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및 대한제국 일본 공사관에 있었던 일본인 외교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조선 및 대한제국 일본 공사관에 있었던 일본인 외교관 목록

728x90
<연표>1876, 강화도조약
1880, 조선 한성부, 일본 공사관 설치
1880~1897.10.11, 재조선 일본 공사관
1882, 임오군란
1884, 갑신정변
1897.10.11~1906.01.31, 재대한제국 일본 공사관
1905, <을사조약>
1906~1910, 한국 통감부
1910~1945, 조선 총독부

 

표를 보기전에 각각의 직급을 알 필요가 있다.

먼저 공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공사(公使)란 국가를 대표하여 파견되는 외교 사절의 하나로, 외교부 장관의 감독과 훈령을 받아 조약국에 상주하는 외교 사절이고, 대사에 버금가는 계급이다.

대사
공사 특명전권공사
전권공사
변리공사
대리공사

 

 

 

 

일본공사관(1880~1906)에서 근무했던 일본인 외교관들의 목록이다. 이들의 직책은 아래와 같이 변천을 겪었다.

재조선국대리공사->재조선국변리공사->재조선국특명전권대사->재대한제국특명전권대사

 

1877년부터 1882년까지 조선에 있었던 하나부사 요시모토는 <제물포 조약>(1882)을 체결했고,

1882년 갑신정변을 도와주었다가 청군의 개입을 들은 일본 정부의 명령으로 슬며시 발을 뺀 일본 공사는 다케조에 신이치로였다.

청일전쟁 중 경복궁 점령을 명령한 오오도리 게이스케.

1875년의 운요호 사건과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때 일본측 협상 대표였던 이노우에 가오루,

1895년 10월 을미사변을 일으킨 주범이자, 경복궁과 건청궁을 불지른 방화범인 미우라 고로도 공사로 있었다.

1896년에 맺어진 <베베르-고무라 각서>로 러시아군과 일본군이 조선에 주둔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각서를 맺은 사람이 고무라 주타로이다.

또 가토 마스오는 방곡령 철회를 요청했다.

 

 

위의 이야기를 보면 굵직굵직한 사건들에 일본 공사들이 끼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 사실 이들은 일본제국이 대한제국을 지배하기 위한 발판 중 하나였던 것이다.. 한 왕조를 망국으로 빠트린 타국의 외교관들은 그 타국에게는 긍정적인 평가를, 망국에게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슬픈 이야기지만, 이젠 외교관들에 의해 이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길 바랄 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