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곳은 부산 해운대구 반송동에 위치한 영산대학교 해운대캠퍼스입니다!
이 드넓은 공간은 '베트남광장(2005~)'입니다. 도대체 어떤 인연으로 이곳에 베트남광장이 세워진걸까요?
한겨례의 한 기사에 따르면, 2005년 11월 17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베트남 6대 국가주석 쩐 득 르엉(Trần Đức Lương, 1937~)이 호찌민을 기리기 위해 이름붙이는 영산대학교 베트남 광장에 찾아옵니다. 이를 통해 한국-베트남간 유대와 공동발전, 학술 및 문화 교류를 확장할 것을 약속하였죠.
그렇게 생겨난 것이 바로 이 베트남광장입니다.
베트남 광장 quảng trường việt nam Vietnam square |
故 호찌민 주석 탄신 115주년 기념 '옥중일기' 서예전 참관을 위한 쩐 득 르엉(1937~) (제6대) 베트남 국가 주석의 본교 방문을 기념하고 양국의 상호 이해와 친선을 염원하는 마음을 모아 이 광장을 베트남광장으로 명명하였다. 故 호찌민(Hồ Chí Minh : 1890.05.19. - 1969.09.02.) (제1대) 주석은 1945년 9월 2일의 베트남 독립을 주도하였고, 건국 후 24년간 국가주석을 역임하면서 나라 통일의 초석을 세운 베트남의 민족 영웅이다. 2005년 11월 17일 영산대학교 |
기념식수 |
베트남 국가주석 쩐 득 르엉 Trần Đức Lương |
2005.11.17. |
그 행사 당일에 베트남 국가주석 쩐 득 르엉이 기념식수를 했던 나무는 아직도 잘 자라고 있습니다~
기념식수를 한 곳에서 오른쪽 돌계단으로 올라가면 잔디운동장과 학교 건물들이 나옵니다. 베트남광장을 거닐면서 양국이 얼마나 관계 발전에 힘을 썼는지를 느낄 수 있었던 건 같아요. 어떤 대상 사이든 화목하고 건설적인 관계를 맺어가는 것은 정말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명대학교 교육 발전에 이바지한 선박왕을 기리다, 계명대학교 동영관의 유래 (4) | 2024.12.05 |
---|---|
지금은 사라진 부산 최초의 물류창고, 남선창고터 (1) | 2024.12.05 |
영산대생들의 추억, 영산대 해운대캠퍼스 A동 앞 코끼리동상 (1) | 2024.12.05 |
월평초등학교 앞 전봇대에 붙은 한 초등학생의 시, <아늑한 월평마을> (0) | 2024.12.02 |
월평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앞의 월평마을 효마을 지정비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