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를 일본어로 뭐라할까? 코코이모(孝子芋), 사쓰마이모(薩摩芋)의 유래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세계사, 세계문화

고구마를 일본어로 뭐라할까? 코코이모(孝子芋), 사쓰마이모(薩摩芋)의 유래

728x90

1. 고구마(sweet potato)

고구마의 꽃(좌측)과 우리가 흔히 먹는 고구마 뿌리(우측)

고구마 가지목 메꽃과 나팔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뿌리채소로, 뿌리에 녹말이 많고 단맛이 나는 혹줄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 뿌리의 혹줄기를 주로 '고구마'라고 부르며 먹는다.

공심채(좌측)와 나팔꽃(우측)

식물로써의 고구마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래했으며, 더위와 건조한 대기 환경에 강해 마른 땅에서도 잘 자란다. 잎은 공심채나 나팔꽃과 비슷하며, 그 꽃은 나팔꽃과 매우 유사하다. 그래서 아마 이 식물은 나팔꽃속에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2. 고구마 이름의 유래

2-1. '고구마'라는 이름의 유래

우리가 지금 고구마라고 부르는 작물은 중국의 <본초강목>에 기록된 '감저(甘藷)'라는 이름으로 조선에 처음 들어오게 된다. 이후 이 말은 감자와 같은 식물을 통칭하는 말로 쓰이다가, 결국은 지금의 '감자'라는 식물의 이름으로 쓰이게 되었다. 이 말이 전국적으로 퍼져 다양하게 부르게 되었는데, 각 지역에서 이 식물을 어떻게 부르는지 <'감자'와 '고구마'의 어원(김무림(강릉대학교 교수), 2009)>의 논문을 참고해 정리해봤다.

지역 '고구마'에 대한 명칭 '감자'에 대한 명칭
제주도 감제 지실
전라도 감자, 무시감자, 고구마 북감자, 하지감자
경상도 감자, 고구마, 고구메 감자, 감재, 북감자, 당감자
충청도 감자, 무시감자, 지주감자, 고구마 감자, 감재, 북감자, 하지감자
경기도 호감자, 고구마 감자
강원도 고구마 감자, 감재, 가지감자
황해도 호감자, 고구마 감자, 올감자, 감지
함경도 일본감재, 사탕감재, 고구마 감자, 감지, 감재
평안도 왜감재, 되감재, 양감재, 고구마, 디과 감지, 감재

지금도 '고구마'를 '고구마, 감자'와 같은 두가지 유형으로 부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고구마'라는 말은 어디에서 유래한걸까? 바로 조선시대에 쓰인 19세기에 쓰인 <물명고>와 18세기에 쓰인 <해사일기>에 나오는 구절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고금아

- <물명고(物名考, 1824)>

19세기에 쓰인 <물명고>에서는 해당 작물 [고금아]라고 부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名曰甘藷 或云孝子麻 倭音古貴爲麻
감저(甘藷)라고 부른다. 혹은 효자마(孝子麻)라고 하는데, 왜의 발음(倭音)으로는고귀위마(古貴爲麻)다.

- <해사일기((海槎日記, 1763~1764)>

그리고 이 말은 해당 작물을 쓰시마 방언(対馬方言)으로 [고귀위마]와 비슷한 발음으로 쓰였던 것을 알 수 있는데, 현재에도 쓰시마 방언에서 이 식물을 孝行芋[こうこういも /코우코우이모]라고 부르는 것에서 알 수 있듯 아마 이와 유사한 발음으로 계속 불려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2-2. '코코이모(孝行芋)'라는 이름의 유래

孝行[こうこう/코우코우]효행 즉, 부모를 잘 섬기는 행실을 말하며, 芋[いも/이모]식물의 뿌리나 땅속줄기가 비대해져 녹말과 같은 양분을 비축하는 식물들을 말한다. 여기에는 참마(ヤマノイモ), 토란(サトイモ), 고구마(サツマイモ), 감자(ジャガイモ) 등이 포함된다.

 

직역하면 '효행 감자(류)' 정도로 번역이 되는 孝行芋[こうこういも /코우코우이모]라는 말의 유래를 살펴보자.

벼농사가 어려웠던 쓰시마(対馬)에 1732년 쿄호 대기근(享保の大飢饉, 1732~1733)까지 덮쳐 백성들이 살기 어려워졌다.

이런 상황에서 마을의 젊은이들은 이 작물을 재배해 부모님께 가져다 드렸고, 그래서 이 작물이 '효행을 보여주는 작물'이라는 뜻에서 코코이모(孝行芋)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럼 그 이전에는 뭐라고 불렀을까?

 

2-3. '류큐이모(琉球薯)'와 '사쓰마이모(薩摩芋)'라는 이름의 유래

오키나와현에 위치한 노구니 총관상(野国総管の像) (출처 : Yoshi Canopus)

오래전 지금의 오키나와 본도에는 류큐 왕국이 자리잡고 있었다. 그 나라의 챠탄(北谷) 지역의 마기리(間切)에 노구니무라(野国村)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이 마을을 다스리던 직책을 노구니 총관(野國總管)이라고 한다.

 

1596년부터 1615년경에 이 직책을 맡고 있던 이름이 알려지지 않는 노구니 총관(野國總管)이 부임하고 있었는데, 해당 지역에 농민들이 가뭄으로 고통받는 것을 본 노구니 총관이 1605년, 명의 푸저우(福州) 지역에서 중국의 번서(蕃薯) 씨앗과 모종을 가져와 재배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그 마을 사람들은 번저(蕃薯)를 먹으며 배고픔을 이겨내게 되었고, 이 사실이 류큐 조정의 귀에 들어가자 사신들이 찾아와 그 재배 방법을 배우고 류큐 전체로 이 작물을 퍼트리며 번저(蕃薯)는 류큐 왕국의 대표적인 구황작물이 되었다. 이후 에도 막부는 대기근으로 발생한 기아를 막을 목적으로 이 류큐 지역에서 그 당시 널리 재배되고 있던 번저(蕃薯)를 류큐이모(琉球薯)라는 이름으로 일본 본토로 들여오게 되었다.

고구마(사쓰마이모)의 전래 과정 (지도 원출처 : https://rgm-79.tistory.com/703#comment14079156)

이떄 류큐에서 당시 사쓰마를 통해 들여왔기 때문에, 사쓰마로 들어온 이모라는 뜻에서 사쓰마이모(薩摩芋)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 말이 지금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참고로 시적인 의미로서의 고구마, 혹은 단순히 군고구마를 부를 땐 쥬산리(十三里)라고도 하는데, 이는 '밤보다 맛있다'라는 뜻의 栗よりうまい[쿠리요리우마이]라는 시적인 표현에서 유래했다. 이는 발음을 이용한 시적인 장난이라고 봐야하는데, '밤'을 뜻하는 栗[쿠리]가 '9리'라는 뜻의 九里[쿠리]와 발음이 같고, '~보다'라는 뜻의 부사 より[요리]는 '4리'라는 뜻의 四里[요리]와 발음이 같기 때문에, '9리 4리 맛있다'라는 식의 九里四里[쿠리요리]라고 적었다가 9+4=13이란 것에 착안해 '쥬산리(十三里)'라고 부르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표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고구마' 명칭 유래
번저 류큐이모
사쓰마이모 코코이모 고구마
사쓰마이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