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обзо́р
обзо́р | |
접두사 | 어근 |
об- (주변, 가까이, 완전히) | -зор- |
불할동체 남성명사 обзо́р[아브조르]는 기본적으로 '주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기회'라는 뜻을 가진다. 사전적 정의부터 보자.
1. 시계, 시야(주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기회(возмо́жность)) 2. 관찰(무언가의 정기적인 참관((осмо́тр)) 혹은 관찰(наблюдение)) 3. (구식) 사찰(inspection, осмо́тр) 4. 리뷰(의견, 심사평(ревью́, 어떤 것에 대한 정보 통보의 간결한 선택(подбо́рка))) |
이 단어는 현대에 와서는 대부분 '리뷰'라는 의미로 쓰인다.

이렇게 단어를 검색해 보면, 아이폰, 구글 픽셀 7과 같은 스마트폰 리뷰나 GPT-4, 자동차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대한 리뷰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만일 교과서 맨 뒷장에 시험처럼 обзо́р라는 페이지가 있다면, 한국 교과서나 문제지의 '복습하기, 풀어보기, 적용해 보기'와 같은 의미의 한 과에 대한 정리 문제들을 표시하기도 한다.
2. наприме́р
наприме́р [for example] | |
접두사 | 어근 |
на- (on, for) | -пример- (예) |
사실 이 단어는 на приме́р[나 쁘리몌르]라는 어구가 하나의 단어처럼 쓰이게 된 것으로, 그 자체로 불변화사이면서 삽입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단어를 영어권에서는 '부사'로 본다.
Вот, наприме́р, он до́мик зате́ял постро́ить. [봍, 나쁘리몌르, 온 돔닠 자쪠열 빠스뜨로이찌] - 여기, 예를 들어, 그는 집을 짓기 시작했다. |
위의 문장에선 '그' 혹은 '집', '건설', '결심'과 같은 이야기가 나왔을 것이고, 그 뒤에 наприме́р라는 어구로 예시를 들기 시작하는 것이다.
3. подро́бно
подро́бно | |
어근 | 접미사(suffix) |
-подробн- | -о |
부사 подро́бно[빠드로브나]는 '모든 작은 상세한 부분(ча́стность)들과 함께(со все́ми ме́лкими ча́стностями)'라는 뜻으로, 우리말로 '상세히, 정밀히, 자세히'라는 뜻이다. 이는 '상세한, 정밀한, 자세한'이라는 뜻의 형용사 подро́бный[빠드로브늬-]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쪼개진, 분열된'이라는 뜻의 형용사 дро́бный[드로브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дро́бный는 '부분, 분수, 산탄, 빗금 기호'를 뜻하는 여성 명사 дробь[드로비]에서 유래했다.
즉, подро́бно는 근본적으로 '작은 조각으로 나누듯'이라는 뜻이다.
이전에도 이 부사에 대해 다룬 적이 있는데, 잘 외워지지 않아 복습 삼아 한번 더 정리해 봤다. 관련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1060)을 같이 첨부하니 참고 바란다.
4. проце́нт

백분율(퍼센트, percent)을 러시아어로 проце́нт[쁘라쪤뜨]라고 하며, 이는 불활동체 남성명사다.
1. (수학) 백분율(100분의 1(одна сотая часть)) 2. (구어) 일부, 몫(доля), 부분(часть) 3. (재무, 경제) (자주 복수로) 수익, 이익, 이윤(при́быль) |
이제 이런 기호가 나온다면 러시아어로 쉽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도 숫자 뒤의 수식 대상에 대한 격변화(1=단수 주격, 2~4는 단수 생격, 3~20=복수 생격)가 일어나니 주의하자
1%=оди́н проце́нт[아진 쁘라쪤뜨] 4%=четы́ре проце́нта [취띄례 쁘라쩬따] 50%=пятьдеся́т проце́нтов [빠찌디샤트 쁘라쩬땁] |
5. рисова́ть
рисова́ть | ||
어근 | 접미사(suffix) | 동사 어미 |
-рис- (긋-, 그리-) | -ова | -ть |
접미사 -ова를 가지고 있는 불완료상 타동사 рисова́ть[리사바찌]는 '긋다, 그리다'라는 뜻이다. 접미사 -ова 혹은 -ева가 붙은 동사들은 기본적으로 현재형 격변화를 할 때(그 외 명령법과 현재 분사에서도 이렇게 변한다), -ова가 -у나 가끔 -ю로 격변화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런 형태의 접미사는 외래어 동사를 차용할 때 주로 쓰인다. 따라서 рисова́ть 또한 그렇게 변한다.
