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13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57)
네트워크, TCP/IP 그리고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이 부분은 군에 있을 때 좀 만져봐서 대충 무슨 말인지는 아는데, 막상 시험에 글로 나오면 헷갈려서 다시 한 번 정리해봤다. 1.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네트워크는 크게 클라이언트, 서비스, 프로토콜, 어댑터 등으로 나뉜다. 더 다양한 구성이 있지만 그건 시험이 끝나고 따로 정리해보겠다. 클라이언트 (client) 사용자가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 및 파일 액세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혹은 서비스 서비스 (service) 파일 및 프린터 공유와 같은 기능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토콜 (protocol) 사용자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규약 어댑터 (adapter, adaptor) 컴퓨터간,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에서 데이터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전환 하드..
컴퓨터의 '시스템' 기능에는 무엇을 볼 수 있을까? 시스템 관련 문제도 자주 틀려서 정리해본다... 사실 이 '시스템'은 어떤 물건을 샀을 때 뒤에 작게 적혀있는 제조사, 제조원료 등을 적은 내용과 같은 것이라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군에서도 그렇고 가끔 이 곳을 들어가야하는 경우가 있어 그런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적는 것이기도 하다. 1. 시스템의 기능 우선 이 '시스템'이라는 곳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제어판]에서 [시스템]을 선택하면 된다. 그 외에 [windows 설정] 혹은 [설정]에 들어가서 [시스템]을 클릭하면 들어갈 수 있다. 이곳에선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 우선, 이곳에서는 컴퓨터에 대한 기본 정보들을 볼 수 있다. Windows 버전이나 시스템 정보, 컴퓨터 이름, 도메인 및 작업 그룹 설정, WIndow 정품 인증여부와 같은 정보들..
보조기억장치 정리 - 보조기억장치, 자기디스크, 메모리류 컴퓨터활용능력 기출문제를 풀면서 메모리 종류를 자주 틀려 한번 정리해봤다. 1. 보조기억장치 외부기억장치(external memory), 예비기억장치(auxiliary storage)라고도 불리는 보조기억장치(secondary storage)는 주기억장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억장치다. CPU로 직접 액세스할 수 없다는 점이 주기억장치와 다르며,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지만, 저장 용량이 크고,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된다(비휘발성)는 장점이 있다.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입출력 채널을 사용해 보조기억장치에 엑세스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전송한다. 현대의 컴퓨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2배 이상 큰 보조기억장치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보조기억장치가 주기억장치보다 저렴하기..
안티앨리어싱?인터레이싱? 그래픽 기법 정리 기출문제를 돌리다가 '그래픽 기법'에 대한 내용이 헷갈려 다시 정리해봤다. 그래픽 디자인을 할 때 사용하는 그래픽 디자인 기법 중 시험에 출제되는 내용들은 10개 정도된다. 하나하나 정리해보자. 1. 디더링(dithering) : 제한된 색상을 조합해 복잡한 색, 새로운 색을 만듬 디더링(dithering)은 양자화 오류를 랜덤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적은 양의 잡음 데이터인 디더를 적용시킨 노이즈 형태 기법 혹은 제한된 색상을 조합하여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 방식이다. 쉽게 말해 점묘화의 디지털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이 디더링은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일상적으로 사용되며, 종종 오디오를 CD로 마스터링하는 마지막 단계로 쓰인다. 2. 렌더링(rendering) : ..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 필기를 준비하면서 CPU에 대한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봤다. 1. 중앙처리장치(CPU)와 그 구성 인간에게 대뇌가 있다면, 컴퓨터에는 CPU가 있다! 사실 이 한마디로 모든 설명이 끝난다. 그러나 인체공학이나 뇌과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사람이 아니라면 대뇌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각 위치가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컴퓨터 공학에서도 마찬가지다. CPU의 구성장치가 무엇인지 공부한 적이 없다면 전혀 모른다. CPU에 대해 제대로 정리하기 위해 이 글을 쓴다. CPU 혹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명령어를 수행하는 전자 회로다. CPU라는 말 이외에도 중앙처리기(central processor)나 주처..
BCD, EBCDIC, ASCII, 유니코드 등 각종 코드들에 대해 - 컴퓨터 자료(데이터)의 표현 방식 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 필기 공부 중 각종 코드에 대해 어려운 내용들이 있어 정리해봤다. 1. 자료(데이터)의 구성 단위 (요약) 자료, 즉 데이터에 대해 알지 못하면 이번에 소개할 각종 코드들에 대해서 이해하기 어려우니 간단하게 정리해보겠다. 컴퓨팅에서 데이터(자료, data)는 단순한 사실 및 결과값을 말하는데, 이 데이터는 여러 종류의 논리적 구성 단위로 표현된다. 아래 표를 살펴보자. 비트(bit)->니블(nibble, 4비트)->바이트(byte, 8비트)->워드(word) ->필드(field)->레코드(record)->파일(file)->데이터베이스(database) 2. 문자 데이터의 표현 2-1. BCD(이진화 십진법) 문자 데이터는 보통 1~2바이트(8~16비트)의 용량을 가지는데, 이 중 라..
비트, 바이트, 워드? - 컴퓨터 자료(데이터)의 구성 단위 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 공부를 위한 이론 공부를 하면서 헷갈렸던 비트, 바이트, 워드 등에 대한 차이를 정리해봤다. 1. 자료와 정보 자료(資料, data)는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문자, 숫자, 소리, 그림 따위의 형태로 된 정보를 말하며, 정보(情報, information)는 어떤 자료나 소식을 통하여 얻는 지식이나 상태의 총량을 말한다. 그러니까 단순한 사실이나 결과값이 자료이며, 그 사실과 결과값을 처리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형태로 가공한 것이 정보이다. 2. 자료의 구성 단위 앞서 자료(데이터)는 문자, 숫자, 소리, 그림 등의 형태로 된 단순한 사실이나 결과값이라고 했다. 이러한 형태들은 그 무게가 있기 마련인데, 그 무게를 나타내기 위해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구성 단위을 사용한다. 이러한..
부산 연꽃 명소 - 두구동 연꽃소류지 1번은 두구동 연꽃소류지로 가는 길을 안내한 내용이니 관심없으면 바로 2번으로 넘어가길 바란다.1. 중앙대로를 타고 연꽃소류지를 가다.중앙대로를 쭉 타고 올라가다보면 범어사역을 지나는 곳에서 두갈래 길이 나온다. 쭉가면 양산방면 중앙대로가 이어지고, 오른쪽으로 가면 고분로가 나온다. 이 고분로를 지나는 길에 노포동 고분군이 있었지만, 이곳은 이미 발굴 후 다 덥혀져 고분군의 흔적은 도로명에만 남아있게 되었다. 여하튼 이 중앙대로를 쭉 계속 올라가다보면 '두구동 연꽃소류지'로 가는 길이 나온다. 가는 방법은 3가지다. 1-1. 한물교를 건너는 방법중앙대로를 쭉 타고 가며 노포역과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을 조금 지난 곳에서 스포원(금정체육공원) 방향으로 꺾어 한물교를 지나 좌측 혹은 우측으로 스포원을 빙돌아서 체..

반응형