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 신화, 종교에 나오는 개념 정리
본문 바로가기

용어 정리, 이슈/사회&문화&일상

민속, 신화, 종교에 나오는 개념 정리

728x90
일상속에서 배운 단어들(https://mspproject2023.tistory.com/234) 중에서 민속, 민간신앙, 종교와 연관된 개념들을 따로 정리한 글이다. 일상속에서 흔히 쓰는 단어라도 어원이 민속적 개념에 해당하면 여기다 기록한다.

불교와 관련된 용어는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1569)을 참고해주세요~

 

가네샤 (출처 : bhaskar.com)

गणेश [가네샤]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인도 신화에 나오는 인간의 몸에 코끼리의 머리를 지닌 모습을 한 채식주의 신. 산스크리트어로, '군중, (시바 신의) 하인들'이란 뜻의 गण [가나]와 '소유하는, 소유자'란 뜻의 ईश [이샤]가 합친 것으로 '시바 신의 하인들의 주인'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가호(加護)

(신 또는 부처가 힘을 베풀어) 보호하여(護) 도와줌(加)

간지(干支)

10개의 천간(天干)과 12개의 지지(地支)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지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강철이 (출처 : http://www.mohae.kr/)

강철이 [強鐵-]

지나가기만 하면 초목이나 곡식이 다 말라 죽는다고 하는 전설상의 악독한 용. 불의 속성을 가졌으며, 이무기의 한 종류이다.

거구귀 (출처 : http://egloos.zum.com/lsm20418/v/2921464)

거구귀(巨口鬼)

윗입술이 하늘에 닿고 아래 입술은 땅에 닿을 정도로 거대한 입을 가진 요괴. 비범한 사람(신숙주 등)을 만나면 청의동자로 변신해 그를 보좌하고 수호한다고 한다.

거대하(巨大蝦)

크고 깊은 바다에서 사는 커다란 나무 기둥을 닮은 뿔 2개를 가지고 있는 거대한 새우. 새가 반나절동안 날아야 두 뿔의 끝에서 끝에 다다를 수 있을 정도로 크다고 한다.

 

걸립패(乞粒牌)

동네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집집마다 다니면서 풍악을 울려 주고 돈이나 곡식을 얻기 위하여 조직한 무리

 

경조(敬弔)

죽은 이를 존경하는 마음으로 조의(弔意)를 표함.

 
곤(鯤)

<장자><소요유>에 등장하는 상상속의 거대한 물고기. 북해에 살며 크기가 몇 천 리나 되는 거대한 물고기로, 이후 새 붕(鵬)으로 변하게 된다.

곰신

곰의 형상을 한 신. 혹은 곰의 신. '웅신(熊神)'이라고도 한다.


괴력난신(怪力亂神)

괴이(怪異)와 용력(勇力)과 패란(悖亂)과 귀신에 관한 일. 이성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불가사의한 존재나 현상.

'구요'라고도 불리는 '나바그라하' (출처 : Raja Ravi Varma)

구요(九曜)

칠요와 나후(羅喉, 달의 강교점), 계도(計都, 달의 승교점). '구요성(九曜星)'이라고도 한다.
ㄴ '9개의 행성'이라는 뜻의 नवग्रह[나바그라하]에서 유래했으며, '9'라는 뜻의 नवन्[나반]와 '행성'이라는 뜻의 ग्रह[그라하]의 합성어다.

18세기 가쓰시카 호쿠사이가 그린 구천현녀 (출처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구천현녀(九天玄女)

중국신화 및 도교에 등장하는 전쟁의 여신

궁합(宮合)

혼인할 남녀의 사주를 오행에 맞추어 보아 부부로서의 좋고 나쁨을 알아보는 점

귀도(鬼道)

1) 기괴한 술법

2) 귀신이 다니는 길

 

귀문(鬼門)

1) 동북쪽(남쪽의 둘째 별자리인 귀성이 있다는 방위. 점술가들이 귀신이 드나든다 하여 꺼리는 방위)

2) 음양설에서 여러 귀신이 출입하는 곳

3) 사람이 길을 떠나거나 집 따위를 고치는 경우 싫어하는 방향

4) 죽어서 저승으로 들어가는 문

 

귀성(鬼星)

28수 가운데 스물셋째 별자리의 별들. 대한(大寒) 때, 해가 뜨고 질 때에 정남쪽에 나타남.

귀수산(龜首山)

거북머리(龜首) 모양을 한 산(山)이라는 뜻으로, 바다에 살며 등에 산과 숲이 조성되어 있어 섬이나 암초처럼 보이는 거북. 신라의 신문왕은 이 거북의 등에 있던 대나무 2대를 잘라 만파식적을 만들었다.

 

근조(謹弔)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삼가 슬픈 마음을 나타냄

 

금왕지절(金旺之節)

오행에서, 금기(金氣)가 왕성한 절기, 가을철.

 

기수(氣數)

저절로 오고 가고 한다는 길흉화복의 운수

 

기신제(忌晨祭)

해마다 사람이 죽은 날에 지내는 제사(祭). '기일제(忌日祭), 기제(忌祭), 기제사(忌祭祀)'라고도 한다.