직설법 | 명령법 | ||
과거 | 현재 | ||
Я | рисова́л рисова́ла | рису́ю | |
Ты | рису́ешь | рису́й | |
Он Она Оно | рисова́л рисова́ла рисова́ло | рису́ет | |
Мы | рисова́ли | рису́ем | |
Вы | рису́ете | рису́йте | |
Они | рису́ют |
(분사) | 과거 | 현재 | |
형동사 | 능동 형동사 | рисова́вший | рису́ющий |
수동 형동사 | рисо́ванный | рису́емый | |
부동사 | рисова́в(ши) | рису́я |
рисова́ть[리사바찌]는 '긋다, 그리다'라는 뜻의 폴란드어 rysować [리서바찌]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찢다, (긁어) 쓰다/그리다'라는 뜻의 독일어 동사 reißen [라이쓴]에서 유래했다. 참고로 이 독일어 단어는 영어의 write와의 연관성도 존재한다. 어찌 되었든 рисова́ть는 외래어로서 '긋다, 그리다'라는 뜻이다.
6. Чем вы занима́етесь большу́ю часть вре́мени?
Чем вы занима́етесь большу́ю часть вре́мени? [췜 븨 자니마잇쩨시 벌수유 촤스찌 브례미니?] | 당신은 주로 무엇을 하나요? [직역 : 당신은 시간의 대부분 동안 무엇에 힘쓰나요?] |
больша́я часть вре́мени[벌솨야 촤스찌 브례미니]는 '대부분의 시간(=시간의 대부분)'이라는 뜻이다.
위 문장에서는 '대부분의 시간을 무엇을 하는데 힘쓰는가'에 대해 물어보고 있는데, 이런 경우 이 어구를 한국어로 '주로'라고 번역할 수 있다.
그리고 의문대명사로 чем을 쓴 이유는 동사 занима́ться가 조격을 가지기 때문이다. 영어와 달리 격변화가 큰 러시아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이렇게 의문대명사도 그 묻는 대상에 따라 격이 변한다.
7. мно́го что
мно́го что[므노가 쉬또]는 '많은 것(many (different) things)'라는 뜻이다. 이 어구 또한 뒤따라오거나 앞에 오는 동사에 따라 대명사 что가 격변화한다.
есть мно́го что.[예스찌 므노가 쉬또] | 많은 것들이 있다. |
мно́го чего́ боя́ться.[므노가 취보 바얏쨔] | 많은 것들을 무서워하다. |
мно́го чему́ научи́ться.[므노가 취무 나우칫쨔] | 많은 것들을 배우다. |
говори́ть много что.[가바리찌 므노가 쉬또] | 많은 것들을 말하다. |
много чем занима́ться.[므노가 췜 자니맛쨔] | 많은 것들을 하다 |
8. до сих пор=до э́тих времён
우선 전치사 до[도] 뒤에는 무조건 생격이 붙는다는 것을 기억해주자.
до сих пор[더 시흐 뽀르]는 '지금까지, 아직까지(still, 현재의 시간까지, 현재의 순간까지)'라는 기본 뜻과 '지정된 장소까지'라는 비유적이고 구어적인 뜻 2가지가 있다. 이 중 '시간적 의미'로 주로 쓰이는데, 화자 기준 '이 시간까지(до э́тих времён)'라는 의미다.
9. побы́ть оди́н/одна́
побы́ть оди́н[빠븨찌 아진]과 побы́ть одна́[빠븨찌 아드나]는 모두 '혼자 있다(to stay alone)'이라는 뜻인데, 이 동사의 주체의 성에 따라 표현 방식이 달라진다. 주체가 남성이면 побы́ть оди́н[빠븨찌 아진], 주체가 여성이면 побы́ть одна́[빠븨찌 아드나]이라고 표현한다.
이제 완료상 자동사 побы́ть[빠븨찌]에 대해 알아보자.
побы́ть [있기 시작하다->잠시 있다] | ||
접두사 | 어근 | 동사 어미 |
по- (시작, 한계, 수행, 비교) | -бы- (있-) | -ть |
눈치챘겠지만, 이 동사의 불완료상은 존재와 소유를 나타내는(to be, to have, to happen) 그 유명한 быть[븨찌]다. 이 동사에 접두사 по-[뽀-]가 붙어 완료상이 된 것인데, 뜻이 '잠시 있다'로 조금 바뀌었을 뿐이다.
'언어 > 러시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метель과 артель은 남성명사일까, 여성명사일까? (0) | 2023.04.07 |
---|---|
пропуск의 뜻이 다르다고? (0) | 2023.03.30 |
러시아어 표현 정리 7 (0) | 2023.03.29 |
러시아어 표현 정리 6 (0) | 2023.03.23 |
러시아어 문법 - 관계대명사, 형동사, 부동사 정리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