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지인이 '사흘이 4흘아니에요?'라는 질문을 했고, '접두사 '사-'는 셋을 뜻하고, 접두사 '나-'는 넷을 뜻하니 사흘이 맞다'는 답변을 드렸다. 이와 관련된 날을 샐 때 쓰는 순우리말 시간 표현 몇가지의 어원을 정리해보았다. |
1. 하루, 이틀 그 다음 뭐더라?
날을 샐 때 쓰는 순우리말은 아래와 같다.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하루 | 이틀 | 사흘 | 나흘 | 닷새 | 엿새 | 이레 | 여드레 | 아흐레 | 열흘 |
그 다음부터 10단위가 늘어날 때마다 고유수사 이름을 쓴다. 11일부터 19일까지는 모두 '열-'이라는 고유 수사 접두사가 붙는다.
11일 | 12일 | 13일 | 14일 | 15일 | 16일 | 17일 | 18일 | 19일 | 20일 |
열하루 | 열이틀 | 열사흘 | 열나흘 | 열닷새 보름 |
열엿새 | 열이레 | 열여드레 | 열아흐레 | 스무날 |
마찬가지로 21일부터 29일까지는 모두 '스무-'라는 고유 수사 접두사가 붙는다.
21일 | 22일 | 23일 | 24일 | 25일 | 26일 | 27일 | 28일 | 29일 | 30일 |
스무하루 | 스무이틀 | 스무사흘 | 스무나흘 | 스무닷새 | 스무엿새 | 스무이레 | 스무여드레 | 스무아흐레 | 그믐 (서른날) |
그럼 31은 뭐라고 부를까? 굳이 따지자면 서른하루나 그믐이라고 불러야겠지만, 우리가 순우리말로 날짜를 세는 경우는 음력에 한해서다. 음력은 30일까지밖에 없기 때문에 음력 31일을 뜻하는 순우리말 단어는 없다!
2. 그래서 사흘은 왜 사흘인거야?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하루 | 이틀 | 사흘 | 나흘 | 닷새 | 엿새 | 이레 | 여드레 | 아흐레 | 열흘 |
이 표를 다시 보자. 특정 단어들이 파란색 혹은 빨간색으로 칠해져있다. 이제 이 색깔의 의미와 각 단어들이 어떤 어원을 가지는지 알아보자. 먼저, -루, -레, -흘(-틀) 모두 '해, 날(日)'라는 뜻이다.
접미사 | -루 | -레 | -흘 | -틀 |
접미사의 영어 발음 | [-ru] | [-re] | [-heul] | [-teul] |
접미사의 어형 변화 | -ㄹ + -후 | -ㄹ + -헤 | -ㄷ(혹은 ㅅ) + -흘 | |
파생어와의 관계 | 하루 [핫- + -루] | 이레 [일- + 헤] 여드레 [여들- + -헤] 아흐레 [아흘- + -헤] |
사흘 [사(혹은 삿)- + -흘] 나흘 [나(혹은 낫)- + -흘] 열흘 [열- + -흘] |
이틀 [잇- + -흘] |
윗 표에서 보이는 접미사 -후, -헤, -흘 모두 해(日)와 발음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확하게 이러한 어원에서 왔다기보다 이러한 느낌에서 온 거구나라고 이해하길 바란다. 그럼 사흘은 셋째날, 나흘은 넷째날이라는 뜻이 되는 것이라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 다음 닷새와 엿새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현재의 단어 | 닷새 | 엿새 |
고어형 | 닷쇄<-다쐐 | 엿쇄<-여쐐 |
어형 분석 | 닷- + -ㅅ- + -해 | 엿- + -ㅅ- + -해 |
공통적으로 보이는 -해는 해(日)와 같다. 닷새, 엿새 또한 다섯째날, 여섯째날이라는 뜻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어원이 어떻게 되었든 이 순우리말 단어들은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 동안의 시간(과학적으로 약 24시간)이라는 뜻을 가진 날(日)와 연관이 되어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해가 뜨고 지는 시간인 날에 숫자를 넣어 날의 단위로 사용해왔을 거라고 생각된다.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 결국 어떻게 될까(13개의 한국 엔딩) (0) | 2021.09.28 |
---|---|
1936.10.21.조선일보, 히틀러독총통 조선수재에 금일봉 (0) | 2021.09.12 |
알쓸신잡 한국사 용어 정리 (0) | 2021.07.07 |
센티하다? 센티멘탈? (0) | 2021.06.13 |
6월 6일 오늘은 현충일 (0) | 2021.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