 

기일(忌日)

불길하다고 꺼리는() 날(日), 해마다 돌아오는 제삿날

 

коще́й [까쉐이/코셰이]

동슬라브 신화와 구전문학에 등장하는 추악한 발가벗은 노인의 모습을 한 악인으로, 주로 젊은 여성을 덮친다. '불사신 까쉐이(Коще́й Бессме́ртный)'라고도 한다. 육체와 생명력이 분리되어 있고, 그것들을 바늘의 구멍 안이나 알에다가 숨겨놓았기에, 보통의 방법으론 죽일 수 없다고 한다.

 

날받이

이사나 결혼 따위의 큰일을 치르기 위하여 길흉을 따져 날을 가려 정하는 일. '연일(練日)'이라고도 한다.


사람의 몸에 있으면서 몸을 거느리고 정신을 다스리는 비물질적이면서 초자연적인 것. 혼과 백으로 구성된다.

넋굿

죽은 사람의 넋이 저승에 잘 가기를 비는 굿

 

노잣돈 [路資-]

죽은 사람이 저승길에 편히 가라고 상여 등에 꽂아 주는 돈

<백괴도권(百怪図巻)>에서 묘사된 누레온나 (출처 :&nbsp; 百怪図巻)

濡女 [누레온나]

강과 바다에서 출연하는 대부분 인간을 먹고 산다고 전하며 특히 뱀의 몸에 여자의 얼굴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는 일본의 요괴. '누레요메죠'라고도 한다.

니우 헤이마르 (출처 : westcoastpagan.com/)

Níu Heimar [니우 헤이마르]

고대 노르드어로 '9개의 집(세계)'라는 뜻으로, 노르드 신화에서 세계수 위그드라실에 붙어 있다고 여겨지는 9개의 세계.

다쥐보그 (출처 : russian-history)

Дажьбог [다쥐보크/다지보그]

동슬라브 신화에서, 태양신이자 다산과 풍요의 신, 결혼식의 축복자로, 그 자체는 '태양'으로 여겨진다. 그리스로마 신화의 '아폴론+비너스'의 신격과 비슷하다. 


당사주(唐四柱)

당나라에서 들여온 당사주책을 이용하여 사람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사주

 

대림시기(待臨時期, Advent)

크리스트교에서 예수 성탄 대축일을 준비하고 기다리는 성탄 전 4주간의 기간(11/27~12/3내 주일~12/24)
 

도참(圖讖)

직역하면 '예언(讖) 그림(圖)'이란 뜻으로, 미래의 길흉(吉凶)에 관하여 예언하는 술법이나 또는 그러한 내용이 적힌 책. <미래기>, <정감록> 등을 일컫는다. 

 

동맹(東盟)

고구려 때에, 해마다 10월에 지내던 제천 의식. 온 나라 백성이 추수에 대한 감사로 하늘에 제사하고 춤과 노래로 즐기었다.

 

동티[動土]

땅, 돌, 나무 따위를 잘못 건드려 지신(地神)을 화나게 하여 재앙을 받는 일. 또는 그 재앙.


Día de los Muertos [디아 데 로스 무에르토스]

망자의 날.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죽은 친지나 친구를 기억하면서 명복을 비는 멕시코의 기념일

diablo [디아블로]

악마(devil)

로트와 라자니짜. 앞에 있는 자가 '로트'다. (출처 : Андрей Алексеевич Шишкин)

Род [로트]

동슬라브 신화에서의 남성 창조신

로트와 라자니짜. 뒤에 있는 자들이 '로자니차'다. (출처 : Андрей Алексеевич Шишкин)

Рожаница [라자니짜/라자니차]

동슬라브 신화에서의 여성 창조신. '로자니차'라고도 한다.

 

마마신(媽媽神)

1) 천연두의 신

2) 홍역의 신

 

매장(埋葬)

시체나 유골 따위를 땅속에 묻음.


명리(命理)

하늘이 내린 목숨(命)과 자연의 이치(理)

 

명복(名卜)

이름난 점쟁이

 

명복(冥福)

1) 죽은 뒤 저승에서 받는 복

2) 죽은 뒤에 받는 복덕

 

명상(冥想/瞑想)

고요히 눈을 감고 깊이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物の怪 [もののけ/모노노케]

사람에게 들러붙어 앙갚음(祟り)을 하는 사령(死霊), 생령(生き霊), 요괴(妖怪)류

모켈레 음벰베 목격담을 따라 그린 그림

Mokèlé-mbèmbé [모켈레 음벰베]

링갈라어로 '무지개'라는 뜻으로, 아프리카 콩고 분지에 산다고 여겨지는 하마와 비슷한 크기의 용각류형 동물

여신 모까쉬 (출처 : dzen.ru)

Мо́кошь [모까쉬/모카]

동슬라브 신화에서 물, 땅, 풍요를 관장하는 여신

목왕지절(木旺之節)

오행에서, 목기(木氣)가 왕성한 절기, 봄철.

1) 사람의 무덤

2) 산(山)

묘두사(猫頭蛇)

새끼 고양이 머리를 한 뱀. 치유 효과가 있는 푸른 연기를 내뿜는데, 이 연기를 쇠면 병이 치료되고 건강해진다고 하며, 새들이 이를 숭배한다고 한다.

