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촌동생이 내게 물었다. '있잖아. 정월대보름은 왜 추석이 아니야? 추석도 보름에 있잖아!' 이에 대한 답변을 해주었고, 그 내용을 이 글에 정리했다. |
1. 추석이란?
추석(秋夕)을 직역하면 '가을 저녁'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음력 8월 15일의 가을 명절이다. 사전적으로는 단순히 특정한 날을 가리키는 말일뿐이지만일상적으로 추석하면 그 시기를 기념하는 전반적인 행사, 이동, 마음가짐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쓰인다.
이 시기가 돌아올 때쯤 1년 중 가장 큰 보름달이 뜬다. 그 달을 맞이하는 명절이 바로 추석이다. 그런데 추석이라고 달만 맞이하진 않는다. 음력 8월에는 슬슬 수확이 진행되고 있을 때라서 풍년이었다면 풍년을 축하하고 감사하며 햇곡식으로 밥이나 떡, 술을 빚어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며 조상의 은혜에 감사함을 표한다.
즉, 추석은 둥글고 크게 뜬 달 아래에서 농사가 잘된 것을 기념하는 8월의 명절이라고 재정의할 수 있겠다.
2. 추석의 다른 이름들
2-1. 가배, 가위, 한가위, 가윗날
ㄱㆍㅂㆍㅣ[가뵈] <ㄱㆍㅂ[中央]+-이[日]] : 가운뎃날> |
가배(嘉俳) | 가배 | |
가우(嘉優) | 가외 | 가위 |
우선 가배와 가위에 대해 살펴보자. 사실 이 두 단어는 같은 발음에서 유래했다. 글자 표현만 보면 다른 말 같지만, 가배에서 '배[vae/wae]'와 가위에서 '위[wui/vui]'는 음성학적으로 비슷한 말이기 때문이다. 직접 발음해 보면 알 수 있을 거다.
우선 '가운데'를 뜻하는 [갑]과 '날(日)'을 뜻하는 [이]가 합쳐 [가배] 혹은 [가우], [가외]라고 불리다가 오늘날 [가배] 혹은 [가위]라고 불리게 됐다. 즉, 가배와 가위는 '가운뎃날'이라는 뜻을 가진다. 그 외에도 이 단어들이 '갚다(價報)'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으니 참고만 하자.
이 '가운뎃날' 가배가 한국사에서 최초로 기록된 건 <삼국사기>인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왕이 이미 6부(六部)를 정하고 나서 이를 반씩 둘로 나누어 왕의 딸 2명으로 하여금 각각 부 내의 여자들을 거느리고 무리를 나누어 편을 짜서 가을 7월 16일부터 매일 아침 일찍 대부(大部)의 뜰에 모여서 길쌈을 하도록 하여 밤 10시 무렵에 마쳤는데,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이 많고 적음을 따져 진 쪽은 술과 음식을 차려 이긴 쪽에게 사례하였다. 여기에서 노래와 춤과 온갖 놀이(歌舞百戲)가 모두 벌어졌으니, 그것을 일러 가배(嘉俳)라고 하였다. 이때 진 쪽에서 한 여자가 일어나 춤추며 탄식하면서 말하기를, '회소(會蘇) 회소(會蘇)'라고 하였는데, 그 소리가 슬프고도 아름다워 후대 사람들이 그 소리에서 말미암아 노래를 지으니, 회소곡(會蘇曲)이라고 이름 지었다.
- <삼국사기><신라본기 1><유리이사금 9년>
2-2. 중추절
중추절이라는 말이 추석의 한자어로 쓰이는데, 이는 사실 중국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그래서 그런가 중국어 사전에서 추석을 '한국의 중추절(韓國的中秋節)'이라고 표현한다.
仲秋之月養衰老,行糜粥飲食
중추(仲秋)의 달에 노쇠한 늙은이를 봉양하여, 미죽(糜粥, 죽, 미음류)을 마시고 먹게 한다.
- <주례><예기-월령편>
중국에서 중추(仲秋)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문구는 <주례>에서 찾을 수 있다.
