여러 불상과 석상도 보인다.
오층석탑 이 석탑은 원래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의 대곡사지(大谷寺址)에 무너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1966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서 복원한 것이다. 2층으로 된 기단(基壇) 위에 다섯 층의 탑신(塔身)과 머리 장식인 상륜(相輪)을 올렸는데, 기단과 상륜은 탑을 옮길 때 새로 만들어 복원하였다. 탑의 높이는 3.2m로, 위로 갈수록 폭이 좁고 높아서 가파르면서도 고상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의 처마는 네 귀퉁이가 살짝 위로 뻗어 있어 처마의 곡선이 상승감과 함께 날렵함을 담고 있다. 지붕돌 윗면의 1단 굄과 3단으로 된 밑면의 받침은 신라 시대보다 약화되고 형식화된 고려시대 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제1층 몸돌의 네 면에 부조된 사천왕상 조각은 비록 정교하지는 않으나 각 천왕의 특징이 부드럽게 잘 표현되어 있다. 4층 몸돌에는 사리 장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네모난 구멍이 있다. 전체적으로 폭이 좁고 체감률이 적어 길쭉한 느낌이 들지만 깔끔한 구성이 돋보이는 아름다운 석탑이다. |
그렇다고 한다. 다시 보니 탑에 사천왕의 그림이 그려져있다.
이건 박물관 별관 뒷길을 따라 올라가서 찍은 석탑의 뒷부분이다. 이 뒷로 쭈욱 올라가면
그 뒷길(사유의 길)로 쭈욱 올라가면 생활환경대와 생활환경대 실험실습동이 바로 눈앞에 보이는 큰 도로가 나온다.
일반적인 대학이라는 인식답지 않게 이렇게 여러 군데에서 역사를 느낄 수 있는 흔적들이 남아 있다는 것 자체로 신선한 기분이 들었고, 또 새롭게 알게 된 장소가 있으면 답사를 해볼까한다.
참고로, 2023년 (구)자연과학관이 해체되며, 그 자리에 잔디광장(https://mspproject2023.tistory.com/2166)이 들어서게 된다. 그리고 이 오층석탑과 그 주변에 세워져 있던 유적들은 광장의 오른편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속보! 부산대학교 새벽뜰 정원과 잔디광장의 잔잔한 아름다움이 드러나다!
부산대학교 제1물리관과 제2물리관 왼편부터 자연과학관 부지박물관 입구까지의 공간은 한때는 주차장이었고, 또 한때는 흡연장이었던 곳이었고, 또 한때는 나무만 있던 휴식공간이었습니다.
mspproject2023.tistory.com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명수목원을 왔다면 꼭 가보면 좋을 맛집 서문국수와 유적 금정산성 서문 (0) | 2023.01.21 |
---|---|
지도에 기록되지 않지만 마음으로 기억해야 할 부산 금정구의 6.25 참전용사 기념비 (0) | 2023.01.20 |
한국 여성 독립운동가의 거목, 박차정 의사상 (0) | 2023.01.20 |
범어사 인근의 3.1 운동 유공비 (0) | 2023.01.20 |
문창대 - 이 땅에 문창성(文昌星)이 다시 빛나기를 바라며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