무꾸리

무당이나 판수에게 가서 길흉을 알아보거나 무당이나 판수가 길흉을 점침. 또는 그 무당이나 판수.
ㄴ '묻그리'에서 유래했다.

무녀(巫女)

여자 무당. '여무(女巫), 암무당, 만신(萬神), 안복실, 호세미, 선거리'라고도 한다.

무당

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무천(舞天/儛天)

동예를 포함한 예(濊)에서 농사를 마치고 음력 시월에 행하던 제천 의식.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춤, 노래 따위를 즐겼다.

 

묵상(默想)

크리스트교에서 말없이 마음속으로 기도를 드리는 것

 

문상(問喪)

남의 죽음에 대하여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喪主)를 위문함(). 또는 그 위문(). '조문(), 조상(弔喪), 조위(弔慰)'라고도 한다.

 

박수

남자 무당. '박수무당, 할보무당, 적각, 판수, 남무(男巫), 단공(端公)'이라고도 한다.

 

발인(發靷)

장례를 지내러 가기 위하여 상여 따위가 집에서 떠남. 또는 그런 절차.

 

발인식(發靷式)

장례에서, 상여가 빈소를 떠나 묘지로 갈 때 치르는 의식

 

발인일(發靷日)

장례를 지내러 가기 위하여 상여 따위가 집에서 떠나는 날

발할라의 외관 (출처 : Max Br&amp;uuml;ckner)

Valhalla [발할라]

오딘이 지은 아스가르드에 있는 장엄하고 거대한 구멍이자 궁전
ㄴ '죽은 전사(valr)들의 구멍(hǫll)'이라는 뜻의 Valhǫll[발헐]에서 유래했다.

 

방위(方位)

음양(陰陽), 오행(五行), 간지(干支), 팔괘(八卦) 따위를 배치하여 사람의 길흉화복과 결부시킨 방향


백(魄)

넋에서 음에 속하는 부분. 사람이 죽으면 넋에서 떼어져 나와 땅에 묻힌다.

 

백골양자(白骨養子)

이미 죽은 사람을 양자로 삼아 대를 잇는 일. 또는 그 양자. '사당양자(祠堂養子), 신주양자(神主養子), 신주출후(神主出後)'라고도 한다.

아테프(Atef)라는 왕관을 쓰고 있는 벤누

Bennu [벤누]

회색 왜가리 혹은 푸른색 매의 형상을 하고 있는 라의 영혼. 500년에 한번씩 페르시아에 나타난다고 하며, 머리 꼭대기에 2개의 긴 깃털을 가지고 있었고 종종 왕관을 썼다고도 한다. '베누(benu)'라고도 한다.

 

변상(變喪)

1) 변고로 인하여 생긴 상사(喪事).

2) 참척(慘慽)

 

복채(卜債)

점을 쳐 준 값으로 점쟁이에게 주는 돈. '복차'라고도 한다.

 

봉안(奉安)

1) 신주(神主)나 화상(畫像)을 받들어 모심. '안치(安置)'라고도 한다.

2) 시신을 화장하여 그 유골을 그릇이나 봉안당에 모심. '안치(安置)'라고도 한다.

 

부고(訃告)

사람의 죽음을 알림. 또는 그런 글. '부보(訃報)'라고도 한다.

 

부문(訃聞)

사람이 죽었다는 소식

 

부음(訃音)

사람이 죽었다는 것을 알리는 말이나 글

 

부의(賻儀)

상가(喪家)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또는 그런 일. '전의(奠儀)'라고도 하며, '부의금(賻儀金), 지초(紙草), 지촉(紙燭)' 등이 포함된다.

 

부의금(賻儀金)

부의로 보내는 돈. '부의전(賻儀錢)'이라고도 한다.

 

부활절(復活節, Easter, Pascha)

크리스트교에서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는 축일

불가사리

고려 말 한반도 지역에서 닥치는 대로 쇠를 먹으며 계속 성장하여 나중에는 절대 죽일 수 없거나 불로만 죽일 수 있게 되는 대형 괴물
ㄴ '죽일 수 없는 것'이라는 뜻의 불가살이(不可殺伊)에서 유래했다.

불사조(不死鳥)

영원히 죽지 않는다는 전설의 새

 

붕(鵬)

<장자><소요유>에 등장하는 상상속의 곤(鯤)이 변신한 새

 

비나리

1) 걸립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2) 걸립패가 마지막으로 행하는 마당굿에서 곡식과 돈을 상 위에 받아 놓고 외는 고사 문서. 또는 그것을 외는 사람

 

비나리쇠

걸립패의 풍물재비

ㄴ '걸립패를 '비나리패'라고도 부르는 것에서 유래


비방술(秘方術)

비밀스러운(秘) 방법(方)으로 목적을 달성하는 술수(術)

Белобог [빌라보크/벨로보그]

슬라브 신화에서의 빛의 신. '벨로보그'라고도 하며, '흰 신(белый бог)'이라는 뜻이다.

