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은 중국에서 신해혁명 100주년인 특별한 해다. 이를 기념하여 <적벽대전> 시리즈로 유명한 장려(張黎) 감독과 홍콩의 대배우 성룡(成龍) 등이 모여 <신해혁명(辛亥革命)>을 제작했다. 이 영화를 보며 중국 현대사의 갈피를 조금 잡을 수 있었는데, 교과서에서 배웠던 내용을 기억해보면, '쓰촨 봉기를 시작으로 일어난 신해 혁명으로 이듬해 1912년 청이 멸망했고, 신해혁명을 이끈 쑨원이 임시 대총통으로 취임했으나 곧 위안스카이가 권력을 차지하며 철권 통치를 시작하게 되었다'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다.
이런 단편적인 흐름 속에서 여러 궁금증들이 생겼는데 <신해혁명>은 그에 대한 답을 제시해준 영화였다. 이 영화는 신해혁명의 의의를 다시 한번 상고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며, 신해혁명 전후의 중국의 상황, 근대 중국의 역사의 이해도를 높이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제 이 영화에 나왔던 신해혁명과 그 전후의 사건들을 정리하겠다.
1840~1842 | 제1차 아편전쟁 | 청나라의 아편 단속을 빌미로 한 영국이 청을 침략하며 일어난 이 전쟁은 중국 동부 해안이 주 무대였으며, 결국 청은 영국에게 패배하게 된다. 이로 인해 청은 난징 조약을 맺게 되었으며, 중화 사상이 약화되었고, 청의 백성들은 많은 세금을 부담하게 되어 청 정부에 반기를 들기 시작했다. |
1842.08.29. | <난징조약> | 제1차 아편전쟁에서 패한 청은 난징 조약을 통해 홍콩을 영국에게 할양하게 된다. |
1848~1879 | 홍순당 (洪順堂) |
184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청조에 반기를 든 한족 비밀결사의 하나인 홍문(洪门)에 의해 설립한다. 1879년, 샌프란시스코시에 비영리기구로 등록했지만, 이를 청정부가 방해했고 결국 치공당으로 개명했다. |
1856.02.29. | 오귀스트 샤프들랭(Auguste Chapdelaine) 처형 사건 | 청 광시성에서 선교 활동을 하다가 2월 25일에 중국 관원들에게 잡혔고 4일 뒤인 29일 처형당했다. 프랑스는 이 사건을 계기로 제2차 아편전쟁에 참가하게 된다. |
1856.10.08. |
애로호 사건(애로우호 사건) | 청 광저우 앞 주강에 정박핸있던 중국인 소유의 영국 상선 애로우호(Arrow)에 청나라 관원에 의해 승무원 전원이 체포되고 영국 국기가 바다에 버려진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애로우호 전쟁'이라고도 불리는 제2차 아편전쟁이 발발한다. |
1856~1860 | 제2차 아편전쟁 | 애로호 사건을 빌미로 영국이 프랑스와 합세하여 청을 완패시킨 전쟁. 이 전쟁으로 중국은 <베이징 조약>과 <톈진 조약>을 맺게 된다. |
1858.06.13. | <청-러 톈진 조약> | 러시아 함선 정박 허가 상하이, 닝보(宁波), 푸저우(福州), 샤먼(厦门), 광저우, 타이완, 치옹저우(琼州) 개항 러시아와의 육로 통상 확대 및 제한 해제 러시아인의 범죄는 양국이 함께 조사하나 러시아법에 따라 처리 러시아의 선교 활동 허가 청 내의 열강 특권은 러시아만 누릴 수 없음 국경 문제 정리 |
1858.06.18. | <청-미 톈진 조약> | 앞으로 외국과 청이 맺는 조약에 대한 특권은 미국도 누릴 수 있음 청은 미국 관선 및 청내 미국인에 대한 보호의 의무를 가짐 차오저우(潮州), 타이난(台南)을 개항하며, 해당 지역에 미국인 임차지를 설치 미국인은 중국인을 고용할 수 있으며, 영어를 가르칠 것 미국 선교사의 선교 보호 |
