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울 경복궁 흠경각과 함원전에서 서쪽으로 나오면 자시문(資始門)이 있습니다.
이곳을 통해 경회루의 뒷편을 볼수 있어요!!
경회루 특별관람 예약자 대기장소 | |
관람기간 | 2023.04.01.(토) - 2023.10.30.(월) |
관람시간 | 1일 4회(10:00, 11:00, 14:00, 16:00) (회당 약 40분 소요) |
관람방법 | 문화재해설사 인솔(한국어 해설) |
예약방법 | 인터넷 예약제(회당 30명, 무료관람) * 경복궁누리집에서 신청 * 관람 희망일 7일전부터 예약 가능 |
관람휴무 | 매주 화요일(휴궁일) 법정 공휴일(일요일 제외) 7.1.-7.31.(혹서기) |
관람문의 | 경복궁관리소(02-3700-3900, 02-3700-3901) |
* 경복궁 사정에 의해 관람이 중지될 수 있습니다. |
조금 더 남쪽으로 내려오면 경회루 특별관람 예약자 대기장소가 있습니다. 매년 열리니 경복궁 누리집에서 주기적으로 확인해보세요!!
이견문(利見門)을 통해서는 경복궁의 정면을 왼편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경회루(慶會樓) |
왕실의 큰 연회를 베풀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곳으로 1867년 재건되었다. 높은 2층 누마루에 올라 서쪽으로 인왕산, 동쪽으로 궁궐의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며, 주위의 넓은 연못에서는 뱃놀이를 했다고 한다. 7x5칸, 바닥면적 933m2(282평)로 현존 목조 건물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2층 마루는 3겹으로 구성되었는데, 중심 3칸은 천지인(天地人)을, 그 바깥 12칸은 1년 12달을, 가장 바깥의 24기둥은 24절기를 의미하는 등 동양적 우주관을 건축으로 상징했다. 중건 당시에 경회루(慶會樓) 연못에 2마리 청동 용을 넣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실제로 1997년 준설공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
경회루 정면입니다. 사진을 찍으려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요.
경사스러운(慶) 연회(會)를 하는 누각(樓)이란 뜻의 경회루입니다.
약간 서쪽으로 가서 찍어봤습니다.
경회지 또한 아름답습니다.
반응형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의 철도 관문으로 이름 높았던 (구)서울역 (1) | 2024.12.31 |
---|---|
옛 절이 있던 곳에서 3·1운동의 발화지까지, 탑골공원 (3) | 2024.12.31 |
1950년대 이승만 정부 시절 지어진 경회루 뒷 경복궁 하향정 (0) | 2024.12.31 |
부산 구도심의 영원한 공원, 용두산공원 (2) | 2024.12.30 |
가을(서쪽)을 맞이하는 경복궁 서문, 경복궁 영추문 (0)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