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의 올림픽 개회식 때 각국 소개 영상에 대한 사과
본문 바로가기

용어 정리, 이슈/사회&문화&일상

MBC의 올림픽 개회식 때 각국 소개 영상에 대한 사과

728x90

1. MBC의 사과문

[보도자료] 해당 국가 국민과 시청자 여러분께 정중히 사과드립니다.

2021/07/24 (토) 10:38

[보도자료] 해당 국가 국민과 시청자 여러분께 정중히 사과드립니다.

 

MBC는 7월 23일 밤 도쿄 올림픽 개회식을 중계방송하면서

국가 소개 영상과 자막에 일부 부적절한 사진과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해당 국가 국민과 시청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정중히 사과드립니다.

 

문제의 영상과 자막은 개회식에 국가별로 입장하는 선수단을

짧은 시간에 쉽게 소개하려는 의도로 준비했지만,

당사국에 대한 배려와 고민이 크게 부족했고, 검수 과정도 부실했습니다.

변명의 여지가 없는 잘못입니다.

 

다시 한 번 고개 숙여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MBC는 올림픽 중계에서 발생한 이번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영상 자료 선별과 자막 정리 및 검수 과정 전반에 대해 철저히 조사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엄정한 후속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나아가 스포츠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점검해

유사한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2021.07.24.

MBC

 

2. 왜 사과한걸까? 우크라이나 원전 및 아이티 폭동 사진

우크라이나 선수단의 입장 (출처 : mbc)

우크라이나 선수단이 입장할 때 그 나라를 소개하면서 사용된 사진이 문제였다. 바로 1986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kSSR, 1919~1991)에서 일어난 체르노빌 원전 사고 사진을 사용한 것이다. 

아이티 선수단의 입장 (출처 : mbc)

아이티의 현대사는 굉장히 다사다난하다.

세습적 전제정이던 뒤발리에 정권(1957~1986)은 반-뒤발리에 민중 저항운동(1984~1986)으로 무너져 내리고 장 베르트랑 아리스타드(Jean Bertrand Aristide, 1953~)이 처음 민주적인 방법을 통해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이후 군부에 의해 여러 번 자리에 내려왔다가 다시 복위하기를 반복하다, 2004년 2월 해체된 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아리스타드 정부 쿠데타가 성공하게 되며, 아리스타드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후 여러차례 태풍과 지진으로 정부가 정국을 운영하지 못할 지경까지 갔다가 2011년 해산된 군부를 지지했던 농민행동당 미셀 조제프 마르텔리(Michel Joseph Martelly, 1961~)가 제41대 대통령이 되었고, 이후 2015년 아이티 민두당의 조브넬 모이즈(Jovenel Moïse, 1968~2021)가 당선되었지만 2년간 선거 조작 논란에 휩싸이다가 2017년이 되어서야 정식 취임을 하였다. 그가 재임할 동안에도 반정부 시위가 계속되었는데, 이 때 찍힌 사진을 아이티 선수단 소개 때 사용한 것이 문제가 된 것이다. 번외로 올해 7월 7일 새벽. 조브넬 모이즈 전 아이티 대통령은 암살당했다..

 

3.  그 외에 다른 실수는 어떤게 있어?

위의 두가지 일로만으로도 굉장히 많은 욕을 먹고 있는 상황인데, MBC는 그 밖에 많은 실수들을 일으켰다.

아프가니스탄 선수단의 입장 (출처 : mbc)

아프가니스탄은 세계에서 양귀비 생산율 1위를 유지할 정도다. 아마 이 통계에 착안해서 소개를 한 것 같은데, 이는 부족한 경제력과 내전, 불안한 치안 등으로 제대로된 농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농민들이 어쩔 수 없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마약의 재료인 양귀비를 재배한 결과였다. 이것만 문제가 된 건 아니다. 아프가니스탄이라는 국명을 아프'카'니스탄이라고 적은 것이다.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244)에서도 알 수 있는데, 아프가니스탄에서 '아프간'은 그들의 민족명 그 자체이다. MBC는 그 민족명을 완전히 바꿔버렸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아프가니스탄 선수단의 입장 (출처 : 루리웹)

자, 미국의 수도는? 워싱턴 D.C.! '워싱턴, 콜롬비아 구'이다. 실제로 워싱턴이라는 곳은 미국에 대표적으로 두 곳이 존재한다. 하나는 우리가 흔히 하는 동부에 있는 미합중국의 수도 워싱턴 D.C., 그리고 다른 하나는 미국 서부에 있는 워싱턴 주. 미국의 수도를 동부에서 서부로 순식간에 옮겨버린 것..!