빙의(憑依)

영혼이 옮겨 붙음

페룬 (출처 : russian-history)

Перу́н [삐룬/페룬]

- 동슬라브 신화에서 천둥과 번개의 신이자 징벌의 신이면서 전사와 드루지나(공 친위대)의 수호신으로, 동슬라브 신화의 엄연한 최고 신으로, 그리스로마 신화의 제우스에 비견된다.


사단(四端) : 유교에서,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
ㄴ 측은지심(촉발체 : 인(仁)), 수오지심(촉발체 : 의(義)), 사양지심(촉발체 : 예(禮)), 시비지심(촉발체 : 지(智))

사순시기(四旬時期, Lent, Quadragesima)

크리스트교에서 부활 주일 전 40일 동안의 기간(재의 수요일~성주간 목요일)

사여(四餘)

달의 궤도에서 규칙적인 주기로 변화를 보이는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산정한 가상의 별. '사암성(四暗星), 사여성(四餘星), 사은성(四隱星), 사은요(四隱曜)'라고도 한다.
ㄴ 자기성(紫氣星), 월패성(月孛星, 달의 원지점), 나후성(羅喉星, 달의 강교점), 계도성(計都星, 달의 승교점)

 

사역(使役)

크리스트교에서, 하느님(혹은 하나님)의 시킴을 받아 하는 작업 혹은 그 작업을 하는 것

 

사주(四柱)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의 네(四) 간지이자 기둥(柱). 또는 이에 근거하여 사람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점.

사주 연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


사주단자(四柱單子)

혼인이 정해진 뒤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신랑의 사주를 적어서 보내는 종이. '사성(四星)'이라고도 한다.

 

사주명리학(四柱命理學)

사람의 생년, 월, 일, 시의 네 가지로 이루어진 사주에 음양오행의 원리를 적용하여 운명을 해석하는 학문

 

사주팔자(四柱八字)

1) 사주의 간지(干支)가 되는 여덟 글자

2) 타고난 운수


산군(山君)

1) 산신

2) 호랑이

산신(山神)

산을 지키고 다스리는 신. '산군(山君), 산신령(山神靈), 예신(豫神)'이라고도 한다.

 

산신령굿 [山神靈-]

사천진(沙川津) 별신굿의 여덟째 거리

 

산영장 [-永葬]

거짓으로 장사를 지냄. 또는 그 장사. 남의 땅에 뫼를 쓰려고 땅 임자를 떠보거나, 병자를 낫게 하기 위해서 지냈다.


산통(算筒)

맹인이 점을 칠 때 쓰는 산가지를 넣은 통
ㄴ 산통을 깨다 : 다 잘되어 가던 일을 이루지 못하게 뒤틀다.

삼살방(三煞方)

세 가지의 불길한 살이 낀 방위

삼살방 세살(歲煞), 겁살(劫煞), 재살(災煞)

 

상문(喪門)

1) 몹시 흉한 방위(方位)

2) 죽은 지 한 달이 지나지 않은 사람의 넋 혹은 그런 잡귀

 

상문굿[喪門-]

살아 있는 사람들은 아무 탈이 없고 죽은 사람들에게는 복이 있기를 비는 굿


상문부정(喪門不淨)

초상집에 다녀와 몸이 불편할 때 상문살이 들었다 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하는 굿. '상문풀이'라고도 한다.

 

상문살(喪門煞)

1) 사람이 죽은 방위(方位)로부터 퍼진다는 살

2) 사람이 죽은 일로 일어난 살

 

상여(喪輿)

사람의 시신을 실어서 묘지까지 나르는 도구. 10여 명이 메며 길이가 길고 꼭지 있는 가마와 비슷하게 생겼다. '영여(靈輿), 온량거(轀輬車)'라고도 한다.


새점 [占-]

새를 이용해 치는 점. '아침에 까치가 울면 좋은 일이 일어나고 까마귀가 울면 안좋은 일이 일어난다'라는 믿음부터, 새장 속에 괘사를 적은 여러 개의 쪽지를 넣고 새가 그 가운데 하나를 물어 내게 하여 길흉화복을 점치는 것까지 그 종류는 다양하다.

 

생기(生氣) : 좋은 날의 운수

서낭신

토지와 마을을 지켜 준다는 신. '서낭'이라고도 한다.
ㄴ '산왕(山王), 선왕(仙王), 성황(城隍)' 등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Samhain [서우인]

수확기의 끝과 겨울의 시작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열리는 켈트족 게일인 축제. 할로윈의 유래가 된다.
ㄴ '11월'을 뜻하는 고 아일랜드어 Samain [사윈]에서 유래했다.

 

석가세존굿 [釋迦世尊-]

사천진(沙川津) 별신굿의 아홉째 거리

 

선녀춤[仙女-]

하늘에서 인간 세계로 내려오는 선녀들의 모습을 상징하여 추는 춤

 

성주

의 건물을 수호하는 가신()으로, 가신() 중 가장 윗자리에 있다. '상량신(上樑神), 성조(成造), 성주대신'이라고도 한다.

