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필아르모니야(필하모니아) 아래 젊은이 가로수길(Аллея Молодёжи)의 북쪽 끝부(분에서 동쪽의 공간에 콘스탄틴 유다힌 기념상(Памятник К. Юдахину)가 2002년부터 세워져 있습니다.


콘스탄틴 쿠지미츠 유다힌(Константин Кузьмич Юдахин, 1890-1975)은 터키학, 키르기스학, 문헌학 연구자였으며, 우즈베키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과학아카데미(Академия наук Узбекской ССР)의 특파원이면서 키르기스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과학아카데미(Академии наук Кыргызской ССР) 회원이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업적과 직책이 있었지만 그를 나타내는 가장 유명한 호칭은 '키르기스어-러시아어 사전 편찬자'라고 볼 수 있죠!

1925년 초, 그는 투르케스탄 동양학 연구소(туркестанский восточный институт, 현) 타슈켄트 국립 동방학대학교)를 졸업하고, 카라키르기스자치주(ККАО, 1924-1925) 인민교육부의 아카데미 센터 비서로 뽑히게 됩니다. 이 때부터 사전을 만드는 것에 열중합니다.


그는 중앙아시아 민족들의 언어와 문화에 매료되어, 1944년 키르기스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정부의 제안에 따라 프룬제(현) 비슈케크)로의 이사를 수락합니다. 그리고 1949년에 언어학 박사 칭호를 받았고, 1975년, 사망할 때까지 이곳에 거주하며 연구를 해나갔죠(잠시 우즈베키스탄으로 갔다 온 적은 있음). 석상 근처에 있는 키르기스 국립대학교의 키르기스어학부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는데요. 이후에 명예교수로도 임명됩니다.


<우즈베크어-러시아어 사전(1927)>, <위구르어-러시아어 사전(1928)>, <키르기스어-러시아어 사전(1940, 1965)>, <러시아어-키르기스어 사전(1944, 1959)> 등을 출판한 그는 언어학의 대가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언어학을 좋아하는 대학생으로서 정말 대단한 분이라고 생각해요.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세계사, 세계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르기스어 알파벳을 처음 만들고 처음 교수가 된, 카심 티니스타노프 기념상 (0) | 2025.03.01 |
---|---|
비슈케크 서부의 대표적인 전통시장, 오시 바자르(오시시장) (1) | 2025.03.01 |
키르기스를 사랑으로 감쌌던, 샤브단 바티르 기념상 (0) | 2025.02.23 |
민족 학문의 효시가 되길 바라며, 키르기스스탄 국립대학교 민족시인 주숩 발라사근 기념상 (0) | 2025.02.23 |
1981년에 세워진 막심 고리키를 기리는 비슈케크 고리키 소공원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