1858.06.26. | <청-영 톈진 조약> | 뉴좡(牛莊), 덩저우(登州), 타이완, 단수이(淡水), 다거우(打狗), 지룽(雞籠), 차오저우(潮州), 충저우(瓊州), 난징, 전장(鎮江), 한커우(漢口), 주장(九江) 개항할 것 영국 및 프랑스인의 선교의 자유 보장 영국 및 프랑스 상선은 장강(長江) 각 지역을 왕래할 수 있음 영국 및 프랑스는 영사재판권을 가짐 관세는 쌍방이 결정하며 10년마다 개정 쌍방은 서로 공사를 파견하며, 외국인 공사는 베이징에 머무를 수 있음 아편은 양약(洋藥)으로 개칭하여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으며, 세관에서 영국인을 초빙하여 세무 처리를 할 것. 개정 세칙은 직백추오(值百抽五, 5%)를 원칙으로 한다. |
1858.06.27. | <청-프 톈진 조약> | |
1860.10.24. | <청-영 베이징 조약> | 가우룽(九龍, 주룽)을 영국에게 할양 톈진 개항 확대 <청-영 톈진 조약>에서의 배상액 수정. 청은 800만 량(兩)의 배상금을 지불할 것 서방 선교사들의 청 내 토지 임차 및 교회 건설 인정 외국 상인의 한인 고용 가능(주로 쿨리(coolie)로 이용되었다.) |
1860.10.25. | <청-프 베이징 조약> | <청-프 톈진 조약>에서의 배상액 수정. 청은 800만 량(兩)의 배상금을 지불할 것 청이 몰수했던 천주교 재산의 반환 프랑스 선교사들의 청 내 토지 임차 및 교회 건설 인정(특이한 것은 이 조항이 프랑스어판 조약에는 적혀 있지 않다!) 다롄(大連) 개항 확대 |
1860.11.14. | <청-러 베이징 조약> | <아이훈 조약(愛琿條約)>의 유효성 인정 청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관리하던 우수리강(乌苏里江, 오소리강) 유역 40만km2를 러시아에게 영구 귀속할 것 장자커우(张家口), 쿠룬(庫倫, 울란바토르), 카스가얼(喀什噶爾, 카슈가르) 개항 확대 |
1879~1925 | 치공당 (致公堂) |
전신은 홍순당. 1903년, 황삼덕(黃三德)은 호놀룰루 국안회관(檀香山國安會館)에 '쑨원을 가입시켜라'는 글을 작성해서 보냈고, 이듬해인 1904년, 쑨원은 호놀룰루 국안회관에 가입한다. 1911년 5월, 샌프란시스코에서 홍문주향국(洪门籌餉局) 조국. 이를 계기로 중국동맹회 회원들을 대거 모집하는데 성공한다. 1925년 10월 10일, 미국 센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오주홍문간친대회(五洲洪門懇親大會)에서 치공당을 개편하여 중국치공당(中國致公黨) 결성하게 되었다. |
1911.04.27. | 황화강 사건 (黃花崗起義) |
1911년 4월 27일, 청나라 광저우에서 자오성(赵声), 황싱(黄兴)에서 일어난 봉기. 당시 양광 총독이었던 장밍치(張鳴岐)는 탈출에 성공했고, 봉기 자체는 실패로 돌아간다. |
1911.10.09. | 폭발사고로 인해 한커우 비밀조직이 거사 전에 청정부에게 발각되었다. 청조는 계엄령을 내려 펑추판(彭楚藩), 류푸지(劉復基), 양홍성(楊宏勝)을 체포해 참수했다. | |
1911.10.10.~1911.10.12 | 우창 봉기 (武昌起義) |
1911년 10월 10일 청나라 후베이성 우창에서 일어난 반청봉기. 신군의 제8공청 8군영에서 울린 혁명군 병사의 총성을 시작으로 청조를 타도하기 위한 봉기가 시작되었다. 하루만에 동맹회가 결정적 승리를 거두었고, 12일에는 핵심 지역인 우한 3진(武漢三鎮, 우창, 한양, 한커우 지역)을 손에 넣으며, 신해혁명의 시발점이 된다. |