 

수골(收骨)

1) 화장하고 남은 뼈를 거둠

2) 매장하기 위하여 흩어진 뼈를 주워 모음

 

수골실(收骨室)

사람의 주검을 화장하고 남은 뼈를 거두는 곳

 

소도(蘇塗)

삼한 때에, 천신(天神)에게 제사를 지내던 성지. 여기에 신단(神壇)을 설치하고, 그 앞에 방울과 북을 단 큰 나무를 세워 제사를 올렸는데, 죄인이 이곳으로 달아나더라도 잡아가지 못하였으며, 후대 민속의 ‘솟대’가 여기에서 기원한 것이라고 한다.


수왕지절(水旺之節)

오행에서, 수기(水氣)가 왕성한 절기, 겨울철.

 

수의(壽衣)

염습할 때에 송장에 입히는 옷. '세제지구(歲製之具), 습의(襲衣)'라고도 한다.

스트리보그의 상상도 (출처 : https://dzen.ru/)

Стрибог [스뜨리보크/스트리보그]

슬라브 신화에서의 바람의 신.

 

신가물

여러 종류의 공줄이 한 사람에게 내려와 그 사람도 정성이나 공을 들이라고 받게 되는 무형의 압력. 혹은 신내림에 대한 조짐과 징조. 혹은 그로 인해 받는 고통.

 

신병(神病)

장차 무당이나 박수가 될 사람이 걸리는 병. 이 병은 의약으로는 낫지 않으며 무당이 되어야만 낫는다고 한다.

 

신수(身數)

한 몸(한 사람)의 운수

 

신점(神占)

신통하게 잘 알아맞히는 점

 

신점(新占)

집터나 묏자리를 새로 정함

 

신주(神主)

죽은 사람의 위패. 대개 밤나무로 만드는데, 길이는 여덟 치, 폭은 두 치가량이고,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지게 생겼다.

 

신주(神呪)

음양가나 점술에 정통한 사람이 술법을 부리거나 귀신을 쫓을 때 외는 글귀

 

신주(神酒)

신령에게 올리는 술

 

신주 싸움[神主-]

어떤 재앙이 생기는 것을 한 방에 둔 신주들이 서로 다투어 일어나는 것으로 여기어 이르는 말

 

신주여(神主輿)

신주를 모시고 가는 가마.

 

Siloam [실로암]

예루살렘 지역의 연못. <요한복음><9장 7절>에 '예수가 장님에게 실로암에 가서 씻으라했고, 그 장님이 그곳에서 씻으니 눈을 뜨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성경 자체에서 그 뜻을 '보내짐(sent)'이란 뜻이라 설명한다.

ㄴ 히브리어로 '보내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동사 שלח [샤라흐] 혹은 지명 שׁילה [실로]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


십성(十星)

사주에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음양오행 생극제화의 관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요소. '십신(十神)'이라고도 한다

십성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십이시(十二時)

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붙여 이르는 시간

십이시 자시(子時, 23시~01시), 축시(丑時), 인시(寅時), 묘시(卯時), 진시(辰時), 사시(巳時), 오시(午時), 미시(未時), 신시(申時), 유시(酉時), 술시(戌時), 해시(亥時)


십이지(十二支)

1) 지지

2) 십이연기

 

Anu [아누]

고대 메소포타미아 신들의 조상인 천공신, 최고신.
ㄴ 아카드어로는 [아누], 수메르어로는 [안]이라고 한다.

اللّٰهُ أَكْبَر‎ [알라후 아크바르]

'신은 위대하시다'라는 뜻의 아랍어 기도 문구

 

애도(哀悼)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

Yahweh [야훼]

고대 이스라엘과 유다의 민족신 𐤉𐤄𐤅𐤄[YHWH]를 재구성한 이름

einherjar [에인헤야르]

북유럽 신화에서 오딘이 라그나로크를 대비하기 위해 발키리를 통해 발할라로 데려오거나 싸움 중에 죽은 전사. 단수형으로는 einheri[에인헤리]라고 한다.
ㄴ 고대 노르드어로 '1'을 뜻하는 einn[에인]과 '전사'를 뜻하는‎ herjar[헤르야르]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

역수(曆數)

천체의 운행과 기후의 변화가 철을 따라서 돌아가는 순서, 자연히 돌아오는 운수, 해의 수

 

염(殮)

시신을 수의로 갈아입힌 다음, 베나 이불 따위로 쌈.

 

영고(迎鼓)

부여에서 매년 12월에 행하던 제천 의식이자 종교 의례. 온 나라 백성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며칠을 연이어 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며, 지도층은 회의를 열며, 재판을 하고 죄수를 석방했다.

 

영구(靈柩)

시신을 담은 관

 

영구꾼[靈柩-]

상여를 메는 사람

 

영구차(靈柩車)

장례에 쓰는 특수 차량. 시신을 넣은 관을 실어 나른다. '구거(柩車), 구차(柩車), 영구차량(靈柩車輛), 운구차(運柩車), 장례차(葬禮車), 장의차(葬儀車)'라고도 한다.


영매(靈媒)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영혼과 의사가 통하여, 혼령과 인간을 매개하는 사람. 간혹 '영매사(霊媒師)'라고도 한다.
ㄴ 무당, 박수, 이치고(市子), 쿠치요세(口寄せ)

 

영여(靈輿)

1) 상여(喪輿)

2) 요여(腰輿)

 

영정(影幀)

제사나 장례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쓰는 사람의 얼굴을 그린 족자

 

영정 사진(影幀寫眞)

제사나 장례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쓰는 사람의 얼굴을 찍은 사진


예장(禮裝)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예물.