팔레스타인 선수단의 입장 (출처 : mbc)

이스라엘은 서안지구에 2002년부터 분리장벽(Israeli West Bank barrier)을 설치해 팔레스타인의 침입을 견재했다. 물론 이는 이스라엘의 입장이다. 팔레스타인쪽은 원래 그들이 살던 지역을 이스라엘이 뱀처럼 옥죄며 조금씩 차지하려고 한다고 본다. 이렇게 양국의 입장이 다른 해당 장벽을 팔레스타인 선수단의 소개 사진으로 사용했다는 것은 굉장한 모독으로 보인다.

엘살바도르 선수단의 입장 (출처 : mbc)

엘살바도르는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 통화로 인정했다. 1982년부터 2001년까지 엘살바도르 콜론(Salvadoran colón)을 사용하다가 미국과의 무역의 편리를 위해 법정 통화를 USD(United States dollar)로 바꿨다. 2021년부터는 USD와 더불어 BTC(비트코인)를 공용 법정 통화로서 사용중이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자국 화폐를 거의 포기할 정도로 좋지 않은 경제 상황에서 최후의 대안책과 같은 느낌으로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한 것이었다. 이런 사실을 버젓이 올림픽 선수단 입장식 때 사용했다는 것은 엘살바도르에게는 치욕스러운 일로 여겨질 수 있다.

 

4. 사과 이후에 바뀐 건 뭐야?

"고마워요 마린" 자책골

어제(7월 25일) 오후 8시에 시작된 대한민국-루마니아 축구 경기에서 우리나라가 첫 골을 넣었을 때 올렸던 자막이 문제가 되었다. 해당 자막에는 루마니아의 축구선수 마리우스 마린이 실수로 자책골을 넣었는데, 이때 MBC는 "고마워요 마린"이라는 자막을 올렸다. 7월 24일 MBC는 23일 개막식 중계방송에서 부적절한 사진과 문구를 사용한 것에 대한 사과문을 올렸다. 그러고 하루가 조금 지난 이 날 축구 중계 방송에서의 자막이 큰 물의를 일으킨 것이다. 이에 대해 루마니아의 축구 팬들은 항의했을 정도니 말 다했다. 즉 크게 바뀐건 없었다.

 

이런 일들이 일어나고 7월 25일 오후 3시에 박성제 MBC 대표이사는 대국민 사과를 발표하고 기자회견을 가졌다. 기자회견에서 그는 주한우크라이나대사관과 주한루마니아대사관에 서한을 보내어 해당 국가와 그 국민들에게 이번 방송사고에 대해 사과한다고 알리고 있다고 했으며, 아이티 경우 국내에서 대사관이 철수했기 때문에 전달하진 못했다고 설명했다. 곧 기자회견에 참석하지 못한 외신들에게도 사과문과 관련 영상을 보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5. 왜 이런 일이 일어난걸까?

5-1. 효율적 경영을 위한 투자 감축

(단위 : 천원) 2020년 12월말 2019년 12월말 2018년 12월말 2017년 12월말
자산총계 69,532,673 66,610,004 62,433,022 65,406,292
부채총계 14,237,653 13,173,172 11,176,045 13,020,561
자본총계 55,295,020 53,436,832 51,256,977 52,385,731

MBC는 2019년부터 지금까지 자본이 계속 증가했다. 그렇지만 여기서 부채도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좋은 현상이라고는 할 수 없다. 2019년도 총자본에서의 부채의 비율은 24.6%였고, 이듬해 2020년에는 부채의 비율이 25.7%였다. 이미 2019년 1000억 원대 적자였던 MBC는 비용 절감을 위해 대규모 투자 감축과 업무 이관을 실시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방송 매체의 질이 떨어진 것이다.

5-2. 대규모 구조조정과 내부 갈등

MBC는 경영 문제와 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들며 2018년부터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해왔는데, 이로 인해 양질의 고급 인력이 타사로 이직을 하거나 일을 그만두는 일이 허다했다. 또 이 때문에 MBC 본사와 자회사간의 마찰도 있었다고 하며, 시용기자와 공채기자 사이에서도 인건비와 관련해 앙금이 있다고 한다. 또 보여주기식 업무가 늘어나 실제 성과도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는 MBC 방송의 행동과 사과에 대해 실망하고 있는 상황이다. MBC가 이번 일을 겪고 어떻게 행동할지 기대를 조금이나마 하고 있다. 또 우리에게는 이번 사건이 외국의 특정 나라를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지를 다시한번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기회였으면 좋다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