1911.10.11~1912.01.01 | 중화민국 군정부 악군도독부 (中華民國軍政府鄂軍都督府) |
1911년 10월 13일, 도독부가 설치되면서 리위한홍(黎元洪)이 중화민국 군정부 악군도독(中華民國軍政府鄂軍都督)을 반강제적으로 임명된다. |
1911.10.27. | 1911년 10월 27일, 위안스카이는 흠차대신으로 위임된다. 그는 즉시 전 병권을 장악했고, 펑궈장(冯国璋)과 돤치루이를 한커우로 보내혁명군을 공격케 했고, 한커우를 함락시킨다. | |
1911.10.28. | 베이징에서 다음 혁명의 준비를 논의하고있던 황싱은 한커우의 초청을 받고 그곳에서 중화민국 군정부 전시 사령관(中华民国军政府战时总司令)으로 부임하여 한 달여간 전투를 지휘했다. | |
1911.11.08.~1911.11.12 | 난징 봉기 (南京起義) |
우한으로 몰리는 청정부의 입김을 막고, 혁명의 불길을 널리 펴기 위해 혁명군은 난징을 침공하고 봉기에 성공하는데 이는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난징에 세워지는 계기가 된다. |
1911.11.16~1912.02.12 | 청나라 내각총리대신 위안스카이 | 이 기간동안 위안스카이는 청나라 2대 내각총리대신으로 부임했다. |
1911.11.27 | 한양 함락 | 중화민국 군정부 악군도독부 한양이 함락되면서 혁명군은 우창으로 후퇴한다. |
1911.12.07. | 남북의화 (南北議和) |
청조는 위안스카이를 의화전권대신(議和全權大臣)로 임명했다. 곧 위안스카이는 탕샤오이(唐绍仪)를 전권대신으로 임명하여 협상을 위해 남쪽으로 그를 보낸다. |
1911.12.09. | 중화민국 군정부는 우팅팡(伍廷芳)을 총대표로 공천해 탕샤오이와 담판을 준비한다. | |
1911.12.11. | 탕샤오이가 남북의화를 위해 입국하고, 혁명군 정부에게 상하이에서 회담을 하자고 제의한다. | |
1911.12.18. | 우팅팡과 탕샤오이는 상하이 영국 조계지 난징루(南京路, 남경로)의 공부국(工部局)에서 만나 첫 회의를 개최했다. 우팅팡 "청조의 황제가 물러나고 총통을 선출할 것. 공화정부 수립을 할 것!" 탕샤오이 "이에 대해 답할 가치를 느끼지 못함. 청조는 입헌군주제 체제로 재수립해야함" |
|
1911.12.20. | 두번째 회의를 개최했지만 큰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영국, 미국, 일본, 러시아, 독일, 프랑스 6개국은 중국 양측에게 "중국이 계속 투쟁하는 것은 중국 자체뿐 아니라 외부인의 생명과 재산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빨리 화해를 해달라는 내용인 것이다. |
|
1911.12.21. | 쑨원이 홍콩으로 귀국했다. | |
1911.12.29. | 혁명군은 임시대총통 선거를 열었고 툭표는 각 성이 1표씩 투표하며, 3분의 2 이상 표를 차지한 사람이 임시대총통에 당선되는 것으로 정했다. 이 선거에서 쑨원이 난징정부 초대 임시대총통에 당선되었다. 위안스카이는 이로 인해 혁명공화정이 승세할 것이라 보고 청조를 타도하기로 결심했다. | |
1911.12.29.~1911.12.31. | 세번째 회의~다섯번째 회의. 안팎의 협박에 혁명세력이 양보하자 쑨원은 청나라가 물러나고 위안스카이가 공화정에 찬성하면 위안스카이를 대총통으로 선출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
|
1912.01.01.~ | 중화민국(中華民國) | 중화민국 난징 정부(1912.01.01.~1913.10.10.) 중화민국 베이양 정부(1913.10.10.~1928.12.29.) 중화민국 국민정부(1925.07.01.~1948.05.20.) 중화민국 정부(1948.05.20~) |