오성(五星)

5개의 행성(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 '오요(五曜), 오요성(五曜星)'이라고도 한다.

오성 형혹성(熒惑星, 화성), 진성(辰星, 수성), 세성(歲星, 목성), 태백성(太白星, 금성), 진성(鎭星, 토성)


오중(五重) 칭호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들에 의해 취해진 왕실 표준 명명 규칙. 파라오에게 5개의 이름을 붙여 세속적인 힘과 거룩한 힘을 상징하고 군주의 통치를 위한 일종의 사명문 역할을 가지게 했다.

오중 칭호 호루스 이름, 네브티 이름(두 여신의 이름), 황금 호루스 이름, 즉위명, 출생명


오행(五行)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

오행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

 

옥추경(玉樞經)

맹인들이 읽는 도가(道家)의 경문

올고이 호르호이의 묘사도 (출처 : https://www.meme-arsenal.com/create/template/6041024)

олгой-хорхой [올고이-호르호이]

몽골어로 '대장 벌레'라는 뜻으로, 고비 사막 서부와 남부에 산다고 전해지는 눈과 발이 없는 0.6m~14m 정도의 벌레. 성체는 낙타도 잡아먹는다고 한다.

 

요귀(妖鬼)

요사(妖邪)한 귀신(鬼神)

 

요여(腰輿)

시신을 묻은 뒤에 혼백과 신주를 모시고 돌아오는 작은 가마

 

용신(用神)

사주팔자의 순환에 필요한 오행. 태어난 연월일시 중 사주팔자의 균형을 잡아 주는 역할을 하는 화, 수, 목, 금, 토의 오행을 이른다.

 

운구(運柩)

시신을 넣은 관을 운반함

 

운수(運數)

이미 정하여져 있어 인간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천운(天運)과 기수(氣數). '명분(命分), 성수(星數), 수(數), 신운(身運), 운(運), 운기(運氣)'이라고도 한다.

 

운세(運勢)

운명이나 운수가 닥쳐오는 기세

 

월강공덕(越江功德)

음력 정월 열나흗날(음력 1월 14일) 밤에 신수가 나쁜 자식을 위하여 어버이가 일종의 액막이로 냇물에 징검다리를 놓는 일. '노두'라고도 한다.

 

월하노인(月下老人)

부부의 인연을 맺어 준다는 전설상의 늙은이. 중국 당나라의 위고(韋固)가 달밤에 어떤 노인을 만나 장래의 아내에 대한 예언을 들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위령제(慰靈祭)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 '진혼제(鎭魂祭)'라고도 한다.

위패(位牌)

단(壇), 묘(廟), 원(院), 절 등에 모시는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유골(遺骨)

주검을 태우고 남은 뼈. 또는 무덤 속에서 나온 뼈. '망해(亡骸), 유해(遺骸)'라고도 한다.

 

유골함(遺骨函)

유골을 넣는 상자


육십갑자(六十甲子)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순차로 배합하여 예순 가지로 늘어놓은 것

육효(六爻)

역(易)에서, 64괘를 구성하는 6개의 획. 효(爻)가 6개가 모인 대성괘(大成卦)인 상태로 해석을 하며, 6개의 효를 아래에서부터 초효(初爻), 이효(二爻), 삼효(三爻), 사효(四爻), 오효(五爻), 상효(上爻)라고 부른다.

육효의 구성
육효 대성괘 소성괘
(외괘)
상효
오효
사효
소성괘
(내괘)
삼효
이효
초효

윤달 [閏-]

윤년에 드는 달.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과의 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1년 중의 달수가 어느 해보다 많은 달. '공달[空-], 윤월(閏月)'이라고도 한다.

 

음양(陰陽)

우주 만물의 서로 반대되는 두 가지 기운으로서 이원적 대립 관계를 나타내는 것. 달


음양가(陰陽家)

천문, 역수(曆數), 풍수지리 따위를 연구하여 길흉화복을 예언하는 사람

 

인당수(印塘水)

소설 <심청전>에 나오는 깊은 물. 사람을 제물로 바쳐야 배가 무사히 지나갈 수 있다는 곳으로, 소설의 주인공 심청이 공양미 300석을 구하기 위해 스스로를 제물로 팔아 이곳에 빠졌다.

 

일월성신(日月星辰)

해()와 달(月)과 별(星辰)

 

일월신(日月神)

원시 신앙에서 위하던 해와 달의 신. 홍수나 가뭄의 피해 없이 풍년을 이루어 주기를 기원하는 대상이다.

 

입관(入棺)

시신을 관 속에 넣음. '관렴(棺殮), 납관(納棺)'이라고도 한다.

 

입관식(入棺式)

시신을 관 속에 넣으며 치르는 장례 의식


자청비

제주의 농사의 여신

 

작명(作名)

이름(名)을 지음(作)

 

장례(葬禮)

장사를 지내는 일. 또는 그런 예식.