三代之禮, 天子春朝朝日, 秋暮夕月, 祭日東壇, 祭月西壇
3대(하, 은, 주)의 예에 천자는 봄날에는 아침해(朝日)에 가을저녁에는 저녁달(夕月)에게 (제를 지내는데), 해에게 하는 제사는 동단(東壇)에서, 달에게 하는 제사는 서단(西壇)에서 한다.
- <대대례기(주례의 한 종류)><보부>
이미 하은주 시대의 지배층에서는 가을날 저녁에 달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한 것을 알 수 있어, 민간과 궁중에서 노인에게 죽을 먹이는 행사 말고도 제사를 지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다 한나라 때에 널리 보급되었고, 당송시대 때에 정형화되기 시작했다.
中秋夜,南京人必赏月,合家赏月称為慶團圓,團坐聚飮稱為團月,出游待市称為‘走月
중추 밤에는 남경(南京) 사람들은 반드시 달을 감상하는데, 온 가족이 모여 달을 보는 것을 경단원(慶團圓)이라 하고, 둥글게 앉아 (술 등을) 마시는 것을 단월(團月)이라고 하며, 저자에 나가 놀며 달을 보는 것을 주월(走月)이라고 한다.
- <정덕강녕현지(正德江寧縣志, 1598)>
그 결과 명나라 땐 이미 달을 보는 풍습이 보편화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중국에서의 중추(中秋)는 '음력 8월'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런 중국의 중추(中秋)라는 말은 한반도에도 유입되며, 한반도 실정에 맞게 '음력 8월 15일'이라는 의미로 축소되었다.
"전에 (왕실의) 외가 분묘에 봉제(奉祭, 제사를 받듬)하는 것을 그 자손으로 하여금 책임지고 맡게 하여, 1년에 정월 초하루와 한식·단오·중추(中秋)·동지(冬至)·납향(臘享) 등 여섯 명절에 제사하게 하고, 친히 다하면 5, 6대 손이 제사를 받들고, 혹은 직손이 아닌 족손이 제사를 받드는 것은 편치 않사오니, 시속의 예에 따라 1년에 정월 초하루와 한식·단오·중추의 네 명절에 그 직손으로 하여금 제사하게 하고, 증조·고조 이상은 일체 덕릉(德陵)·안릉(安陵)의 예에 의하여 매년 한식제(寒食祭)만을 지내게 하소서."
- <세종실록><세종6년(1424년)><9월 17일조>
조선에서도 일찍이 조상에게 공경하는 문화를 이어왔고, 그중 중추에도 이러한 제사를 왕족들부터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중추절이라는 말이 우리나라에서 추석의 한자어로 쓰이기 시작했다.
2-3. 팔월대보름
사실 팔월대보름은 널리 쓰는 말은 아니다. 이 말은 단순히 정월대보름의 어순을 추석에 끌고 왔을 뿐인 단어로,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졌다. 단어의 뜻은 음력 8월 15일이다.
3. 정월대보름은?
정월대보름은 음력 정월 보름날을 말하는데, 여기서 정월(正月)은 음력 1월을 말한다. 즉 팔월대보름(추석)과 일은 15일로 같지만, 월이 다르다. 이 때는 음력으로 한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이며, 그렇기에 예부터 팥죽, 부럼, 약밥 등을 먹거나, 달맞이, 달집 태우기, 쥐불놀이 같은 민속놀이를 해왔다.
지금까지 정월대보름과 추석의 차이, 그리고 추석의 다양한 이름들을 정리했다. 그러면서 어른이 되면서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명절 개념이 그걸 배우지 못한 사람에게는 없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래서 혹시 누군가 어떤 정보를 모르는데 내가 아는 정보라면 더욱더 자세히 필요한 만큼 가르쳐줄 마음도 다시 잡게 되었다.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성 부설비를 찾아가다. (0) | 2022.10.12 |
---|---|
동래 사람들의 항일투쟁을 엿볼 수 있는 영보단비 (0) | 2022.09.27 |
미국은 신미양요를 어떻게 봤을까? (0) | 2022.06.22 |
부산 연꽃 명소 - 두구동 연꽃소류지 (0) | 2022.05.31 |
건준이 걸어온 길, 조선인민공화국의 건설과 폐망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