1912.01.11. | 위안스카이는 군사적 상황이 급박하다며 청조의 왕실과 대신에게 청을 위해(실은 자신의 군대를 위해) 모든 재산을 기부할 것을 제안했고, 이 제안이 받아들여져 청조의 국고는 점점 바닥나기 시작한다. | |
1912.01.26. | <단기서등요구공화 제1전> ((段祺瑞等要求共和第一電)) |
1912년 1월 26일, 위안스카이의 지시로 돤치루이(段祺瑞)와 47명의 장군들은 청 내각, 군자부(軍諮府), 육군부(陸軍部)와 각 왕부대신(王公大臣)들에게 '공화 정부가 이미 청나라 황실 및 소수민족에 대한 우대 조건을 수락했음'을 알리며 '공화정을 즉시 세우라'는 압박 전화를 걸었다. |
1912.02.02. | <북양 오십장걸 공화전> ((北洋五十將乞共和電)) |
1912년 2월 2일, 위안스카이의 지시로 돤치루이는 49명의 문무대원들과 '북양군 50장걸은 공화국을 수립하라고 요구한다'는 내용의 전화를 한 번 더 각 부처에 돌렸다. |
1912.02.11. | 위안스카이는 난징 임시정부에게 청 황제의 퇴위를 알리는 전보를 쳤다. | |
1912.02.12. | 청, <선통제퇴위조서(宣統帝退位詔書)> 발표 (참고 : https://mspproject2023.tistory.com/340) |
청나라는 공식적으로 멸망한다. |
1912.02.12.~1924.11.05. | 청나라 소조정(遜清皇室小朝廷) | |
1912.02.13. | 쑨원은 중화민국 난징정부 임시 대총통직을 떠났고, 그 자리는 위안스카이에게 양위되었지만, 공식적으로 해당직에서 4월 1일에 해임된다. |
영화는 여기서 끝이 난다. 분명 생략된 사건도 많고 과장된 부분도 있을 것이지만 개략적인 청의 멸망부터 중화민국의 개국까지의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었다. 이후 군벌시대가 시작되고, 국공내전이 발발한다. 결국 권력을 가진 한 사람이 중화를 지배하게 되고 현재 중국 대륙은 1당 체제로 운용되고 있다. 이는 쑨원이 바라던 바는 아니었지만 민중의 평안한 삶을 꿈꿨던 사람이 중국에 한 명이라도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그로 인해 혁명이라는 거대한 물결이 일렁인 것도 보았다. 앞으로 중국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겠지만, 국민들의 행복과 세계의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지도자가 나가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치겠다.
신해혁명은 새로운 중국을 수립하여 반식민지, 반봉건사회와 민중의 비극을 끝냈다. 이후 인민 혁명의 물결이 일었고 중국 공산당은 쑨원의 혁명 사상을 계승했다.응??
- <신해혁명>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세계사, 세계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스토크 호수 (0) | 2021.09.12 |
---|---|
보이지 않는 모래섬, 샌디 아일랜드 (0) | 2021.09.06 |
옛 사람들의 이름은 왜 이렇게 다양한가? - 자와 명의 차이 (0) | 2021.07.08 |
선통제가 퇴위함으로 중국의 군주제가 무너지다 (0) | 2021.07.07 |
역대 주요 중화인민공화국 지도자 변천표(2021년 7월 1일 기준)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