 

장사(葬事)

죽은 사람을 땅에 묻거나 화장하는 일


재일(齋日)

가톨릭에서 단식재와 금육재를 지키는 날

 

저승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이 가서 산다고 하는 세상

ㄴ '저곳(彼)의 생(生)'이란 뜻의 '뎌[뎌쇵/彼生]'에서 유래했다.

 

점집 [占-]

점을 보는 집

 

제례(祭禮)

제사를 지내는 의례. '제식(祭式)'이라고도 한다.

 

제사(祭司)

1) 유대교에서, 예루살렘 성전에서 의식이나 전례를 맡아보는 사람.

2) 원시 민족에서, 제의나 주문을 통하여 영험을 얻게 하는 사람. 또는 신령의 대표자.

 

제사(祭事)

신의 업적을 기념하며 축하하는 유대교의 의식

 

제사(祭祀)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냄. 또는 그런 의식. '제(祭), 제향(祭享)'이라고도 한다.

 

제수(祭需)

1) 제사에 드는 여러 가지 재료

2) 제사에 쓰는 음식물

 

제웅

짚으로 만든 사람 모양의 물건. 음력 정월 열나흗날(음력 1월 14일) 저녁에 제웅직성이 든 사람의 옷을 입히 푼돈도  이름과 생년을 적어서 길가에 버림으로써 액막이를 하거나무당이 앓는 사람을 위해 산영장을 지내는  쓴다.

 

제웅직성 [-直星]

아홉 직성의 하나로, 흉한 직성으로 아홉 해에 한 번씩 돌아오는데 남자는 열 살에, 여자는 열한 살에 처음으로 든다고 한다. '나후직성(羅睺直星)'이라고도 한다.

 

조민(弔愍)

어떤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조의를 표하고 위로함. '조휼(弔恤)'이라고도 한다.

 

조의(弔衣)

상주가 된 사람을 위문하거나 남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을 나타낼 때 입는 옷

 

조의(弔意)

남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

 

조의(弔儀)

조문하는 의식

 

조의금(弔意金)

남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으로 내는 돈.

 

조위금(弔慰金)

죽은 사람을 조문(弔問)하고 유가족을 위문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내는 돈.

 

줄초상 [-初喪]

한 집에 잇따라 초상이 남. 또는 그 초상. '연상(連喪)'이라고도 한다.

 

지방(紙榜)

종잇조각에 지방문을 써서 만든 신주(神主)

 

지신(地神)

땅을 다스리는 신령


지지(地支)

육십갑자의 아래 단위를 12개의 이루는 요소. '십이지(十二支)'라고도 한다.

지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직성(直星)

1) 사람의 나이에 따라 그 운명을 맡고 있는 아홉 별

2) 타고난 운명. 타고난 성질이나 성미

직성 제웅직성, 토직성, 수직성, 금직성, 일직성, 화직성, 계도직성, 월직성, 목직성


진묘수(鎭墓獸)

무덤을 지키는 상징적인 짐승

 

차례(茶禮)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의 낮에 지내는 제사

 

차례상(茶禮床)

명절날, 조상의 생일, 매달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 따위를 맞아 낮에 차례를 지내기 위하여 차리는 상

 

차례주(茶禮酒)

차례를 지낼 때 제사상에 올리는 술

 

참척(慘慽)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 '변상(變喪)'이라고도 한다.

 

창귀(倀鬼)

먹을 것이 있는 곳으로 범을 인도한다는 나쁜 귀신

 

책화(責禍)

동예에서, 마을 사이의 경계를 침입하였을 때에, 노예·소·말 따위로 배상하던 벌칙


천간(天干)

육십갑자의 위 단위를 이루는 10개의 요소. 십간(十干)이라고도 한다.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천도(遷度)

무교에서 죽은 혼령을 극락세계로 가게 함

천도제(遷度祭)

무교에서 죽은 사람의 넋이 극락으로 가도록 기원하는 의식

 

천운(天運)

1) 하늘이 정한 운명

2) 매우 다행스러운 운수

3) 천체의 운행

 

철학원(哲學院)

사주를 풀어서 길흉화복을 알려 주는 집

체나가히(출처 : https://abookofcreatures.files.wordpress.com/2020/10/traveling-stone.jpg)

Tsé’nagahi [체'나가히]

'이동하는 돌(tsé)'이라는 뜻으로, 지나가는 사람에게 굴러가 짓눌러버려 죽여버리는 북아메리카의 괴물 바위. 태양신 초하노아이(Tsohanoai)의 아들이자 나바호 신화의 영웅 나예네즈가니(Nayenezgáni)가 그의 칼들을 땅에 꽂고 괴물에게 다가갔고, 체나가히는 이를 보고 그를 쫓아갔는데, 땅에 박혀 있던 칼들에 찔려 몸이 산산조각났다. 거기다 나예네즈가니가 내린 번게에 맞아 죽을 뻔 했으나 사람을 죽이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곤 목숨만 구하곤 사라졌다고 한다.

체르노보크 (출처 : creepy-collection.fandom.com)

Чернобог [체르나보크/체르노보그]

슬라브의 신화에서 죽음의 신. '체르노보그'라고도 하며, '검은 신(Чёрный бог)'이라는 뜻이다.

초우제(初虞祭)

장사를 지낸 후 첫 번째 지내는 제사. 혼령을 위안하기 위한 제사로, 장사 당일을 넘기지 않는다. '초우'라고도 한다.

 

추길(諏吉)

길일(吉日)을 택함

 

추모(追慕)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함

 

추모 공원(追慕公園)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하기 위해 유골을 모셔 두는 곳

 

칠요(七曜)

오성(5개의 행성)과 태양과 달. '칠요성(七曜星), 칠정(七政)'이라고도 한다. (참고 : https://mspproject2023.tistory.com/283)

칠요 형혹성(熒惑星, 화성), 진성(辰星, 수성), 세성(歲星, 목성), 태백성(太白星, 금성), 진성(鎭星, 토성), 태양성(太陽星, 해), 태음성(太陰星, 달)
 

일곱 개의 빛나는 별들, 칠요(七曜) 그리고 요일

칠요(七曜)라는 별들의 무리가 있다. 해와 달, 그리고 오성(五星, 토성, 목성, 화성, 금성, 수성)을 합쳐 일컫는 말이다. 7가지의 각 별마다 정해진 법칙이나 위치가 있다고 해서 칠정(七政), 칠위(

mspproject2023.tistory.com

스톨부름(Stollwurm)이라고도 불리는 타첼부름(Tatzelwurm)

Tatzelwurm [타첼부름]

알프스 민담에 나오는 고양이 머리에 뱀과 같이 길거나 뭉툭한 몸을 가지며 4개의 짧은 다리 혹은 2개의 짧은 앞다리를 가진 도마뱀류. 크기는 1.5~2m 정도이며, 날카로운 발톱과 맹독니로 사냥감을 공격한다. 여기서 Tatze[타체]는 독일어로 '(동물의) 앞발'이라는 뜻이며, wurm[부름]은 독일어로 '벌레(worm)'이라는 뜻이다. 스톨부름(Stollwurm)이라고도 한다.

탄주어(呑舟魚)

고래같이 거대해 배를(舟) 마실 수 있는(呑) 물고기(魚). 고래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탈상(脫喪)

어버이의 삼년상을 마침

 

택일(擇日)

어떤 일을 치르거나 길을 떠나거나 할 때 운수가 좋은 날을 가려서 고름. 또는 그날. '택길(擇吉)'이라고도 한다.


토왕(土旺)

오행(五行)에서, 땅의 기운이 왕성하다는 절기. 일 년에 네 번으로, 입춘, 입하, 입추, 입동 전 각 18일 동안이다.

ㄴ 일본어로는 도요우(土用, どよう), 중국어로는 투왕(土旺)이라고 부른다.

 

퇴마의식(退魔儀式)

사람이나 집 따위에 씐 마귀를 쫓아 보내는 의식


팔장신(八將神)

음양가가 모시는 길흉의 방위를 맡아본다는 여덟 신

팔장신 태세(太歲), 대장군(大將軍), 태음(太陰), 세형(歲刑), 세파(歲破), 세살(歲煞), 황번(黃幡), 표미(豹尾)


팔자(八字)

사람의 한 평생의 운수. 4주(四柱)의 위아래에 적힌 8개(八)의 글자(字)를 말한다.

피닉스

Phoenix [피닉스]

500~600년 동안 살다가 스스로 향나무를 쌓아 불을 피운 뒤 그곳에 들어가 잿더미로 타 죽으며 생을 마감하며, 그 잿더미에서 새롭게 태어난다는 신화속 새
ㄴ 이집트 신화의 벤누(Bennu)에서 유래했다.
 

하나님

일반적인 종교에서 우주를 창조하고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 종교적 신앙의 대상으로서 각각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고유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불가사의한 능력으로써 선악을 판단하고 길흉화복을 인간에게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님

크리스트교 개신교에서 '하느님'을 이르는 말

 

하느님

크리스트교 가톨릭, 그리스 정교회, 개신교 일부 분파에서 신봉하는 유일신. 천지의 창조주이며 전지전능하고 영원한 존재로서, 우주 만물을 섭리로 다스린다.

 

허주

무당이 될 사람에게 씌는 허깨비

혼(魂)

넋에서 양에 속하는 부분. 사람이 죽으면 넋에서 떼어져 나와 하늘로 올라간다.

 

혼택(婚擇)

혼인하기에 좋은 날을 가림


화왕지절(火旺之節)

오행에서, 화기(火氣)가 왕성한 절기, 여름철.

 

화장(火葬)

시신을 불에 살라 장사 지냄

 

화장장(火葬場)

시신을 화장하는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곳. '소산터[燒散-], 화장지(火葬地), 화장터[火葬-]'라고도 한다.

 

화회굿

사천진(별신굿의 여섯째 거리


황천(黃泉)

동양에서 사람이 죽은 뒤에 그 넋이 가서 산다고 하는 세상
ㄴ 구천(九泉)과 비슷하나, 구천은 '죽은뒤에 넋이 돌아가는 곳'이라는 뜻으로 조금 차이는 있다.

효두발인(曉頭發靷)

이른 새벽에 상여가 집에서 묘지를 향하여 떠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